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ID와 유비쿼터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적용 사례
(1) 일본
(2) 한국
(3) 기타

적용분야

유비쿼터스

본문내용

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교신하게 될 때 이루어지는 공간이지요. 제 3의 공간은 실제적인 공간의 위치와 사용자 식별이 동시에 가능한 '모바일 ipv6'라는 이동 공간 주소체계를 사용하게 됩니다. 또한 많은 사물들(상품과 부품, 시설, 동물, 식물 등) 하나하나에까지 주소를 부여할 수 있게 됨에 따라서 물리공간과 전자공간이 가지는 주소 체계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3의 공간은 언제, 어디서, 어떠한 형태의 정보 수, 발신과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원하거나, 어떠한 단말기와 디바이스를 가지고 있어도 연결이 가능하게 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 엑세스 환경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 공간에서 우리는 그것이 컴퓨터라고 인식하지도 못 할 만큼 조용함을 느끼게 됩니다.(유비쿼터스 3가지 특징 참조) 제 3공간 개발의 핵심 기술은 수없이 많습니다. 그러나 대표적인 것은 칩이나 센서와 같이 아주 작아서 도처의 사물 속에다 집어넣거나 입을 수도 있으며 이들을 무선으로 연결시키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나 '퍼베이시브 컴퓨팅' 기술을 들 수 있습니다. 물론 작고.값 싸게 만들 수 있어야 겠지요. 이러한 궁극적인 3의 공간에서는 정보기술(IT), 나노기술(NT), 생명공학기술(BT)의 결합은 필연적입니다. 제 3의 공간에서는 물리공간이나 전자공간과는 다른 새로운 비즈니스와 정보 산업이 전개되지요. 또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방송, 통신의 융합은 물론 교육, 상거래 전반에서 엄청난 파장을 미칠 것입니다. 그때가 되면 우리는 전자공간과 물리공간이 서로 공명하고 공진화하는 힘의 위력과 효과를 느끼게 될 겁니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6.27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48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