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안 하천 구조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안 하천 구조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호안의 정의
호안의 구조
호안의 종류
호안의 설계
호안 공법 및 장단점
호안의 안정

본문내용

콘크리트 블록공
콘크리트 블록으로 비탈막기
(3)널말뚝공
널말뚝을 이용 : 주운수로등 수심확보가 요구되는 구간에 이용
(4)말뚝공
말뚝을 빽빽이 친 것
3) 밑다짐공
밑다짐공은 법류공의 앞면에 시공하여 하상의 세굴을 막고 비탈덮기공, 비탈막기공의 보호를 하는 공작물이다.
(1)사석공
가장 간단한 것으로 비교적 효과가 크다.
(2)돌망태공
돌이 크지않을 경우, 작을 돌을 사석하면 유실하므로 돌을 망태에 넣어 유수에 대항할 수 있게하여 밑다짐 한것
(3)침상공
단상, 섭침상, 목공침상, 개량목상 등이 있다. 침상공은 어느 정도 굴요성(홍수시 하류하도의 변동에 따라 변동되는 것)이 있지만 세굴이 심한곳에는 적당치 않으며 또 채움돌이 유실되기 싶다.
(4)동방틀 및 뼈대
바닥이 암석, 자갈, 호박돌로서 말뚝박기가 불가능할 때 사용
(5)콘크리트블록공
굴요성,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 구조는 블록이 철근이나 또는 블록 상호의 물림 등으로 전체가 일체로 되어 유수에 저항하도록 하고 굴요성도 충분히 갖도록 한 것이다.
6. 호안의 안정
호안은 주로 기초의 세굴에 의해 파괴되지만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파괴된다.
호안의 파괴의 원인과 대책에 대해 알아보자.
1) 기초세굴에 의한 파괴
세굴에 의해 기초부분이 파괴되고 점차 호안전체로 확대되는 경우
호안설계시 설치장소의 하상변동을 조사하여 기초부분이 세굴에 안전하도록 기초 밑 깊이, 밑다짐 공법 등을 설치해야 한다.
2) 뒤채움 토사의 흡출에 의한 파괴
호안의 뒷채움 토사가 흡출되어 파괴를 일으키는 형태이다. 이런 흡출현상은 수위변화가 심한 하천의 수위 급강하시 잔류수압에 의해 호안의 이음눈 등에서 뒷채움 토사가 유출되 는 피핑 현상으로서 공동을 유발하게 된다.
뒤채움 재료를 여러크기 입자를 사용하여 양호한 입도를 유지한다.
3) 잔류수압에 의한 파괴
경사가 급한 호안에서 발생되는 파괴
수위변화가 심한 하천이나 간만의 차가 큰 감조부에서는 이러한 파괴위험이 높으므로 역 학적 안전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4) 유수에 의한 비탈덮기의 파괴
비탈덮기의 마찰력보다 유수력이 크게되어 비탈덮기의 일부분이 유출되면서 호안의 파괴를 일으키는 형태
비탈덮기의 구성요소인 사석이나 블록을 적당한 크기 이상을 채택하고, 찰붙임에서는 모르타르를 제대로 시공하며, 일부분의 파괴가 전체에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종단방향으로 10~20m 간격으로 구조이음눈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5) 호안머리부분 세굴에 의한 파괴
호안머리를 월류하는 홍수시 또는 저수호안의 고수부까지 수위가 상승한 경우 호안상단부 의 뒷면이 세굴되어 호안의 파괴를 일으키는 형태
호안머리보호공을 설치한다.
6)호안구조 변화점 부근의 파괴
호안의 상하류단에서 세굴이 발생하여 호안의 파괴를 일으는 형태. 주로 신설호안과 상하 류에 위치한 기존제방의 호안구조가 다른 것에 기인한다.
기존제방과 신설호안의 사이에 완화구간을 설치하고 신설호안의 조도를 크게 하는 것이 좋으며 비탈멈춤을 설치하는 것도 고려한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6.03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01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