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P address
1.1 Classful IP Addressing
가) Class A Networks ( /8 Prefixes)
나) Class B Networks ( /16 Prefixes)
다) Class C Networks ( /24 Prefixes)
라) Class D마) Class E
바) Private IP address
2. Subnetting
2.1. 개요
가) Subnetting장점
나) Subnet Mask
다) Subnet표시방법
라) All-0s Subnet and All-1s Subnet
마) B Class Subnet Example
1.1 Classful IP Addressing
가) Class A Networks ( /8 Prefixes)
나) Class B Networks ( /16 Prefixes)
다) Class C Networks ( /24 Prefixes)
라) Class D마) Class E
바) Private IP address
2. Subnetting
2.1. 개요
가) Subnetting장점
나) Subnet Mask
다) Subnet표시방법
라) All-0s Subnet and All-1s Subnet
마) B Class Subnet Example
본문내용
× 최대 호스트수 = 256
다음은 Class B IP Address에 대한 subnet mask를 8bit 확장하면 Host Address영역은 8bit가 줄어들지만 Network Address 영역은 8bit가 확장되어 하나의 Network Address에 대해 늘어난 영역만큼 즉 = 256 개만큼의 subnet을 생성해 활용할 수 가 있다.
가령 164.124.0.0 / 16에 대해 subnet mask 255.255.255.0를 적용하면 새로운 subnet 은
164.124.0.0 /24
164.124.1.0 /24
164.124.2.0 /24
164.124.3.0 /24
164.124.4.0 /24
............
164.124.254.0 /24
164.124.255.0 /24
즉 256개가 생겨난다.
가령 Destination IP Address가 164.124.3.235인 packet을 전달하고자 할 때 우선 164.124.0.0에 대한 subnet mask를 적용하여 해당 subnet을 알아내고 그 subnet에 대한 경로를 Routing Table에서 검색하여 해당 경로로 전달한다. Subnet mask를 적용하는 방법은 Destination IP Address의 bit열에 subnet mask bit열을 AND 논리를 적용한다.
라) All-0s Subnet and All-1s Subnet
처음 Subnetting을 정의할 때, Classful Router가 혼란을 일으킬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All-0s 서브넷과 All-1s 서브넷을 사용하는 것을 RFC950에서는 금지되어 있지만 많은 상용 라우터는 Classful Protocol(RIP-1)과 Classless Protocol (BGP-4)를 동시에 지원하고 있어All-0s 서브넷과 All-1s 서브넷을 사용하는 것을 허용된다.
마) B Class Subnet Example
Class B에 대한 아래 표는 시스코 ICND 교재를 참조한 내용이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먼저 기술된 내용과 다른 이유는 시스코 자격시험에서는 RFC950 표준에 따른 기준으로 시험문제를 기술해야만 된다. 따라서 Subnet수가 2N-2로 계산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명령어 ip subnet-zero를 Cisco라우터에서 설정시에는 All-0s 서브넷과 All-1s 서브넷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목차
1. IP address
1.1 Classful IP Addressing
가) Class A Networks ( /8 Prefixes)
나) Class B Networks ( /16 Prefixes)
다) Class C Networks ( /24 Prefixes)
라) Class D마) Class E
바) Private IP address
2. Subnetting
2.1. 개요
가) Subnetting장점
나) Subnet Mask
다) Subnet표시방법
라) All-0s Subnet and All-1s Subnet
마) B Class Subnet Example
다음은 Class B IP Address에 대한 subnet mask를 8bit 확장하면 Host Address영역은 8bit가 줄어들지만 Network Address 영역은 8bit가 확장되어 하나의 Network Address에 대해 늘어난 영역만큼 즉 = 256 개만큼의 subnet을 생성해 활용할 수 가 있다.
가령 164.124.0.0 / 16에 대해 subnet mask 255.255.255.0를 적용하면 새로운 subnet 은
164.124.0.0 /24
164.124.1.0 /24
164.124.2.0 /24
164.124.3.0 /24
164.124.4.0 /24
............
164.124.254.0 /24
164.124.255.0 /24
즉 256개가 생겨난다.
가령 Destination IP Address가 164.124.3.235인 packet을 전달하고자 할 때 우선 164.124.0.0에 대한 subnet mask를 적용하여 해당 subnet을 알아내고 그 subnet에 대한 경로를 Routing Table에서 검색하여 해당 경로로 전달한다. Subnet mask를 적용하는 방법은 Destination IP Address의 bit열에 subnet mask bit열을 AND 논리를 적용한다.
라) All-0s Subnet and All-1s Subnet
처음 Subnetting을 정의할 때, Classful Router가 혼란을 일으킬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All-0s 서브넷과 All-1s 서브넷을 사용하는 것을 RFC950에서는 금지되어 있지만 많은 상용 라우터는 Classful Protocol(RIP-1)과 Classless Protocol (BGP-4)를 동시에 지원하고 있어All-0s 서브넷과 All-1s 서브넷을 사용하는 것을 허용된다.
마) B Class Subnet Example
Class B에 대한 아래 표는 시스코 ICND 교재를 참조한 내용이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먼저 기술된 내용과 다른 이유는 시스코 자격시험에서는 RFC950 표준에 따른 기준으로 시험문제를 기술해야만 된다. 따라서 Subnet수가 2N-2로 계산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명령어 ip subnet-zero를 Cisco라우터에서 설정시에는 All-0s 서브넷과 All-1s 서브넷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목차
1. IP address
1.1 Classful IP Addressing
가) Class A Networks ( /8 Prefixes)
나) Class B Networks ( /16 Prefixes)
다) Class C Networks ( /24 Prefixes)
라) Class D마) Class E
바) Private IP address
2. Subnetting
2.1. 개요
가) Subnetting장점
나) Subnet Mask
다) Subnet표시방법
라) All-0s Subnet and All-1s Subnet
마) B Class Subnet Example
추천자료
TCP/IP 어드레싱(Addressing) 및 서브넷팅(Subnetting) 기본의 이해
Subnetting 과 Supernetting
네트워크의 이해, protocol analyze, Traceroute
TCP/IP 프로토콜 요약
[인터넷][IPv6][차세대인터넷 등장 고찰][IP주소 고갈][IPv6 특징][IPv6 표준화][IPv6 도입 ...
ip, mac address, subnet Mask, Gateway, DHCP Server, DNS Server 및 TCP/IP 프로토콜의 Layer
윈도우 환경에서 TCP/IP 설정시 게이트웨이의 역할
서브넷 주소체계(Classful, Proxy ARP, Subneting)
네트워크의 기본 IP와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의 이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