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농구의 역사
Ⅱ. 특성과 효과
Ⅲ.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농구의 규칙
Ⅳ. 경기장 및 시설
Ⅴ. 경기 방법
Ⅵ. 농구의 기술
Ⅱ. 특성과 효과
Ⅲ.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농구의 규칙
Ⅳ. 경기장 및 시설
Ⅴ. 경기 방법
Ⅵ. 농구의 기술
본문내용
변경될 수 있다.
①가드: 백 코오트에서 프런트 코트로의 운반책이며 공격의 실마리가 되는 역할을 담당 한다. 비교적 키가 작으며 민첩하고 스피드가 뛰어난 선수가 적합하다. 또한 드리블에 능 하며 끊어뛰기, 페인팅, 드라이빙 등 재치 있는 선수가 훌륭한 가드라고 할 수 있다.
②포워드: 공격의 최종 목표인 득점을 올리는 것이 가장 큰 임무로서 패스웍이 뛰어나고 외곽 및 코너슛하며 리바운드볼 쟁탈에 적극적일 수 있는 선수가 적격이다.
③센터: 신장이 가장 크고 점프력 및 힘이 좋은 선수로서 리바운드, 훅 슛, 팁인슛에 뛰 어나고 수비자에 밀착되어도 동요되지 않고 제몫을 다하는 선수가 적합하다.
2) 속공: 수비가 미처 진영을 갖추기 전에 프런트 코트로 빠르게 보내어 쉽게 득점할 수 있는 공격 형태로서 성공률이 비교적 높다. 속공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 나 가장 전형적인 형태는 지역 방어의 수비에서 리바운드, 인터셉트로 인한 볼을 소유하 게 되면 사이드로 빼내어 2인3인(공격수가 수비보다 많을수록 유리)이 드리블 패스로 이어져 마지막에 런닝 슛으로 마무리 짓는 형태라 볼 수 있다.
3) 지공: 상대의 공격이 끝나고 폴백해서 진영(수비형태)이 갖추어지면 공격 제한 시간 (30초) 안에 수비를 교란시켜 완전한 찬스에서 공격하는 방법으로 수비 방법에 따라 공 격 방법을 바꾸어 적절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배열 형태는 수비 형태에 따라 또 공격 팀 구성원의 특징에 따라 수시로 바뀔 수 있다.
2. 수비
1) 대인 방어: 공격 1명에 수비 1명이 각자 맡은 선수를 책임지고 방어하는 수비 형태로 서 선수 개개인의 수비 능력이 뛰어나야 하며, 공격 선수에 대한 배정은 신장, 포지 션, 스타일, 능력을 고려하여 짝을 이룬다.
<장점>외곽 슛을 견제할 수 있으며 심리적 압박감을 줄 수 있다.
<단점>체력 소모가 크며 파울이 많이 발생한다.
2) 지역 방어: 사람을 중심으로 수비하는 것이 대인 방어라면 지역 방어는 볼을 위주로 수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각 선수는 일정 지역의 부분을 배정 받아 수비를 해야 하며 선수들간에 상호 협력이 이루어져야 효과를 볼 수 있다.
<장점>조직적이고 속공이 용이하여 리바운드 캐치에 강하다.
외곽 슛이 약한 팀에 효과적이며 체력 소모가 적다.
<단점>외곽 슛이 강한 팀, 패스 윅이 능한 팀에 적합하지 못하다.
수비가 약한 지역에 집중 공격 당할 우려, 지역 사이사이를 수비하는데 곤란하다.
①가드: 백 코오트에서 프런트 코트로의 운반책이며 공격의 실마리가 되는 역할을 담당 한다. 비교적 키가 작으며 민첩하고 스피드가 뛰어난 선수가 적합하다. 또한 드리블에 능 하며 끊어뛰기, 페인팅, 드라이빙 등 재치 있는 선수가 훌륭한 가드라고 할 수 있다.
②포워드: 공격의 최종 목표인 득점을 올리는 것이 가장 큰 임무로서 패스웍이 뛰어나고 외곽 및 코너슛하며 리바운드볼 쟁탈에 적극적일 수 있는 선수가 적격이다.
③센터: 신장이 가장 크고 점프력 및 힘이 좋은 선수로서 리바운드, 훅 슛, 팁인슛에 뛰 어나고 수비자에 밀착되어도 동요되지 않고 제몫을 다하는 선수가 적합하다.
2) 속공: 수비가 미처 진영을 갖추기 전에 프런트 코트로 빠르게 보내어 쉽게 득점할 수 있는 공격 형태로서 성공률이 비교적 높다. 속공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 나 가장 전형적인 형태는 지역 방어의 수비에서 리바운드, 인터셉트로 인한 볼을 소유하 게 되면 사이드로 빼내어 2인3인(공격수가 수비보다 많을수록 유리)이 드리블 패스로 이어져 마지막에 런닝 슛으로 마무리 짓는 형태라 볼 수 있다.
3) 지공: 상대의 공격이 끝나고 폴백해서 진영(수비형태)이 갖추어지면 공격 제한 시간 (30초) 안에 수비를 교란시켜 완전한 찬스에서 공격하는 방법으로 수비 방법에 따라 공 격 방법을 바꾸어 적절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배열 형태는 수비 형태에 따라 또 공격 팀 구성원의 특징에 따라 수시로 바뀔 수 있다.
2. 수비
1) 대인 방어: 공격 1명에 수비 1명이 각자 맡은 선수를 책임지고 방어하는 수비 형태로 서 선수 개개인의 수비 능력이 뛰어나야 하며, 공격 선수에 대한 배정은 신장, 포지 션, 스타일, 능력을 고려하여 짝을 이룬다.
<장점>외곽 슛을 견제할 수 있으며 심리적 압박감을 줄 수 있다.
<단점>체력 소모가 크며 파울이 많이 발생한다.
2) 지역 방어: 사람을 중심으로 수비하는 것이 대인 방어라면 지역 방어는 볼을 위주로 수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각 선수는 일정 지역의 부분을 배정 받아 수비를 해야 하며 선수들간에 상호 협력이 이루어져야 효과를 볼 수 있다.
<장점>조직적이고 속공이 용이하여 리바운드 캐치에 강하다.
외곽 슛이 약한 팀에 효과적이며 체력 소모가 적다.
<단점>외곽 슛이 강한 팀, 패스 윅이 능한 팀에 적합하지 못하다.
수비가 약한 지역에 집중 공격 당할 우려, 지역 사이사이를 수비하는데 곤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