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도 없어, 아이들이 밟아서 뚫은 토담 구멍으로 다녔던 것 이였다. 사람들의 출입이 잦은 집도 아니었지만 (남자의 다니는 일이) 거듭되었으므로 (그 집의) 주인이 우연히 들어서 알고, 그 다니는 길에 매일 밤 사람을 두어 지켰기에 (남자는) 가지만, (여자를) 만날 수가 없어서 돌아갔다. 그래서 노래 한수 “비밀스러운 내가 다니는 길의 문지기는, 매일 밤 잠들어 버렸으면 좋겠다. ” 라고 읊었으므로 (여자는) 매우 원망스럽게 생각했다. 주인은 지키는 것을 풀었던 것이다. 二條중궁에게 몰래 찾아 뵌 것을 세상에 소문이 났으므로 오라버니 들이 굳게 지키게 하였다고 한다.
<<大和物語>>
<<大和物語>> 951년에 성립되어 뒤에 증보(增補)되었다. 작자는 미상이고 伊勢物語의 계통의 歌物語이나 주인공은 段마다 제각기 다르다. 173단에 294수의 와카(和歌)가 수록되어 있는데 전반과 후반이 다르다. 전반은 당시의 유명한 가진(歌人)의 연애를 내용으로 한 조토카(贈答歌)가 중심으로 우타(歌)의 성립이나 사정을 쓴 작가의 입문서로서의 성격이 강하고, 후반은 전설에서 취재한 설화집으로 단편 物語의 형식을 갖춘 것도 들어 있어 훗날의 物語 문학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大和物語>>
<<大和物語>> 951년에 성립되어 뒤에 증보(增補)되었다. 작자는 미상이고 伊勢物語의 계통의 歌物語이나 주인공은 段마다 제각기 다르다. 173단에 294수의 와카(和歌)가 수록되어 있는데 전반과 후반이 다르다. 전반은 당시의 유명한 가진(歌人)의 연애를 내용으로 한 조토카(贈答歌)가 중심으로 우타(歌)의 성립이나 사정을 쓴 작가의 입문서로서의 성격이 강하고, 후반은 전설에서 취재한 설화집으로 단편 物語의 형식을 갖춘 것도 들어 있어 훗날의 物語 문학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