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 해부생리
2. 정의 및 원인
3. 진단 방법
4. 증상 및 병태생리
5. 치료
Ⅱ. 환자의 일반 정보
Ⅲ. 수술명과 수술과정.
Ⅳ. 수술 전 준비사항
Ⅴ. 수술 직전 준비사항
Ⅵ. 수술실 도착
Ⅶ. 수술대 위의 준비
Ⅷ. 회복실 간호
Ⅸ. 수술후 합병증 및 치료
1. 해부생리
2. 정의 및 원인
3. 진단 방법
4. 증상 및 병태생리
5. 치료
Ⅱ. 환자의 일반 정보
Ⅲ. 수술명과 수술과정.
Ⅳ. 수술 전 준비사항
Ⅴ. 수술 직전 준비사항
Ⅵ. 수술실 도착
Ⅶ. 수술대 위의 준비
Ⅷ. 회복실 간호
Ⅸ. 수술후 합병증 및 치료
본문내용
료
1) 보수적 치료
① 원인 치료
② 악화 요인의 제거
③ 신부전의 진행을 늦추는 방법
④ 식이요법
2) 대치요법
① 혈액 투석
② 복막 투석
③ 신장 이식
혈액투석위해 CRF 시행
Ⅲ. 수술명과 수술과정.
1. 수술명
AVF (AterioVeninous Fistula)
수술일시 : 2005년 4월 7일 PM 시 ~5시 20분
2. 수술과정 ( 마취방법 : Local )
① adson tissue metzen 이용하여 박리시킨다.
② Senn ret 사용하여 vein 노출시킨다.
vessel등은 3번 silk tie를 2번 한다.
③ vessel loop를 걸어 tagging하고 vein을 dissection후 bulldog으로 잡아 놓는다.
④ artery를 3번 silk tie하여 dissectiongn 노출하고 vessel loop tagging 한다.
⑤ artery가 보이면 bull dog으로 양쪽을 잡고 11번 mess로 incision후 metzem으로 vein을 지름에 맞게 자른다.
⑥ vein을 heparin irrigation 한다. (dilactor로 길을 열어 줌)
⑦ prolen 6/0을 adson smooth와 함께 micro needle holder로 suture후 mosguito boots 끼운 것으로 tagging 한다.
⑧ vein과 artery를 연결 후 irrigation하고 bull dog을 풀어서 연결이 잘 되어지는지 확인한다. bleeding이 계속 되면 surgicald을 길게 4등분 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A: 동맥 조영술 사진 B: 정맥 조영술 사진 C: 도플러 초음파 사진 AVF 시술환자 사진
Ⅳ. 수술 전 준비사항
일반적
금식, 수술 동의서, 피부준비, 관장, 환자 교육
PT
수술 동의서, 피부 준비, 환자 교육
Ⅴ. 수술 직전 준비사항
① 수술대 위에 깨끗한 포를 깔고, 수술 시간이 길어질 경우
체온 조절을 위한 Warm mattress를 준비
② 수술대위에 무영등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고 초점과 강도를 확인하기위해
무영등을 켜 봄
③ 흡인기를 포함한 필요한 장비를 점검하고 확인
④ 수술 절차나 수술의의 기호에 따라 필요한 기구와 장비(bovie, vessel loop, 지혈대등),
수술 재료( bull dog )를 준비
⑤ 수술시 환자 체위에 필요한 장치나 베게를 준비
Ⅵ. 수술실 도착
① 간호사 소개
② 수술 환자 확인 및 보호자에게 설명
③ 의료 인력과 함께 수술방으로 환자 이송
④ 수술 침대로 환자 이동 - 운반차의 바퀴 고정
⑤ arm belt, knee belt를 고정하여 낙상 방지
⑥ 따뜻한 시트로 환자 보온
⑦ 지혈대로 어깨에서 팔로 내려오는 부분을 묶어줌
Ⅶ. 수술대 위의 준비
① 체위 : supine position
② 피부소독 : Lt. arm
③ draping : 손은 glove 2번 씌워 봉함
일반적
① 수술직후 수술팀으로부터 환자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인계 받아 계속적인 간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② pulse oxmetry, EKG, NIBP등 monitoring을 시행한다.
③ 수술부위 출혈유무, 각종 Catheter 및 tube, drain의 상태를 확인한다.
④ 마취에서 회복되는 시간 동안 활력징후를 10분간격으로 계속 Check하면서 확인한다.
⑤ 심호흡 및 효과적인 기침방법에 대해 시범을 보여주고, 직접 실시하도록 격려하며, 병실에서도 계속하여야만 하는 필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⑥ 마취후 회복 점수표에 의해 평가하여 마취로부터 충분히 회복되었다고 판단되면 중환자실이나 외과계 병실로 이송하게 된다. 회복실 퇴실 기준을 점수화하여 사용하는 특정양식을 활용한다.
⑦ 병실로 환자를 이동하기 직전에 회복실 간호사는 외과 병실 간호사에게 환자상태에 대해 인계하여 간호의 연속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한다.
PT
① 수술직후 수술팀으로부터 환자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인계 받아 계속적인 간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② 수술부위 출혈유무의 상태를 확인한다.
③ 병실로 환자를 이동하기 직전에 회복실 간호사는 외과 병실 간호사에게 환자상태에 대해 인계하여 간호의 연속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한다.
Ⅷ. 회복실 간호
Ⅸ. 수술후 합병증 및 치료
혈전으로 인한 폐색 : 혈전 제거술 or 혈전 용해술
정맥 혈관 협착 : 풍선 확장술
인공혈관 감염 : 감염된 인공혈관 제거술 후 반대편에 AVF 시행
인공혈관 부분 파열로 인한 동맥류 : 인공혈관 부분 제거후 새로운 인공 혈관 삽입
1) 보수적 치료
① 원인 치료
② 악화 요인의 제거
③ 신부전의 진행을 늦추는 방법
④ 식이요법
2) 대치요법
① 혈액 투석
② 복막 투석
③ 신장 이식
혈액투석위해 CRF 시행
Ⅲ. 수술명과 수술과정.
