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인게이지 실험 및 결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트레인게이지 실험 및 결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실험이론
1. 스트레인 게이지
2. 엔코더

실험결과 (각각의 계산 방법은 각주참고)
1. 인장시 게이지의 결과 값 및 그래프(x축:거리 y축:전압)
2. 완전 브릿지의 결과값 및 그래프(x축:거리 y축:전압)
3. 전위차계 실험결과 및 그래프(x축:거리 y축:전압)
4. 미분증폭기를 가지는 선형 전위차계(x축:거리 y축:전압)
5. 로터리 포텐션미터(x축:거리 y축:전압)
6. 4비트 광학엔코더

고찰

본문내용

5
6
7
8
9
10
11
12
13
G1
0
1
1
0
0
1
1
0
0
1
1
1
1
0
G2
0
0
1
1
1
1
0
0
0
0
1
1
0
0
G3
0
0
0
0
1
1
1
1
1
1
1
0
0
0
G4
0
0
0
0
0
0
0
0
1
1
1
1
1
1
②binary scale
Postion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B1
0
1
0
1
0
1
0
1
0
1
0
1
0
1
B2
0
0
1
1
0
0
1
1
0
0
1
0
1
1
B3
0
0
0
0
1
1
1
1
0
0
0
1
1
1
B4
0
0
0
0
0
0
0
0
1
1
1
1
1
1
고찰
실험결과를 통해 스트레인 게이지의 원리에 대해 다시 한 번 느끼게 되었다. 먼저 인장에 따른 게이지 변화는 앞서 그래프에서 보듯 변위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측정 전위차를 통해 각각의 신장률을 측정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그 게이지의 감도와 분해능력 또한 측정가능 하였었고, 다이오드의 사용범위 역시 재고하게 되었다. 보다 세밀한 측정을 위해 수치의 증폭을 통한 기록의 원인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동일 이론방식인 브릿지 방식, 전위차 방식 등의 사용에 의한 게이지 측정 방식 또한 숙지하게 되었다. 이 외에도 엔코더를 이용한 변위에 따른 속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모든 실험에서 보듯 이론적 계산 값과 실험적 계산 값의 오차를 보이는데, 이의 주요 원인으로는 실험자의 측정오차에 크게 기인 한다보고 있다. 이 외에도 실험기기의 오류로 인한 원인 발생 또한 생각할 수 있겠다. 이외에도 여러 가지 인자가 존재 할 것이라 생각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6.28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4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