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핵심 내용 :
관련 자료 :
배경
오늘의 실험 : 헤스의 법칙
실험 기기 및 시약
실험 방법
1. △H1의 측정
2. △H2의 측정
3. △H3의 측정
결과 처리
주의할 점
관련 자료 :
배경
오늘의 실험 : 헤스의 법칙
실험 기기 및 시약
실험 방법
1. △H1의 측정
2. △H2의 측정
3. △H3의 측정
결과 처리
주의할 점
본문내용
W2라고 할 때, 열량계의 온도 변화가 △T라고 하면, 열량계가 흡수한 열의 양 q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q = [4.18 (JK-1g-1) X W1 + 0.85 X W2] X △T
(여기서, 물과 비이커의 비열용량을 각각 4.18 J/gK 과 0.85 J/gK 로 가정.)
그리고, H = U + PV 로 정의되는 반응엔탈피는 일정한 압력하에서의 반응열과 같으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H = q
따라서, 각각의 반응에서 첫 번째 식으로 구한 반응열은 그 반응의 반응엔탈피와 같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험1,2 그리고 3에서 구한 반응엔탈피로부터 헤스의 법칙이 정말 성립하는지 확인한다.
주의할 점
1. 이번 실험에서는 반응열로 인한 온도 변화를 정확히 측정해야하므로, 각각의 실험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열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고체나 수용액 상태의 수산화 나트륨을 시간을 두고 천천히 비이커에 넣는다거나, 단열재인 스티로폼 뚜껑을 잘 닫지 않았을 때는 열 손실로 인해 원래의 온도 변화를 얻을 수 없을 것이다.
2. 시약을 다룰 때, 반드시 비닐 장갑을 끼도록 하고, 시약들이 옷이나 피부에 묻지 않도록 한다.
q = [4.18 (JK-1g-1) X W1 + 0.85 X W2] X △T
(여기서, 물과 비이커의 비열용량을 각각 4.18 J/gK 과 0.85 J/gK 로 가정.)
그리고, H = U + PV 로 정의되는 반응엔탈피는 일정한 압력하에서의 반응열과 같으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H = q
따라서, 각각의 반응에서 첫 번째 식으로 구한 반응열은 그 반응의 반응엔탈피와 같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험1,2 그리고 3에서 구한 반응엔탈피로부터 헤스의 법칙이 정말 성립하는지 확인한다.
주의할 점
1. 이번 실험에서는 반응열로 인한 온도 변화를 정확히 측정해야하므로, 각각의 실험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열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고체나 수용액 상태의 수산화 나트륨을 시간을 두고 천천히 비이커에 넣는다거나, 단열재인 스티로폼 뚜껑을 잘 닫지 않았을 때는 열 손실로 인해 원래의 온도 변화를 얻을 수 없을 것이다.
2. 시약을 다룰 때, 반드시 비닐 장갑을 끼도록 하고, 시약들이 옷이나 피부에 묻지 않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