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자 하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지금까지의 독점은 상품을 공급하는 기업이 하나인 형태의 독점이었으나 반면에 공급자는 다수이지만 수요자가 1인인 경우도 있는데 이를 수요독점(monopsony)이라고 한다.
ㅇ수요독점은 생산물 시장보다 생산요소 시장에서 많이 나타난다.
ㅇ프로스포츠 구단이 선수에 대한 수요독점권을 갖고 있어 출신지역 구단의 동의 없이는 선수는 이적할 수 없다.
ㅇ그 결과 생산요소(노동)의 가격이 경쟁시장의 가격보다 낮아 착취(exploitation) 발생하며 종종 프로스포츠 선수의 계약금이 아마추어 스포츠 선수의 계약금보다 작게 된다.
- 독점기업은 나쁜가?
① 생산량의 경우 독점기업이 완전경쟁기업보다 작다.
② 가격의 경우 독점기업이 완전경쟁기업보다 높다.
③ 원인이 무엇이 됐든 진입장벽이 있으면 가격에 대한 통제가 가능해져 초과이윤이 발생한다.
ㅇ따라서 독점의 경우는 완전경쟁에 비해 사회적 후생이 낮다.
④ 단, 규모의 경제 경우 독점기업이 경쟁기업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하여 자연독점이 형성될 수 있다.
⑤ 독점이윤이 있어야 연구개발에 투자할 재원 조달이 가능해진다.
4. 독점적 경쟁
- 독점적 경쟁(monopolistic competition)은 독점과 완전 경쟁의 양극의 중간 성격을 지니는데 독점적 경쟁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시장에의 진입, 탈퇴가 자유롭다. (완전경쟁의 성격)
② 다수의 공급자가 존재한다. (완전경쟁의 성격)
③ 제품에 어느 정도 이질성이 있다. → 완전경쟁과는 달리 독점적 경쟁에서는 제품들이 서로 완전 대체재가 아니므로 자기 제품에 대해 어느 정도 시장지배력을 갖고 따라서 가격설정자가 된다. (독점의 성격)
ㅇ음식산업, 구두산업, 미용산업 등이 독점적 경쟁의 예인데 예를 들어 같은 스파게티를 팔더라도 맛에 자신이 있으면 다는 식당보다 비싸게 팔려 하고 그대로 수요는 존재한다.
- 경쟁과의 비교
① 완전경쟁 기업의 가격보다 높다.
ㅇ독점적 경쟁 시장에서는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가격 경쟁(가격을 할인하여 시장점유율을 높이려는 정책)과 비가격 경쟁(가격 이외의 수단을 이용하여 시장점유율을 높이려는 정책)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ㅇ비가격 경쟁은 제품차별화(품질, 디자인, 광고 등에서 product differentiation)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ㅇ완전경쟁의 경우에는 기업이 위와 같은 판매비용을 부담할 필요가 없는 데 반하여 독점적 경쟁의 경우에는 판매비용의 부담이 상당히 크고 이것이 결국 대부분 소비자에게 전가되어 제품 값이 완전경쟁에 비해 높아진다.
② 긍정적인 면(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 vs. 부정적인 면(실제로는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포장, 광고 등에 치중하여 자원 낭비 초래 우려)
③ 완전경쟁에서는 시장점유율(market share) 모든 기업에게 있어 동일한데 비해 독점적 경쟁인 경우는 기업마다 시장점유율이 각기 다르다.
5. 과점
- 과점(oligopoly)은 시장에 소수의 기업이 존재하는 경우이다.
ㅇ우리 나라에서는 상위 3개사의 시장점유율이 75%를 넘으면 과점으로 간주하고 있다.
ㅇ우리 나라의 가전제품 산업, 정유 산업 등이 그 예이다.
ㅇ독점 기업과 과점 기업을 합쳐, 독과점 사업자 또는 시장 지배적 사업자라고 한다.
- 과점의 경우는 전략적 행동에 다양한 행태가 존재하므로 일관된 일반 기업이론이 성립하기 어렵다.
ㅇ상대 기업의 반응에 따라 기업 행동이 좌우되는데 그 반응을 사전에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ㅇGame Theory는 이런 전략적 행동을 분석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Nash에 의해 큰 진전을 보게 되었다.
- 지금까지의 독점은 상품을 공급하는 기업이 하나인 형태의 독점이었으나 반면에 공급자는 다수이지만 수요자가 1인인 경우도 있는데 이를 수요독점(monopsony)이라고 한다.
ㅇ수요독점은 생산물 시장보다 생산요소 시장에서 많이 나타난다.
ㅇ프로스포츠 구단이 선수에 대한 수요독점권을 갖고 있어 출신지역 구단의 동의 없이는 선수는 이적할 수 없다.
