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음의 변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음의 변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중세 모음 체계

2. 근대 모음 체계

3. 현대 모음 체계 (20세기∼)

본문내용

현대국어의 모음체계는 단모음 10개, 그리고 중모음 12개로 구성되어 있다.
단모음 : ㅣ, ㅟ, ㅡ, ㅜ
ㅔ, ㅚ, ㅓ, ㅗ
ㅐ,ㅏ
중모음 : ㅖ, ㅕ, ㅠ
ㅒ,ㅑ, ㅛ
ㅞ, ㅝ
ㅙ, ㅘ

반모음 : /j, w/
현대국어의 모음의 변별적 자질은 세가지로써 구분되는데, 혀의 최고점의 전, 후 위치와 혀의 높낮이, 입술의 모양으로 나눈다.
혀의
앞뒤
혀의
높이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중모음은 이중모음만 쓰이며, 그 대부분은 뒤요소에 모음점이 있는 상승적 중모음이다.
반모음은 /j/와 /w/는 중ㆍ저의 네 평순모음에는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전 후> <전 후>
중 : ㅖ/je/, ㅕ/j / 중 : ㅞ/we/, ㅝ/w /
저 : ㅒ/jε/, ㅑ/ja/ 저 : ㅙ/wε/ ㅘ/wa/
반모음이 연결될 수 없는 단모음은 ㅟ, ㅚ, ㅡ의 셋이며, ㅣ에는 /j/가 연결될 수 없고, ㅗㅜ에는 /w/가 연결될 수 없다. 그리하여 ㅛ. ㅠ. ㅟ의 세 중모음만이 더 나타난다.
<참고문헌>
우리말 발달사/ 김형주 저/ 세종출판사
국어 음운학/ 허웅 / 정음사
국어사 개설/ 이기문/ 태학사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7.08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09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