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유기용제 중독
2. 유기용제의 침입경로
1) 호흡기
2) 피부
3) 소화기
3. 중독증상
1) 일반증상
2) 특이증상
4. 응급처치
5. 관리 및 예방 대책
6. 유기용제 취급 및 저장방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유기용제 중독
2. 유기용제의 침입경로
1) 호흡기
2) 피부
3) 소화기
3. 중독증상
1) 일반증상
2) 특이증상
4. 응급처치
5. 관리 및 예방 대책
6. 유기용제 취급 및 저장방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금지되고 여자와 18세 미만인자는 유해하거나 과중한 작업에 종사함을 금지시키고 있다. 또한 신체장애자의 취업금지, 안전과 보건관리자에 관한 사항, 건강진단, 보건교육에 대하여 규정되어 있다.
산업재해와 보상규정에서도 직업성 질환에 관하여 요양비, 휴업보상(요양중 평균임금의 60%), 장해보상(1340일분부터 50일분, 1급부터 14급까지), 유족보상(평균임금의 1000일분) 등으로 규정하고 이를 실시 중에 있다.
6. 유기용제 취급 및 저장방법
안전 취급 요령
가연성 액체 및 증기는 순간발화가 야기될 수 있음
증기나 미스트를 흡입하지 말 것
눈, 피부, 의복에 접촉시키지 말 것
모든 발화원으로부터 격리시킬 것
용기는 완전히 밀폐시켜 둘 것
취급 후에는 철저하게 씻을 것
적절한 환기 하에서 사용할 것
보관방법
외부 및 부착식 저장이 바람직함
내부저장은 표준인화성 액체 저장실이나 캐비닛에 보관하여야 함
산화성 물질로부터 분리시켜 둘 것
같이 두어서는 안 되는 물질들과는 격리시켜 둘 것
접지
Ⅲ. 결론
지금까지 유기용제중독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유기용제의 중독의 경우 중추신경계 억제 증상은 물론이거니와 혼돈이나 기억력 저하와 같은 신경행동학적 장해를 유발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근로자들의 건강에 치명적인 장해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한 질병이기 때문에 질병의 치료는 물론이거니와 질병의 위험으로부터의 예방과 관리가 최우선 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작업장내에 환기나 격리가 매우 중요하다. 근본적으로는 유해한 유기용제의 사용을 제한하고 대체물질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소요되는 시간과 경제성을 고려할 때 현재의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보호구 착용 및 안전한 관리를 통해 유기용제에 노출될 기회를 최소화 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유기용제의 경우 폭발 및 화재의 위험도 크기 때문에 취급시 주의사항을 철저히 지키고, 안전한 보관방법에 따라 관리되어져야 한다.
지역사회간호학을 배우면서 다시금 우리가 간호해야할 대상자들이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들에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 전반에 걸쳐 있는 대상자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고, 간호사는 지역사회 전반에 걸쳐 국민건강 및 안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지역사회간호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대상자가 질병에 이환되기 전에 질병의 전파 및 노출기회를 최소화 하는 예방적 업무에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산업장 간호사의 경우 위험성, 전구증상, 예방법, 보호구 착용의 중요성 등을 근로자 및 관리자들에게 교육하고, 작업현장의 환경 및 인력배치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근로자들이 경험하는 직업병에 대한 레포트를 조사하면서 근로자들이 경험하게 되는 직업병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가 시급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만큼 지역사회에서 간호사들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산업보건, 10권,11권『유기용제 중독』인제의과대학 배기택 교수, 대한산업보건협회/1984
산업간호학/ 김화중/ 수문사/ 1992
산업보건, 1권『Q&A 유기용제 중독』 가톨릭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이세훈/ 1995
지역사회간호학/ 김화중/ 수문사/ 1997
보건학 강좌/ 지역사회간호학회 출판편찬위원회/ 수문사/ 1998
산업보건서비스/ 홍윤철 외/ 도서출판 한학문화/ 1998
지역사회간호학, 분야별/ 이광옥 외/ 현문사/ 2002
2005년 1월 28일 YTN 뉴스 『노말헥산 중독 의심자 잇따라 발생』
http://tvnews.media.daum.net/societytv/200501/28/ytni/v8268513.html
산업재해와 보상규정에서도 직업성 질환에 관하여 요양비, 휴업보상(요양중 평균임금의 60%), 장해보상(1340일분부터 50일분, 1급부터 14급까지), 유족보상(평균임금의 1000일분) 등으로 규정하고 이를 실시 중에 있다.
6. 유기용제 취급 및 저장방법
안전 취급 요령
가연성 액체 및 증기는 순간발화가 야기될 수 있음
증기나 미스트를 흡입하지 말 것
눈, 피부, 의복에 접촉시키지 말 것
모든 발화원으로부터 격리시킬 것
용기는 완전히 밀폐시켜 둘 것
취급 후에는 철저하게 씻을 것
적절한 환기 하에서 사용할 것
보관방법
외부 및 부착식 저장이 바람직함
내부저장은 표준인화성 액체 저장실이나 캐비닛에 보관하여야 함
산화성 물질로부터 분리시켜 둘 것
같이 두어서는 안 되는 물질들과는 격리시켜 둘 것
접지
Ⅲ. 결론
지금까지 유기용제중독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유기용제의 중독의 경우 중추신경계 억제 증상은 물론이거니와 혼돈이나 기억력 저하와 같은 신경행동학적 장해를 유발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근로자들의 건강에 치명적인 장해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한 질병이기 때문에 질병의 치료는 물론이거니와 질병의 위험으로부터의 예방과 관리가 최우선 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작업장내에 환기나 격리가 매우 중요하다. 근본적으로는 유해한 유기용제의 사용을 제한하고 대체물질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소요되는 시간과 경제성을 고려할 때 현재의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보호구 착용 및 안전한 관리를 통해 유기용제에 노출될 기회를 최소화 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유기용제의 경우 폭발 및 화재의 위험도 크기 때문에 취급시 주의사항을 철저히 지키고, 안전한 보관방법에 따라 관리되어져야 한다.
지역사회간호학을 배우면서 다시금 우리가 간호해야할 대상자들이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들에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 전반에 걸쳐 있는 대상자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고, 간호사는 지역사회 전반에 걸쳐 국민건강 및 안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지역사회간호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대상자가 질병에 이환되기 전에 질병의 전파 및 노출기회를 최소화 하는 예방적 업무에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산업장 간호사의 경우 위험성, 전구증상, 예방법, 보호구 착용의 중요성 등을 근로자 및 관리자들에게 교육하고, 작업현장의 환경 및 인력배치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근로자들이 경험하는 직업병에 대한 레포트를 조사하면서 근로자들이 경험하게 되는 직업병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가 시급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만큼 지역사회에서 간호사들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산업보건, 10권,11권『유기용제 중독』인제의과대학 배기택 교수, 대한산업보건협회/1984
산업간호학/ 김화중/ 수문사/ 1992
산업보건, 1권『Q&A 유기용제 중독』 가톨릭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이세훈/ 1995
지역사회간호학/ 김화중/ 수문사/ 1997
보건학 강좌/ 지역사회간호학회 출판편찬위원회/ 수문사/ 1998
산업보건서비스/ 홍윤철 외/ 도서출판 한학문화/ 1998
지역사회간호학, 분야별/ 이광옥 외/ 현문사/ 2002
2005년 1월 28일 YTN 뉴스 『노말헥산 중독 의심자 잇따라 발생』
http://tvnews.media.daum.net/societytv/200501/28/ytni/v826851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