ㅇ그 결과 생산요소(노동)의 가격이 경쟁시장의 가격보다 낮아 착취(exploitation) 발생하며 종종 프로스포츠 선수의 계약금이 아마추어 스포츠 선수의 계약금보다 작게 된다.
- 독점기업은 나쁜가?
① 생산량의 경우 독점기업이 완전경쟁기업보다 작다.
② 가격의 경우 독점기업이 완전경쟁기업보다 높다.
③ 원인이 무엇이 됐든 진입장벽이 있으면 가격에 대한 통제가 가능해져 초과이윤이 발생한다.
ㅇ따라서 독점의 경우는 완전경쟁에 비해 사회적 후생이 낮다.
④ 단, 규모의 경제 경우 독점기업이 경쟁기업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하여 자연독점이 형성될 수 있다.
⑤ 독점이윤이 있어야 연구개발에 투자할 재원 조달이 가능해진다.
4. 독점적 경쟁
- 독점적 경쟁(monopolistic competition)은 독점과 완전 경쟁의 양극의 중간 성격을 지니는데 독점적 경쟁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시장에의 진입, 탈퇴가 자유롭다. (완전경쟁의 성격)
② 다수의 공급자가 존재한다. (완전경쟁의 성격)
③ 제품에 어느 정도 이질성이 있다. → 완전경쟁과는 달리 독점적 경쟁에서는 제품들이 서로 완전 대체재가 아니므로 자기 제품에 대해 어느 정도 시장지배력을 갖고 따라서 가격설정자가 된다. (독점의 성격)
ㅇ음식산업, 구두산업, 미용산업 등이 독점적 경쟁의 예인데 예를 들어 같은 스파게티를 팔더라도 맛에 자신이 있으면 다는 식당보다 비싸게 팔려 하고 그대로 수요는 존재한다.
- 경쟁과의 비교
① 완전경쟁 기업의 가격보다 높다.
ㅇ독점적 경쟁 시장에서는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가격 경쟁(가격을 할인하여 시장점유율을 높이려는 정책)과 비가격 경쟁(가격 이외의 수단을 이용하여 시장점유율을 높이려는 정책)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ㅇ비가격 경쟁은 제품차별화(품질, 디자인, 광고 등에서 product differentiation)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ㅇ완전경쟁의 경우에는 기업이 위와 같은 판매비용을 부담할 필요가 없는 데 반하여 독점적 경쟁의 경우에는 판매비용의 부담이 상당히 크고 이것이 결국 대부분 소비자에게 전가되어 제품 값이 완전경쟁에 비해 높아진다.
② 긍정적인 면(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 vs. 부정적인 면(실제로는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포장, 광고 등에 치중하여 자원 낭비 초래 우려)
③ 완전경쟁에서는 시장점유율(market share) 모든 기업에게 있어 동일한데 비해 독점적 경쟁인 경우는 기업마다 시장점유율이 각기 다르다.
5. 과점
- 과점(oligopoly)은 시장에 소수의 기업이 존재하는 경우이다.
ㅇ우리 나라에서는 상위 3개사의 시장점유율이 75%를 넘으면 과점으로 간주하고 있다.
ㅇ우리 나라의 가전제품 산업, 정유 산업 등이 그 예이다.
ㅇ독점 기업과 과점 기업을 합쳐, 독과점 사업자 또는 시장 지배적 사업자라고 한다.
- 과점의 경우는 전략적 행동에 다양한 행태가 존재하므로 일관된 일반 기업이론이 성립하기 어렵다.
ㅇ상대 기업의 반응에 따라 기업 행동이 좌우되는데 그 반응을 사전에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ㅇGame Theory는 이런 전략적 행동을 분석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Nash에 의해 큰 진전을 보게 되었다.
추천자료
투자결정을 위한 종목선택에 있어서의 경제-산업-기업 분석의 체계
[관광경제학]관광경제론-지역관광산업의 육성
[저출산문제][출산율저하][출산력]저출산문제(출산율저하)의 원인, 출산력 변천과 희망자녀수...
일본대중문화(일본문화)의 현황, 일상생활 속의 일본대중문화(일본문화), 일본대중문화개방(...
2012년 1학기 기초미시경제론 중간시험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기초미시경제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기업의 이윤극대화 비판)
미국정부(미국연방정부)의 역사, 혁신주의, 미국정부(미국연방정부)의 개입주의, 관료제, 미...
[A+] 카페베네 경영전략 분석 원두시장현황 커피시장현황전망 Five-forces분석 기업외부...
[경제학 독후감] 이야기 경제학: 경제는 어떻게 성장하고 왜 붕괴하는가? (저자 피터 D. 쉬...
산업과경제)국가경쟁력이론에서 다이아몬드 모델로 분석 - 우리나라 특화산업을 조사
2018년 1학기 기초미시경제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최저임금 상승, 양도소득세, 대형마트)
2018년 1학기 기초미시경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