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효소의 구성과 작용
⑴ 효소의 구성
⑵ 효소의 촉매 작용
2. 효소
3. 효소반응모델
4. Michaelis-Menten equation
5. 효소반응모델로부터 Michaelis-Menten equation의 유도
⑴ 효소의 구성
⑵ 효소의 촉매 작용
2. 효소
3. 효소반응모델
4. Michaelis-Menten equation
5. 효소반응모델로부터 Michaelis-Menten equation의 유도
본문내용
도와 소멸속도는 같게되고 정상상태라고 가정한다. 또한 반응속도는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다음 관계식이 성립한다.
생성속도 : [ES] = k1[E][S].
소멸속도 : [ES] = k-1[ES] + k2 [ES].
정상상태 가정 : k-1[ES] + k2 [ES] = k1[E][S]. - (4)
- (4)식을 다음과 같이 변형한다.
(k-1 + k2) [ES] = k1[E][S], and (k-1 + k2)/k1 = [E][S]/[ES]. - (5)
- Km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Km = (k-1 + k2)/k1 - (6)
- [E] = [E]total - [ES] - (7) 이므로 (5)에 (6), (7)을 대입하면 다음 식이 된다.
Km = ([E]total - [ES]) [S]/[ES] - (8)
- (8)식을 [ES]에 대하여 정리하고 양변에 [ES]를 곱한다.
[ES] Km = [E]total [S] - [ES][S]
[ES] Km + [ES][S] = [E]total [S]
[ES](Km + [S]) = [E]total [S]
- 양변을 (Km + [S])로 나눈다.
[ES] = [E]total [S]/(Km + [S]) - (9)
- (9)를 (2)에 대입한다.
V0 = k2 [E]total [S]/(Km + [S]) - (10)
- (3)에서 (10)의 k2 [E]total 에 Vmax를 대입하면 Michaelis-Menten equation이 유도된 다.
V0 = Vmax [S]/(Km + [S]) - (11)
Vmax와 Km의 값은 사용하는 효소와 기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다음 관계식이 성립한다.
생성속도 : [ES] = k1[E][S].
소멸속도 : [ES] = k-1[ES] + k2 [ES].
정상상태 가정 : k-1[ES] + k2 [ES] = k1[E][S]. - (4)
- (4)식을 다음과 같이 변형한다.
(k-1 + k2) [ES] = k1[E][S], and (k-1 + k2)/k1 = [E][S]/[ES]. - (5)
- Km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Km = (k-1 + k2)/k1 - (6)
- [E] = [E]total - [ES] - (7) 이므로 (5)에 (6), (7)을 대입하면 다음 식이 된다.
Km = ([E]total - [ES]) [S]/[ES] - (8)
- (8)식을 [ES]에 대하여 정리하고 양변에 [ES]를 곱한다.
[ES] Km = [E]total [S] - [ES][S]
[ES] Km + [ES][S] = [E]total [S]
[ES](Km + [S]) = [E]total [S]
- 양변을 (Km + [S])로 나눈다.
[ES] = [E]total [S]/(Km + [S]) - (9)
- (9)를 (2)에 대입한다.
V0 = k2 [E]total [S]/(Km + [S]) - (10)
- (3)에서 (10)의 k2 [E]total 에 Vmax를 대입하면 Michaelis-Menten equation이 유도된 다.
V0 = Vmax [S]/(Km + [S]) - (11)
Vmax와 Km의 값은 사용하는 효소와 기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