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LAN 기술의 모든것!!!.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선 LAN 기술의 모든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1 무선 LAN의 정의
1-2 유선 LAN의 단점
시스템 배치의 변경 시 문제
휴대용 시스템에의 적용 문제
시스템 신뢰도 문제
무선 LAN의 장․단점

2-1 무선 LAN의 종류
2-1-1 망구성 방식에 의한 구분
2-2 전송방식에 따른 분석 및 비교표
2-3 무선 LAN 도입을 위한 고려사항
2-4 무선 LAN 시스템 구축시 고려사항
2-5 무선 LAN 시스템 도입시 고려사항
2-5-1 성능 및 비용
2-5-2 라디오 주파수(RF: Radio Frequency) 환경
2-5-3 인체에 대한 안전성
2-6 무선 LAN의 구입 및 운영
2-6-1 무선 LAN 시스템 도입의 장.단점 비교
장 점
단 점
2-6-2 무선 LAN 시스템 구축을 위한 계획수립
2-6-3 무선 LAN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술 검토
2-6-4 무선 LAN 시스템 구축을 위한 검토 및 평가항목
2-7 무선 LAN 보안
2-8 무선 LAN 구성 요소
2-8-1단말(Station)
2-8-2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2-8-3 안테나
2-8-4 무선 망 접속 카드(Wireless Network Interface Card)
2-8-5 무선 LAN 소프트웨어
2-8-6무선 LAN 접속카드가 갖추어야 할 기능

