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분과 정동의 장애(Disorders of a mood and affect)
2. 사고의 장애(Disorders of Thought)
3. 지각의 장애 (Disorders of Perception)
4. 의식의 장애 (Disorders of consciousness)
5. 지남력 장애(Diorders of Orientation : Disorientaion)
6. 기억장애(Disorders of Memory)
7. 주의력/ 집중력 장애(Disorders and attention/ Concentration)
8. 지능 (intelligence)
9. 행동의 장애
참고문헌
2. 사고의 장애(Disorders of Thought)
3. 지각의 장애 (Disorders of Perception)
4. 의식의 장애 (Disorders of consciousness)
5. 지남력 장애(Diorders of Orientation : Disorientaion)
6. 기억장애(Disorders of Memory)
7. 주의력/ 집중력 장애(Disorders and attention/ Concentration)
8. 지능 (intelligence)
9. 행동의 장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능력.
하루-수일전의 사실을 물어서 확인해 볼 수 있다.
remote momory : 영구적인 사실을 기억하는 능력
본적, 주소, 주민등록번호 등 한번 입력되면 평생 지속되는 내용들을 물 어서 확인해 볼 수 있다.
뇌의 기질적 손상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기억의 장애는 없는 경우가 보통이다. 다만 급성 정신병적 상태나 정서적으로 극히 불안정한 경우 주의집중력의 장애 등으로 인하여 immediate recall의 장애가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7. 주의력/ 집중력 장애(Disorders and attention/ Concentration)
자신이 필요로 하는 대상에 지속적으로 집중하는 능력을 말한다. 뇌의 기질적 장애가 있는 경우 주의력/집중력에 장애가 있는 경우가 많다. 조증 상태에서는 주위의 사소한 자극에 모두 관심을 기울이기 때문에 산만이 흔히 나타난다. 정신분열병에서도 자신만의 생각에 집착하는 경우 외부의 자극에 반응을 하더라도 얼마 되지 않아 자신만의 생각에 빠져 들기 때문에 주의력에 손상이 있을 수 있다. 우울증의 경우도 뭔가에 집중하는 것이 귀찮고 힘들어서 주의력이 저하될 수 있다.
8. 지능 (intelligence)
지능지수가 90-110이면 보통이다. 지능이 발달이 안되어 지능지수 70이하이면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 MR)이라고 한다. 일단 정상 지능에 도달했다고 어떤 이유로 지능이 90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치매(dementia)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뇌의 기질적 장애가 없는 정신장애의 경우 지능은 정상이다. 그러나 정신장애의 상태에 따라 지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을 수는 있다.
9. 행동의 장애
1) 과다행동(hyperactivity) : 조증에서 흔하다.
2) 정신운동지체(psychomotor reatrdation) : 행동이 느려지고 운동양이 적은 것, 우울증에서 특징적이고 정신분열병에서도 나타난다.
3) stereotypy : 반복행동, 다른 사람이 봐서는 의미 없는 말이나 행동을 반복하는 것.
4) mannerism : 습관적으로 하는 별 뜻 없는 반복행동
5) mutism(함구증) : 스스로는 물론, 물어도 대답을 안하는 경우.
6) negativism(거부증) : 상대방의 요구에 아무런 반응도 안하거나 반대로 하는 것.
참고문헌
세브란스 정신병원 사회사업실(1997).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이론교육 교재.
민성길 외(1999). 최신정신의학. 일조각.
하루-수일전의 사실을 물어서 확인해 볼 수 있다.
remote momory : 영구적인 사실을 기억하는 능력
본적, 주소, 주민등록번호 등 한번 입력되면 평생 지속되는 내용들을 물 어서 확인해 볼 수 있다.
뇌의 기질적 손상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기억의 장애는 없는 경우가 보통이다. 다만 급성 정신병적 상태나 정서적으로 극히 불안정한 경우 주의집중력의 장애 등으로 인하여 immediate recall의 장애가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7. 주의력/ 집중력 장애(Disorders and attention/ Concentration)
자신이 필요로 하는 대상에 지속적으로 집중하는 능력을 말한다. 뇌의 기질적 장애가 있는 경우 주의력/집중력에 장애가 있는 경우가 많다. 조증 상태에서는 주위의 사소한 자극에 모두 관심을 기울이기 때문에 산만이 흔히 나타난다. 정신분열병에서도 자신만의 생각에 집착하는 경우 외부의 자극에 반응을 하더라도 얼마 되지 않아 자신만의 생각에 빠져 들기 때문에 주의력에 손상이 있을 수 있다. 우울증의 경우도 뭔가에 집중하는 것이 귀찮고 힘들어서 주의력이 저하될 수 있다.
8. 지능 (intelligence)
지능지수가 90-110이면 보통이다. 지능이 발달이 안되어 지능지수 70이하이면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 MR)이라고 한다. 일단 정상 지능에 도달했다고 어떤 이유로 지능이 90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치매(dementia)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뇌의 기질적 장애가 없는 정신장애의 경우 지능은 정상이다. 그러나 정신장애의 상태에 따라 지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을 수는 있다.
9. 행동의 장애
1) 과다행동(hyperactivity) : 조증에서 흔하다.
2) 정신운동지체(psychomotor reatrdation) : 행동이 느려지고 운동양이 적은 것, 우울증에서 특징적이고 정신분열병에서도 나타난다.
3) stereotypy : 반복행동, 다른 사람이 봐서는 의미 없는 말이나 행동을 반복하는 것.
4) mannerism : 습관적으로 하는 별 뜻 없는 반복행동
5) mutism(함구증) : 스스로는 물론, 물어도 대답을 안하는 경우.
6) negativism(거부증) : 상대방의 요구에 아무런 반응도 안하거나 반대로 하는 것.
참고문헌
세브란스 정신병원 사회사업실(1997).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이론교육 교재.
민성길 외(1999). 최신정신의학. 일조각.
추천자료
정신장애인의 정신사회재활
정신장애인의 정신사회재활 이론
정신장애인의 정신사회재활 이론
정신장애인의 범주확대에 따른 정신보건서비스의 개선방향
정신장애유형-정신간호학
[건강가정론] 정신장애의 사회적낙인과 편견해소를 위해 자신들이 할 수 있는 노력-정신장애...
장애인복지 - 정신지체장애, 발달장애(자폐증), 장애 판정기준에 관해
최근 정신장애인 시설에서의 인권문제가 계속 이슈화되고 있는데 정신장애인의 인권문제의 해...
1. 인간발달단계들 가운데 한 단계를 선택하여, 2. 그 각 단계에서 발생하기 쉬운 정신장애 ...
정신지체장애인의 성교육프로그램(지적장애인성교육, 성교육프로그램, 프로그램개발과평가, ...
(영유아기에 겪을 수 있는 정신장애) 영유아기에 겪을 수 있는 정신장애 유형 중 한 가지를 ...
신체형장애, 신체형장애정의, 신체형장애원인, 신체형장애정신역동, 신체형장애간호과정, 신...
정신건강론)정신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의 권익과 인권을 보장하는 사회복지적 개입방법에 관...
[간호학] 청소년 정신장애의 정의 및 특성 청소년 정신장애 대상자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