1. 수술명
AVF (AterioVeninous Fistula)
수술일시 : 2005년 4월 7일 PM 시 ~5시 20분
2. 수술과정 ( 마취방법 : Local )
① adson tissue metzen 이용하여 박리시킨다.
② Senn ret 사용하여 vein 노출시킨다.
vessel등은 3번 silk tie를 2번 한다.
③ vessel loop를 걸어 tagging하고 vein을 dissection후 bulldog으로 잡아 놓는다.
④ artery를 3번 silk tie하여 dissectiongn 노출하고 vessel loop tagging 한다.
⑤ artery가 보이면 bull dog으로 양쪽을 잡고 11번 mess로 incision후 metzem으로 vein을 지름에 맞게 자른다.
⑥ vein을 heparin irrigation 한다. (dilactor로 길을 열어 줌)
⑦ prolen 6/0을 adson smooth와 함께 micro needle holder로 suture후 mosguito boots 끼운 것으로 tagging 한다.
⑧ vein과 artery를 연결 후 irrigation하고 bull dog을 풀어서 연결이 잘 되어지는지 확인한다. bleeding이 계속 되면 surgicald을 길게 4등분 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A: 동맥 조영술 사진 B: 정맥 조영술 사진 C: 도플러 초음파 사진 AVF 시술환자 사진
Ⅳ. 수술 전 준비사항
일반적
금식, 수술 동의서, 피부준비, 관장, 환자 교육
PT
수술 동의서, 피부 준비, 환자 교육
Ⅴ. 수술 직전 준비사항
① 수술대 위에 깨끗한 포를 깔고, 수술 시간이 길어질 경우
체온 조절을 위한 Warm mattress를 준비
② 수술대위에 무영등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고 초점과 강도를 확인하기위해
무영등을 켜 봄
③ 흡인기를 포함한 필요한 장비를 점검하고 확인
④ 수술 절차나 수술의의 기호에 따라 필요한 기구와 장비(bovie, vessel loop, 지혈대등),
수술 재료( bull dog )를 준비
⑤ 수술시 환자 체위에 필요한 장치나 베게를 준비
Ⅵ. 수술실 도착
① 간호사 소개
② 수술 환자 확인 및 보호자에게 설명
③ 의료 인력과 함께 수술방으로 환자 이송
④ 수술 침대로 환자 이동 - 운반차의 바퀴 고정
⑤ arm belt, knee belt를 고정하여 낙상 방지
⑥ 따뜻한 시트로 환자 보온
⑦ 지혈대로 어깨에서 팔로 내려오는 부분을 묶어줌
Ⅶ. 수술대 위의 준비
① 체위 : supine position
② 피부소독 : Lt. arm
③ draping : 손은 glove 2번 씌워 봉함
일반적
① 수술직후 수술팀으로부터 환자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인계 받아 계속적인 간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② pulse oxmetry, EKG, NIBP등 monitoring을 시행한다.
③ 수술부위 출혈유무, 각종 Catheter 및 tube, drain의 상태를 확인한다.
④ 마취에서 회복되는 시간 동안 활력징후를 10분간격으로 계속 Check하면서 확인한다.
⑤ 심호흡 및 효과적인 기침방법에 대해 시범을 보여주고, 직접 실시하도록 격려하며, 병실에서도 계속하여야만 하는 필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⑥ 마취후 회복 점수표에 의해 평가하여 마취로부터 충분히 회복되었다고 판단되면 중환자실이나 외과계 병실로 이송하게 된다. 회복실 퇴실 기준을 점수화하여 사용하는 특정양식을 활용한다.
⑦ 병실로 환자를 이동하기 직전에 회복실 간호사는 외과 병실 간호사에게 환자상태에 대해 인계하여 간호의 연속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한다.
PT
① 수술직후 수술팀으로부터 환자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인계 받아 계속적인 간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② 수술부위 출혈유무의 상태를 확인한다.
③ 병실로 환자를 이동하기 직전에 회복실 간호사는 외과 병실 간호사에게 환자상태에 대해 인계하여 간호의 연속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한다.
Ⅷ. 회복실 간호
Ⅸ. 수술후 합병증 및 치료
혈전으로 인한 폐색 : 혈전 제거술 or 혈전 용해술
정맥 혈관 협착 : 풍선 확장술
인공혈관 감염 : 감염된 인공혈관 제거술 후 반대편에 AVF 시행
인공혈관 부분 파열로 인한 동맥류 : 인공혈관 부분 제거후 새로운 인공 혈관 삽입
추천자료
한의학과 건강 (음양오행)
임산부의 운동교육 계획안
[현대사회와 스포츠] 현대사회와 스포츠 요점정리
사회복지개론레포트
고령화사회와 노인복지의 실태,문제점,발전방향연구
노인복지정책 의의 문제점 개선현황
[노년기의 특성] 노화에 관한 이론과 노화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변화
노인가족에 대한 정책적 대안
족저근막염
[노인복지] 교정복지 - 노인 범죄에 관해서
[노인 복지론] 노인의 개념 및 노인의 조작적 정의, 노화의 정의와 노화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복지 개론] 노인복지 - 노인의 개념과 노인복지의 정의, 현대사회에서 노인문제와 문제...
암세포의 발생 및 암의 진행과정(발암과정), 암의 발생원인, 암환자의 영양관리, 암의 치료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