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컴퓨터 이전의 시대
2. 컴퓨터 시대
(1) 전자식 계산기
1) ENIAC
2) 폰 노이만(von Neumann) 기계
3) 상업용 컴퓨터의 출현
(2) 반도체 시대의 컴퓨터
1) 80286
2) 80386
3) 80486
4) 80586
2. 컴퓨터 시대
(1) 전자식 계산기
1) ENIAC
2) 폰 노이만(von Neumann) 기계
3) 상업용 컴퓨터의 출현
(2) 반도체 시대의 컴퓨터
1) 80286
2) 80386
3) 80486
4) 80586
본문내용
고 클락 더블링의 기법으로 486DX-33의 내부 클락 속도를 2배로 올려놓은 것을 의미하게 된다.
그런데 486DX2-66은 CPU의 내부 클락 속도가 66MHz이지만 실상 외부의 버스 인터페이스는 33MHz이므로 메인보드도 32MHz용으로 설계된 것을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였으므로 PC 제조업자들은 원가를 낮출 수 있었으며, 특히 수치연산 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었으므로 스프레드시트, 오토캐드, 그래픽 등의 수치계산을 많이 필요로 하는 작업 시에 유리하였다. CPU 내부의 클락 속도를 2배로 올려놓은 DX2 시리즈는 칩에서 심한 열이 나서 방열에 주의 해야하는데, 잘못하면 시스템이 불안정해 지기도 하였다.
4)80586
1994년 말경 60MHz와 66MHz에서 동작하는 80586에 해당하는 펜티엄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등장하였다. 펜티엄은 64비트의 외부 데이터 버스와 32비트의 내부 데이터 버스를 갖고 있으며 32비트 주소 체계를 갖고 있다.
초기 펜티엄은 실수연산과 관련된 문제를 갖고 있었으나 1995년 중반에 그 위상을 회복하였다. 이 해에 75, 90, 100, 120, 133MHz의 칩을 소개하였고 윈도우 95를 발표하기도 하였다.
1996년 1월 인텔사는 150MHz와 166MHz 버전 펜티엄을 발표하였고 곧이어 펜티엄200MHz가 발표되었다. 1996년 10월에는 P55C라 부르는 또 다른 펜티엄 버전이 소리, 비디오, 그리고 그래픽 위주의 멀티미디어 응용을 위해 설계되어 출시되었는데 이 프로세서를 흔히 MMX 기술을 장착한 펜티엄 프로세서라 부른다.
MMX는 인텔의 칩 역사상 가장 획기적인 기술 중 하나라고 자랑하고 있는 기술로 이 프로세서에 57개 의 새로운 명령어 세트를 추가하여 주로 비디오, 오디오와 그래픽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설계되어졌다.
이 명령어들은 멀티미디어 연산에서 흔히 보게 되는 고도의 병렬 연산과 반복 연산을 위해 만들어졌다. 이 기술은 비디오 압축ㆍ압축해제, 이미지 처리, 입출력 처리를 현저히 개선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현재 가장 강력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펜티엄 Ⅱ 프로세서이다. 기술이 계속 발전하므로 언제 또 다른 향상된 칩이 개발될지 잘 모른다.
현 시점에서 펜티엄 Ⅱ는 가장 빠른 프로세서이고 450MHz, 400MHz, 350MHz에서 동작한다. 빠른 PC일수록 멀티미디어 기능, 인터넷 활용 등에서 그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의 많은 새로운 소프트웨어는 우수한 질이면서 고속의 그래픽과 비디오 처리를 위해 필요한 빠른 속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을 가정하고 만들어진다.
펜티엄 Ⅱ 프로세서는 MMX 기술은 물론 데이터 대역폭을 늘리기 위해 이중 독립적 버스 구조를 활용한다. 이 버스 구조는 2개의 버스를 통해 하나 또는 병렬로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어 데이터 이동으로 인한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빠른 속도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동적 실행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동적 실행은 명령어의 실행이 기존의 순차적 실행임에 비해 실행순서를 보다 다양화하여 다중분기를 예측하거나 데이터 흐름 분석을 통해 원래의 명령어 실행 순서에 상관없이 최적화된 명령어 실행 순서를 계획하여 처리 속도를 빠르게 개선할 수 있게 한다.
1999년도 상반기에 발표될 예정인 프로세서로 코드명이 "Katmai"인 프로세서가 개발 중에 있다. 이 프로세서는 450과 500MHz에서 작동되고 데스크탑용으로 제작될 예정이다. 이 프로세서에는 70 개의 새로운 명령어 세트가 추가될 예정인데 이 명령어들은 3차원 그래픽, 이미지 응용과 비디오 응용을 개선하는데 주로 쓰이게 될 것이다.
