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 연구의 역사와 연구방안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경 연구의 역사와 연구방안에 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악하다고 해도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 사막에서도 생명은 무수히 많이 존재하며 진흙탕에서도 연꽃은 고귀하고 아름답게 피어날 수 있다. 우리가 현재 한국 조경의 앞날이 깜깜하다고 여겨질지라도 나 한사람부터 작은 것부터 시작해서 개선시켜나가고자 하는 정신이 있다면 우리의 후손들도 선진국의 지금 우리세대와 같이 자랑스러워 할 것이다.
나는 이런 의미에서 우리 현대 조경의 아마추어리즘을 높이 평가하고 싶다. 누군가는 현대 한국 조경이 아마추어리즘, 실험주의의 경향을 보인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그러나 의도적인 조잡한 아마추어리즘이 아니라 좀 더 개선해 가고 변화시켜나가고자 하는 실험정신과 도전정신인 있는 아마추어리즘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제 나의 생각을 정리하고자 한다. 우리 한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진흙에서 연꽃을 피우느냐 아니면 포기하고 그냥 가라앉아 썩어 버릴 것이냐’이다. 그렇다고 모두 연꽃만 피우고자 해서는 매우 곤란하다. 수련도 물옥잠도 물질경이도 부들도 심지어 개구리밥까지 모두가 그 자체로서 의미와 존재 가치가 있는 것이다. 우리는 유행에 아주 민감한 사람들이다. 그러다 보니 누군가가 무엇을 해서 좋아 보인다고 여겨지면 자신의 조건이나 가치는 벗어 던져 버리고 일제히 그것을 좇아간다. 이로 인하여 다양한 많은 사람들이 한 가지 유형으로 흘러 결국은 우리를 식상하게 만들어 버린다. 조경에서도 획일적인 한가지 관점이나 유행하는 양식으로 모이는 경향이 있는데 이제는 한 발 물러서서 통합적이고 다양한 시각에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다양하지만 얕은 지식으로 이것저것을 짬봉시켜 전체의 매력을 떨어뜨리게 해도 된다는 말은 절대 아닌 것이다. 이런 점에서는 오직 한 분야만이라도 확실히 알아서 다양한 환경 변수와 조건에 따라서 그것에 맞게 새롭게 변형하고 창조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본다. 그리고 나서 이를 여러 분야로 넓혀 가는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자신만의 독특한 철학이나 조경 정신은 자동적으로 향기를 내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이규목(1998), “우리나라 조경학 분야의 21세기를 향한 도전과 전망” 21세기 도시 환경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서울 대학교 환경 대학원, pp 135-146
이규목(1993), 현대 한국조경작품집, 서울 대학교 환경 대학원
정영선(1993), “한국 조경연구의 성찰과 평가” 도시/환경 분야 연혁의 성찰과 전망, 서울대 환경대학원 개원 20주년 세미나집
"조경에 대한 환경 미학적 접근: 전통적 조경관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대안의 모색“, 서울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김영대(1995), 현대 한국조경작품의 설계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3:2, pp 84-85
김한배(1998), 프로그램주의, 형태주의, 자연주의를 넘어서..., 조경과 문화LOCUS 창간호, pp 65-78
이규목(1998), 젊은 조경인에게 보내는 편지, 조경과 문화LOCUS 창간호, p 160
이규태(1997), 한국인의 조경양식, 환경과 조경 113호, pp 54-58
정재훈(1997), 발국조사를 통해 본 전통조경양식, 환경과 조경 113호, pp 58-62
전영옥(1997), 조선시대 문헌 속에 기술된 조경, 환경과 조경 113호, pp 83-87
이희중(1997), 전통회화속에 나타난 자연관과 조경양식, 환경과 조경 113호, pp 78-82
정동오(1997), 전통조경문화 계승상의 문제점과 그 대책, 환경과 조경 110호, pp 60-65
이왕기(1997), 전통 변용의 한계와 극복, 환경과 조경 113호, pp 66-73
정기호(1997), 초월과 극복의 개념과 현상-한국전통조경의 현대적 계승방안, 환경과 조경 113호, pp 92-97
김한배(1997), 한국조경의 전통과 설계적 상상력, 환경과 조경 113호, pp 98-103
백지성(1997), 일본 조경의 전통과 계승, 환경과 조경 113호, pp 74-79
강태호(1997), 중국 전통 조경의 특징과 현대적 계승, 환경과 조경 113호, pp 80-87
김용수(1997), 해외의 전통조경계승과 현대화 사례-독일의 분구원, 환경과 조경 113호, pp 66-73
양병이(1989), 조경계획과 조경설계 터전 제 2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pp 9-14
신상섭(1997), 문화인식으로 본 현대 한국 조경 경향에 대한 비평, 환경과 조경111호, pp68-75
김한배(1999), 한국, 오늘의 조경정신, 환경과 조경 129호, pp 114-117
조경진(1999), 학문으로서의 조경 : 변천과 전망, 환경과 조경 129호
배정한, 조정송(1993), 한국조경학회지 51호
문석기(1983), 우리나라 조경분야의 10년 발전약사, 한국조경학회지(11:2)
편집부(1986), 한국 조경의 현황과 미래를 진단한다. 환경과 조경 12호
성종상(1997), 조경업역의 변천과 미래, 환경과 조경129호, pp 122-137
김한배(1997), 21세기 도시조경의 파라다임 전환, 환경과 조경 107호, pp 80-85
곽영훈(1997), 한국 조경의 철학적 접근, 환경과 조경111호, pp88-91
김농오(1997), 미래 조경가의 자질과 사상, 환경과 조경111호, pp97-101
심우경(1997), 조경가의 직업윤리, 환경과 조경111호, pp92-96
안계복(1997), 서양철학이념이 조경에 미친 영향, 환경과 조경111호, pp76-79
홍광표(1997), 한국전통에 내재하는 동양사상, 환경과 조경111호, pp80-87
안동만(1997), 과연 무엇을 한국 조경의 철학이라고 정의 할 수 있는가?, 환경과 조경111호, pp62-67
김용규(1993), “조경은 과연 종합과학 예술인가?” 환경과 조경
최혁준, 황기원(1998), 제 4회 “한국조경가협회 작품전” CD-ROM, 서울 대학교 환경 대학원
편집부(1999), 김해의 문화의 거리, 환경과 조경133호, pp46-51
편집부(1999), 실험적 도시 가로 테마 공원, 환경과 조경130호, pp36-39
편집부(1998), 광화문 시민 열린마당 오픈, 환경과 조경127호, pp36-39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6.03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01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