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강화되어야 하거나 앞으로 시행되어야 하는 사업
자료 : 김미혜, 주간보호사업의 개관,P. 27. 재구성
의료ㆍ간호서비스는 이용노인의 만성질환이나 건강변화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건강관리 및 유지를 위한 투약ㆍ드레싱ㆍ건강상담 등의 서비스 제공이외에도 내과ㆍ외과ㆍ치과ㆍ안과ㆍ한방 등의 종합적인 의료 진료를 통하여 노인들의 질병을 조기 발견하여 치료대책을 세우는 것에 목적을 둔다. 김미혜, “주간보호사업”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PP. 26~27
노인주간보호 서비스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간보호는 허약한 노인의 자조생활 능력을 유지ㆍ강화하여 가정에서 계속 살아갈 수 있도록 낮 동안 보호하는 서비스이다.
둘째, 노인의 신체적ㆍ정신적ㆍ정서적 건강을 유지하여 심신기능의 약화를 예방하 여 시설입소를 방지하거나 지연시키도록 한다.
셋째, 재활서비스를 제공하여 노인의 신체적ㆍ정신적ㆍ정서적 기능을 회복하도록 지원 한다.
넷째, 노인들이 안전하고 지지적인 환경에서 동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회 화, 오락, 취미활동을 계속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섯째, 부양자들의 심신건강을 유지하고, 부양활동을 계속하는데 필요한 휴식, 상 담, 가족모임, 수발교육 등을 제공한다.
여섯째, 주간보호는 노인을 위한 보호연속체(continum of care)의 중요한 역활을 담당하고 허약한 노인과 그 가족들에게 필요한 지역사회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인 서비스내용은 생활지도 및 일상동작훈련 등 심신의 기능회복을 위한 서비스, 급식 및 목욕 서비스, 취미, 오락, 운동 등 여가생활 서비스, 장애노인 가족에 대한 교육 등이다. 2005년 현재 주간보호사업은 237개소에서 4,390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서비스의 종류는 기능훈련, 물리치료, 취미활동, 목욕서비스 등이다.
마. 전달체계
주간보호시설의 전달체계를 보면 보건복지부(노인복지과) → 특별(광역)시ㆍ도(가정복지과) → 시ㆍ군ㆍ구(가정복지과, 사회복지과) → 주간보호시설로 연결 된다.
재가노인복지사업의 전달체계는 보건복지부의 특별지방행정조직으로 구성되는 독립적인 전달체계로 확립되어 있지 않고 일반 행정을 담당하는 행정자치부의 하부조직에 의존하는 이원적 체계이다.
바. 재정
주간보호사업의 재정충당은 정부지원이 대부분인데 국비 40%와 지방비 60% 로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의 지원은 시설별 운영평가에 따라 우수시설, 보통시설, 미흡시설로 구분하여 차등지원하고 있다. 정부의 지원내용은 인건비, 운영비, 사업비 등 일부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보조하며 장비구입비, 사업비 부족액도 지방정부가 추가 지원토록 하고 있다.
정부의 사업지원지침에 의하여 재가노인복지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민간기관중 생활보호대상 노인과 저소득층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국고로 인건비, 운영비 등 일부를 보조하는 것으로 기본적인 지원은 시설별로 차등을 둔다. 기준액은 우수시설의 경우, 년간 5.200만원이고, 보통시설은 년간 5.000만원, 미흡시설로 평가된 경우에는 년간4.800만원을 지원받게 된다.
자료 : 김미혜, 주간보호사업의 개관,P. 27. 재구성
의료ㆍ간호서비스는 이용노인의 만성질환이나 건강변화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건강관리 및 유지를 위한 투약ㆍ드레싱ㆍ건강상담 등의 서비스 제공이외에도 내과ㆍ외과ㆍ치과ㆍ안과ㆍ한방 등의 종합적인 의료 진료를 통하여 노인들의 질병을 조기 발견하여 치료대책을 세우는 것에 목적을 둔다. 김미혜, “주간보호사업”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PP. 26~27
노인주간보호 서비스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간보호는 허약한 노인의 자조생활 능력을 유지ㆍ강화하여 가정에서 계속 살아갈 수 있도록 낮 동안 보호하는 서비스이다.