3. 무선 LAN 도입 효과

본문내용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조는 개방형 네트워크 프로토콜 사용으로 이기종간 연결뿐만 아니라, 수평적 구조로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업무집중 현상을 막아주며, 서버의 부하도 최소한으로 하여 노드 수가 증가하더라도 저가의 화일서버로 이를 쉽게 감당할 수 있도록 한다.
2-8-6 무선 LAN 접속카드가 갖추어야 할 기능
무선 LAN 접속카드가 갖추어야 할 기능은 유선 LAN 접속카드와 유사하다.
1) Host-NIC 통신기능 : PC의 메인 메모리와 인터페이스 카드간의 데이터전달
2) Buffering : PC와 데이터 전송부 사이에서 데이터를 일시 보관하는 기능
3) Packet Information : 거의 모든 네트워크에서 송 수신하는 단위
4) Encoding/Decoding : 데이터를 원래의 형태로부터 컴퓨터가 이해할수 있는 형태로 바꾸는 것(encode), decode는 encode의 반대
5) Handshaking : 다음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받았다는 확인응답을 받음
6) Transmission : 전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
사례 1(미 적십자사의 재해 복구)
도입배경
재해가 발생할 경우, 재해 지원팀은 피해자들을 위한 물자, 음식, 장비 등의 지원을 위한 거대한 이동 창고를 운영해야 한다.
이러한 재해 구호 물자는 워싱턴 D.C 인근지역의 적십자본부에서 수집, 분배, 관리되며 각 지방의 적십자 지사에서 사용되어진다.
재해 발생 지역에서의 물자 관리를 위한 망은 최악의 상태에서 최단 시간에 구성되고 최상의 성능을 유지하여야 하며, 상황 종료 후에는 다른 재해에 대비하여 신속히 철수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재해 지역 근처에서 창고로 사용되어지는 건물은 일시적인 임대 또는 기부금에 의해 구해지므로 망 구성을 위한 건물의 회손, 구조 변경 등이 불가능 했으며, 망 구축을 위한 건물 구조의 검토, 배선 설계 등에 많은 시간을 소모할 수 없었다.
과거에는 수기로 재고 관리를 하여야 했으나, 태풍이나 중서부의 홍수 등 대규모 재해를 겪는 동안 자동화의 요구가 제기되었다.
이 새로운 자동화 시스템의 주요 요구 사항으로 이동성, 신뢰성, 사용성, 편이성 등과 함께 정전 시에도 6-8시간 정도는 배터리로 작동이 가능해야 하며, 현장에서 운영되는 모든 물자를 추적할 수 있는 기능과 물자관리에 관한 정보를 현장에서 보관하면서 재해구조본부와 적십자본부 등의 유관기관에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되었다.
가. 무선 LAN 구성
1) 장비현황
적십자 본부
IBM 계열의 서버를 사용하고 PC나 휴대형 컴퓨터 등을 테이터 수집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라우터를 통해 각 지방 지사와 재해구조본부 등을 T1으로 연결하였다.
망 운영체제(NOS)로는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의 망 운영체제를 이용하고 있으며 응용프로그램으로 그룹웨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단말 응용 소프트웨어를 데이터베이스 접속과 전송을 위해 사용하고 있다.
재해구조본부
관할 창고에는 3~8대의 워크스테이션과 정전 시에 대비하여 노트북 PC를 운영하며 NOS를 사용하고 있다.
적십자 요원은 재해 복구 기간 동안 전반적인 관리와 보급 지원을 위하여 망을 사용하며 1,000명 이상의 인원이 재해구조본부에 근무한다.
재해현장
재해현장은 무선 LAN 접속카드, 휴대형 데이터 수집 컴퓨터, 레이저 바코드 스캐너, 프린터 등으로 무선 부분이 구축되었으며, 휴대형 INMARSAT(국제해사위성통신기구) 장비가 음성,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이를 구성한 무선 LAN 구성도는 다음 그림과 같다.
3. 무선 LAN 도입 효과
현재 PCMCIA 카드를 장착한 노트북 PC와 Personal Netware를 기반으로 시범 시스템의 구축이 완료되어 재해 복구 상황에 대비하고 있으며, 향후 재해 발생시 최적의 재해 구조 물자 관리를 통하여 재해 복구와 인명 구조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도입배경
A사의 경우, 전산시스템을 기존의 IBM 호스트를 이용한 온라인 시스템 즉, 중앙집중처리방식의 시스템에서 UNIX 호스트를 이용한 분산처리시스템(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다운사이징(Downsizing)하면서 각 부서의 시스템을 새로운 전산망으로 구축하였는데, 이때 본사는 이동이 잦은 사무실 환경을 고려하여 무선 LAN으로 구축하였고 지역센터 및 출장소는 기존의 유선망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가. 망 구성
본사 사무실 환경에서 백본 LAN은 이더넷으로 설치하고 호스트, 파일 서버, 라우터 및 액세스포인트는 백본 케이블에 접속하였다. 각 단말은 액세스포인트에 무선으로 접속하도록 하였으며, 각 층별로 하나의 액세스포인트에 30대 정도의 단말을 연결하여 총 5개의 액세스포인트에 150여대의 단말이 연결되었다. 또한, NMS를 설치하여 무선 LAN 장비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무선 LAN 시스템이 망 관리를 위한 SNMP 에이전트, MIB를 지원하므로써 다른 유선 LAN 장비와 마찬가지로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 본사와 지점, 출장소 간은 기존의 유선망을 이용, 연결하여 본사 서버의 사용 및 TCP/IP 환경으로 전체 망과도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주요 사용 애플리케이션은 자체 개발한 OA 통합 소프트웨어를 서버에 설치하여 각 단말에서 사용한다. 지점 및 출장소에서는 라우터를 이용하여 본사와 연결, 본사의 파일서버를 이용한 파일공유와 본사의 서버를 이용한 전자우편 시스템을 사용하여 업무연락, 결재 등 모든 문서를 처리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켰다.
이에 대한 망 구성도는 다음 그림과 같다.
사업확장에 따라 늘어나는 업무와 인원증가로 인하여 수시로 이동, 증설되는 단말들을 매번 케이블을 설치하기에는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손실이 크기 때문에 무선 LAN을 구축하므로써, 컴퓨터의 이동, 확장, 변경이 자유로와 지고 백본으로부터 케이블이 분리된 소규모 그룹단위로 LAN이 구성되기 때문에 트래픽 분산이 가능하고 장애에 대한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어 초기투자 비용은 유선 LAN 보다 많았지만, 결국은 생산성 향상과 비용감소 효과를 얻게 되었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5.06.14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4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