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프로야구단의 수익 창출 극대화 전략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관람스포츠
2. 스포츠 관중의 이해
1) 스포츠 관중의 개념
2) 스포츠 관람자와 팬
3. 국내 프로야구의 현황

Ⅲ. 국내 프로야구단의 수입원
1. 관중 동원 수와 입장 수입
1) 년도별 관중 동원 수 추이와 입장수입
2) 입장료의 결정
3) 입장료의 배분
2. 구장 수입
1) 국내 경기장 시설 현황
3. 방송중계권료
4. 광고 수입
5. 라이센싱 수입
6. 구단의 자산가치

Ⅳ. 국내 프로야구단의 수익 창출 극대화 전략

Ⅴ. 결론

본문내용

이니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실제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는 PSL을 통해서 2000년에 개장한 퍼시픽 벨 파크 구장이 문을 열기도 전에 시즌티켓의 사전 구매율을 무려 98%까지 끌어 올려 새 구장을 지은 뒤에 팀의 성적과 상관없이 입장객이 증가하는 효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아직은 국내 사정상 PSL의 도입은 많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긴 하다. 새로운 경기장의 건설 부재, 경기침체, 현재 프로야구의 인기 등이 있다. 따라서 PSL 도입은 당장은 아니지만 가까운 미래에 매력 있는 상품이 될 것이다.
미국 메이저리그에서는 PLS수입과 마찬가지로 특별석 임대수입도 입장수입과는 별개의 수입이기 때문에 원정팀에게 분배되지 않는 수입이다. 슈트석이나 클럽석 혹은 특별석 등의 두 가지 방식으로 판매되고 있다. 법인체나 돈 많은 사업가가 주로 고객접대용으로 임대하는 슈트는 보통8∼16명이 함께 관람할 수 있는 밀폐된 장소로 연회석이나 거실이 준비되어 있다. 클럽이나 특별석은 슈트처럼 거실이나 연회석이 있는 밀폐된 호화급 좌석은 아니지만 가장 관전하기에 편한 곳에 설치된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SK와이번스의 문학구장의 경우 이러한 좌석을 도입하여 시행되고 있는데 보다 많은 구장에서도 특별석 임대로 수입을 창출해야 한다. 그러나 여기서 한가지가 전제가 필요하다. 문학구장을 제외한 나머지 구장들은 워낙 낙후한 시설이기 때문에 새로운 경기장 건설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새로운 경기장 건설의 필요이다.
앞에서도 말한 것과 같이 인천 문학구장의 경우 경기력과 무관하게 관중의 증가를 볼 수 있었다. 또한 메이저리그에서도 그 효과를 확인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구단의 모기업이 힘을 합쳐 새로운 구장 건설이 절실히 필요하다. 나아가 돔구장의 건설은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상 프로야구시즌을 위해서라도 꼭 필요한 인프라라고 할 수 있다. 구단은 더 나아가 구단경영을 모기업 홍보효과로써만 보는 자세를 바꿔 나가야 할 것이다. 모기업 홍보효과로만 본다면, 성적지상주의만 난무할 수밖에 없고, 본질적인 서비스나 시설 확충에는 소홀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구단 경영도 먼 미래를 보기보다는 근시안적일 수밖에 없다. 프로야구단 경영 자체로만 이익을 창출시킬 수 있다면, 그 이익을 창출해주는 팬들을 위한 좋은 시설은 어쩌면 그리 어려운 일도 아닐 것이며 어쩌면 당연한 일 일수 있게 된다.
나아가 경기장의 명칭사용권으로 구단의 수익 창출에 한 몫을 담당할 수 있다. 미국에선느 구장명칭 사용권을 거액에 팔고 있다. 거액을 주고 구장명칭의 사용권을 사는 이유는 언론을 통해 널리 보도되는 프로스포츠의 인기돌르 이용하여 일반기업의 홍보효과를 노리기 때문이다.
Ⅴ. 결론
지금까지 프로야구의 수입원과 국내 프로야구단의 수입 창출 극대화 전략에 알아보았다. 앞에서도 언급하였지만 각 구단의 수입 극대화뿐만 아니라 한국 프로야구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관중의 확보가 필수 전제이다. 이는 각각의 구단이 목표로 하고 있는 유료관중 100만명 동원이 필수조건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수치상의 한 경기 당 평균 16,000명 정도의 관중 입장 수입을 발생시킨다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즉 이런 관중동원능력을 보일 경우 당장 방송중계권 및 자치단체와의 협상 등에서 구단의 입장이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런 입장수입 뿐만 아니라 앞의 수입원에서 설명했던 라이센싱, 광고수입 및 구장수입 등에서 큰 수입이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현재의 입장수입 비중을 낮추고 그 밖의 다른 수입원 비중을 늘려야 수입의 안정성 차원에도 개선이 될 것이다.
따라서 앞에서 언급했던 구장의 임대 확보 혹은 새로운 구장 건설 등 보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를 위해선 KBO의 위상정립과 함께 임원과 직원의 능력이 중요할 것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각 구단과 선수들의 협력이다. 즉 각 구단이 서로 한 배를 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생각하며, 선수들 역시 극단적인 대립방안 보다는 대화와 타협으로 문제를 풀며 경기장에서 좋은 경기를 할 때 더 많은 팬들이 야구장을 찾을 것이며 이를 통해 구단은 더 많은 수입을 올릴 수 있을 것이다.
Ⅵ. 참고문헌 및 인터넷 사이트
- 김용만(2003). 스포츠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학현사.
- 송해룡, 최동철 공저(1999). 미디어 스포츠와 스포츠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 김도균(2000). Sport Business. 오성출판사.
- 김영석(1984). 스포츠와 미디어 그리고 마케팅. 신아출판사.
- 김영준(1998). 스포츠마케팅의 이해. 이벤트박스.
- 정영남(1999). 프로축구 관람소비자 행동에 대한 구조적 특성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최승혁(2000). 프로야구 관여도가 구단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변경원(1999). 프로스포츠 팀의 운영전략과 관중의 반복구매와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차성원(2003). 프로축구제품 속성이 팀 동일시와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김리아(2002). 프로야구 관중에 대한 마케팅 믹스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최경준(2001). 프로야구 관중에 대한 마케팅 믹스전략이 재구매 의사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지영미(2003). 프로스포츠와 타이틀 스폰서십 인식과 제품 태도와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강봉주(2001). 프로야구단 캐릭터 선호도 비교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한국야구위원회(2004). 2004 한국프로야구연감.
- http://www.koreabaseball.or.kr
- http://www.majorleaguebaseball.com
- http://www.seri.org
- http://www.emh.co.kr/
- http://www.econosports.net/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5.06.16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7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