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센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원봉사센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구대학교 자원봉사센터
(1) 대구대학교 자원봉사센터의 발전과정
(2) 대구대학교 자원봉사센터의 현황

2. 경산 자원봉사센터
(1)경산 자원봉사센터의 발전과정
(2)경산 자원봉사센터의 현황

3. 자원봉사센터의 역할과 기능

4. 대구광역시 자원봉사센터
(1)자원봉사센터 현황

5. 자원봉사센터 봉사관련정보
(1) 자원봉사 인증센터 운영
(2) 인증센터가 하는 일

본문내용

.
경산자원봉사센터는 사무실만 있는 실정. 강당, 상담실, 자원봉사자실 등 자원봉사 자나 클라이언트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이 필요.
5. 현재 자원봉사센터에서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
-복지기관 등에 소속되어 있는 자원봉사자나 단체를 픽업해오기가 힘듬. 복지관에서는 자신들에게 소속되어 있는 자원봉사자들을 자원봉사센터에서 관리를 한다는 것을 못마땅 해 하고 있는 상황.
6. 타기관과 차별되는 독특한 프로그램
-자원봉사센터의 프로그램은 모두 비슷하다.
지금 우리기관에서는 경산시내에서 쿠폰을 활용하여 병원 등에서 할인을 받을 수 있는 사 업을 계획 중.
7. 경산자원봉사센터에서 가장 활성화 된 부분
-주거환경보수 프로그램과 꽃길 가꾸기 프로그램.
8. 자원봉사센터의 재정
-시보조금, 재단지원금, 후원금, 후원사업 등을 통해서 확보.
9.더 해주실 말씀이나 선생님의 의견
-자원봉사센터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사라고 하기 보다는 자원봉사관리자라 는 말이 맞는 것 같다. 자원봉사관리자의 입장에서는 자원봉사의 초점이 클라이언트에게 있는 게 아니라 자원봉사자에게 초점이 있다.
3. 지역자원봉사센터의 역할과 기능
역할
기능
①강력한 자원봉사 전달체계 확립
②자원봉사 정보망 구축
③효과적인 자원봉사프로그램 관리
④기금마련 지원
⑤문제해결을 위한 연합체 건설
⑥개인능력 발휘 제공
⑦협력체의 활동실적 통합관리
⑧전산망 이용활성화를 위한 교육
⑨중앙센터와 교륙, 협력
①지역센터간 교륙협력체계 구축
②자원봉사 및 활용기관 모집
③자원봉사 및 활용기관 상담, 교육, 훈련
④자원봉사자의 수급, 조정
⑤지역사회 발전과 프로그램 개발
⑥홍보 및 홍보자료의 개발, 보급
⑦봉사활동 관련 자료와 정보제공
⑧시설기구자재의 대여, 재정 지원
⑨자원봉사 소그룹 육성 및 조직
⑩자원봉사활동 중의 사고에 대한 보상
⑪국내, 외 교류
⑫자원봉사에 대한 인정, 대변
4. 대구광역시 자원봉사센터
연번
기관명
주소
전화번호
팩스
1
남구자원봉사센터
남구 대명2,8동 19-1
473-1199
476-7733
2
달서구자원봉사센터
달서구 신당동 1844
581-1369
585-4646
3
북구자원봉사센터
북구 칠성1가 409-75
421-1365
431-1366
4
서구자원봉사센터
서구 원대3가 1221-6
358-9777
359-0108
5
동구자원봉사센터
동구 효목2동 400-1
744-1365
744-1364
6
수성구자원봉사센터
수성구 범어1동 283-3
750-3473
740-0714
7
중구자원봉사센터
중구 남산4동 248 까치아파트 내 1층
254-6367
252-6367
8
대구볼런티어센터
달서구 두류 1동 776-8
624-5634
652-8067
9
대구수성구청소년자원봉사센터
수성구 황금동 산 143-1
761-9400
761-9347
10
대구종합자원봉사센터
달서구 두류1동 776-8
652-8075
652-8067
11
대구청소년자원봉사센터
달서구 송현1동 702
623-4083
627-3307
12
한국노년자원봉사회대구경북지부
서구 원대3가 1221-6
359-0108
359-0108
5. 자원봉사센터 봉사관련정보
1)자원봉사 인증센터 운영
인증센터란 전국의 시설, 기관, 단체 중 인증센터지정신청을 하고 이를 한국사회복지협의 회장 및 시도사회복지협의회장으로부터 인가받은 “사회복지봉사활동 인증관리 서비스”의 공식인증기관으로 자원봉사자 육성, 파견, 실적관리, 교육관리등의 업무를 합니다.
사회복지봉사활동 실적의 인증관리 인정과 보상체계마련 및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한 생산적 복지증진, 운영관리 및 상호협력체계의 구축을 위해 마련하고자 합니다.
2)인증센터가 하는 일
공식적인 인증센터로 지정을 받고 인증요원교육을 이수한 요원들이 활동.
자원봉사에 관한 전반적인 업무(자원봉사자 육성, 파견, 실적관리, 교육관리, 품앗이파견 등)를 주관하며 공식인증서를 발행.
자원봉사자들의 권익보호를 위한 다양한 업무를 진행.
- 품앗이 제도 실시
봉사활동 누적시간이 총 50시간 이상이 되는 봉사자가 직접 품앗이 받을 사람을 지정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50시간 이상 봉사자가 누적시간 범위 내에서 사용가능.
- vms.bokji.net에서 자원봉사자 등록
본인이 속한 지역의 자원봉사인증센터에 활동신청 개별연락을 통한 자원봉사활동배치 활동 후 자원봉사활동 자료 전산등록 자원봉사활동 확인서 발급(활동인정)
전국 전산망 통일로 봉사자의 거주지역 변동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봉사활동 파견이 가능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6.05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04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