그런데 486DX2-66은 CPU의 내부 클락 속도가 66MHz이지만 실상 외부의 버스 인터페이스는 33MHz이므로 메인보드도 32MHz용으로 설계된 것을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였으므로 PC 제조업자들은 원가를 낮출 수 있었으며, 특히 수치연산 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었으므로 스프레드시트, 오토캐드, 그래픽 등의 수치계산을 많이 필요로 하는 작업 시에 유리하였다. CPU 내부의 클락 속도를 2배로 올려놓은 DX2 시리즈는 칩에서 심한 열이 나서 방열에 주의 해야하는데, 잘못하면 시스템이 불안정해 지기도 하였다.
4)80586
1994년 말경 60MHz와 66MHz에서 동작하는 80586에 해당하는 펜티엄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등장하였다. 펜티엄은 64비트의 외부 데이터 버스와 32비트의 내부 데이터 버스를 갖고 있으며 32비트 주소 체계를 갖고 있다.
초기 펜티엄은 실수연산과 관련된 문제를 갖고 있었으나 1995년 중반에 그 위상을 회복하였다. 이 해에 75, 90, 100, 120, 133MHz의 칩을 소개하였고 윈도우 95를 발표하기도 하였다.
1996년 1월 인텔사는 150MHz와 166MHz 버전 펜티엄을 발표하였고 곧이어 펜티엄200MHz가 발표되었다. 1996년 10월에는 P55C라 부르는 또 다른 펜티엄 버전이 소리, 비디오, 그리고 그래픽 위주의 멀티미디어 응용을 위해 설계되어 출시되었는데 이 프로세서를 흔히 MMX 기술을 장착한 펜티엄 프로세서라 부른다.
MMX는 인텔의 칩 역사상 가장 획기적인 기술 중 하나라고 자랑하고 있는 기술로 이 프로세서에 57개 의 새로운 명령어 세트를 추가하여 주로 비디오, 오디오와 그래픽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설계되어졌다.
이 명령어들은 멀티미디어 연산에서 흔히 보게 되는 고도의 병렬 연산과 반복 연산을 위해 만들어졌다. 이 기술은 비디오 압축ㆍ압축해제, 이미지 처리, 입출력 처리를 현저히 개선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현재 가장 강력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펜티엄 Ⅱ 프로세서이다. 기술이 계속 발전하므로 언제 또 다른 향상된 칩이 개발될지 잘 모른다.
현 시점에서 펜티엄 Ⅱ는 가장 빠른 프로세서이고 450MHz, 400MHz, 350MHz에서 동작한다. 빠른 PC일수록 멀티미디어 기능, 인터넷 활용 등에서 그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의 많은 새로운 소프트웨어는 우수한 질이면서 고속의 그래픽과 비디오 처리를 위해 필요한 빠른 속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을 가정하고 만들어진다.
펜티엄 Ⅱ 프로세서는 MMX 기술은 물론 데이터 대역폭을 늘리기 위해 이중 독립적 버스 구조를 활용한다. 이 버스 구조는 2개의 버스를 통해 하나 또는 병렬로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어 데이터 이동으로 인한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빠른 속도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동적 실행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동적 실행은 명령어의 실행이 기존의 순차적 실행임에 비해 실행순서를 보다 다양화하여 다중분기를 예측하거나 데이터 흐름 분석을 통해 원래의 명령어 실행 순서에 상관없이 최적화된 명령어 실행 순서를 계획하여 처리 속도를 빠르게 개선할 수 있게 한다.
1999년도 상반기에 발표될 예정인 프로세서로 코드명이 "Katmai"인 프로세서가 개발 중에 있다. 이 프로세서는 450과 500MHz에서 작동되고 데스크탑용으로 제작될 예정이다. 이 프로세서에는 70 개의 새로운 명령어 세트가 추가될 예정인데 이 명령어들은 3차원 그래픽, 이미지 응용과 비디오 응용을 개선하는데 주로 쓰이게 될 것이다.
추천자료
PCT 4회 필기문제
단말기 세대별 기능
인터넷 경제가 발달하게 된 배경
정보화 시대의 컴퓨의 역할
수학교육에서의 테크날로지 이용
프로그램내장방식 이란?
물체의 질량측정 방법
수학교육론12
[사이버세대]사이버세대의 개념, 사이버세대의 특성, 사이버세대의 의식과 통일교육의 방향, ...
[통일교육][남북통일]사이버세대(c세대)의 개념, 사이버세대(c세대)의 통일의식, 통일교육의 ...
[이산수학]고등학교 이산수학의 성격, 고등학교 이산수학의 목표, 고등학교 이산수학의 인식,...
선하증권
[e-Business의 기업경영] 전자상거래(EC)의 비즈니스 모델과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응용
전산 과학 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