둘째, 노인의 신체적ㆍ정신적ㆍ정서적 건강을 유지하여 심신기능의 약화를 예방하 여 시설입소를 방지하거나 지연시키도록 한다.
셋째, 재활서비스를 제공하여 노인의 신체적ㆍ정신적ㆍ정서적 기능을 회복하도록 지원 한다.
넷째, 노인들이 안전하고 지지적인 환경에서 동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회 화, 오락, 취미활동을 계속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섯째, 부양자들의 심신건강을 유지하고, 부양활동을 계속하는데 필요한 휴식, 상 담, 가족모임, 수발교육 등을 제공한다.
여섯째, 주간보호는 노인을 위한 보호연속체(continum of care)의 중요한 역활을 담당하고 허약한 노인과 그 가족들에게 필요한 지역사회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인 서비스내용은 생활지도 및 일상동작훈련 등 심신의 기능회복을 위한 서비스, 급식 및 목욕 서비스, 취미, 오락, 운동 등 여가생활 서비스, 장애노인 가족에 대한 교육 등이다. 2005년 현재 주간보호사업은 237개소에서 4,390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서비스의 종류는 기능훈련, 물리치료, 취미활동, 목욕서비스 등이다.
마. 전달체계
주간보호시설의 전달체계를 보면 보건복지부(노인복지과) → 특별(광역)시ㆍ도(가정복지과) → 시ㆍ군ㆍ구(가정복지과, 사회복지과) → 주간보호시설로 연결 된다.
재가노인복지사업의 전달체계는 보건복지부의 특별지방행정조직으로 구성되는 독립적인 전달체계로 확립되어 있지 않고 일반 행정을 담당하는 행정자치부의 하부조직에 의존하는 이원적 체계이다.
바. 재정
주간보호사업의 재정충당은 정부지원이 대부분인데 국비 40%와 지방비 60% 로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의 지원은 시설별 운영평가에 따라 우수시설, 보통시설, 미흡시설로 구분하여 차등지원하고 있다. 정부의 지원내용은 인건비, 운영비, 사업비 등 일부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보조하며 장비구입비, 사업비 부족액도 지방정부가 추가 지원토록 하고 있다.
정부의 사업지원지침에 의하여 재가노인복지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민간기관중 생활보호대상 노인과 저소득층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국고로 인건비, 운영비 등 일부를 보조하는 것으로 기본적인 지원은 시설별로 차등을 둔다. 기준액은 우수시설의 경우, 년간 5.200만원이고, 보통시설은 년간 5.000만원, 미흡시설로 평가된 경우에는 년간4.800만원을 지원받게 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재가노인복지사업][한국 재가노인복지사업][영국 재가노인복지사업][일본 재가노인복지사업]...
장애아동의 현황과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에 관한 조사
≪ 재가노인복지 개념과 내용 ≫
노인주간보호센터 프로그램 계획서
10주차 강의를 요약 정리하시오.(2~3매 내외)♥ 아동시설 보호서비스와 입양
장애인복지시설의 유형, 장애인복지시설의 법적근거, 장애인복지시설의 4대특별지원사업, 장...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성, 장애인생활시설의 실태조사 범위, 장애인생활시설의 전문화, 장애인...
아동복지 4공통) 입양과 가정위탁 보호서비스의 의의와 역할에 대한 비교 논의
노인주간보호센터 2009년 지역복지프로그램 계획(안)
아동, 청소년복지 시설에 대해 정리하고 시설보호서비스의 문제점을 제시.
[아동복지론] 아동학대보호서비스 문제점에 대한 과제 및 개선방안
노인학대의 원인, 현황, 노인학대 예방을 위한 개선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