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액성한계
(1) 개요
(2) 목적
2) 소성한계
(1) 개요
(2) 목적
2. 사용기계
3. 실험방법
4. 결과(DATA SHEET)
5. 논의
< 문제점(기계 및 방법 개선점) >
6. 결론
◈ 주의 사항 ◈
7. 참고문헌
8. 부록(기타자료, 개선예)
1) 액성한계
(1) 개요
(2) 목적
2) 소성한계
(1) 개요
(2) 목적
2. 사용기계
3. 실험방법
4. 결과(DATA SHEET)
5. 논의
< 문제점(기계 및 방법 개선점) >
6. 결론
◈ 주의 사항 ◈
7. 참고문헌
8. 부록(기타자료, 개선예)
본문내용
접시 표면과의 사이의 미끄러짐으로 닫히는 경우에는 토립자 상호의 유동에 의한 것이 아니므로 N.P라고 기록한다.
(6) 소성 한계에 비하여 액성 한계를 구하는 것은 4~5 종의 함수비에 관하여 낙하 횟수를 결정짓는다 든가 또는 동시에 숙련된 기능자를 필요로 하는 시험이다.
① 다소 정밀도는 떨어지겠지만 다량의 시료에 대하여 액성 한계를 급히 결정하고 싶을 때에는 보통 낙하 횟수가 20~30회 부근에서 1개의 시료로만 액성 한계를 구하는 일점법이 ASTM에 소개되어 있다.
② 한편 시료에 정적으로 콘을 관입시켜 관입량으로부터 액성 한계값을 구하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다.
6. 결론
액성 한계 실험은 다른 실험보다 숙련도가 필요하고 오차의 요인이 너무 많았다. 우선 시료를 물과 잘 혼합하는 것도 어려웠고 홈파기 칼로 홈을 팔 때도 황동 접시의 흙이 미끄러져 NP 가 많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홈이 파여졌다하더라도 정확히 일정한 간격으로 파여지지 않은 불규칙한 모습을 나타내었다. 또 손으로 측정기의 황동 접시를 돌리므로 일정한 회전 속도를 유지하기 힘들고 시간도 타임 워치를 눈으로 확인하는 수준이어서 정확한 실험적 데이터보다는 흙의 컨시스턴스를 이해하는 정도의 실험이었다. 일정한 회전속도(rpm)로 회전하는 자동측정기구가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었다. 또 황동 접시를 돌릴 때 소성적 흐름에 따라 붙는 것이 아니라 황동 접시의 표면과 흙 사이에서 미끄럼 현상으로 흘러내리는 경우도 발생하는 듯 했다.
소성 한계 실험은 액성 한계 실험과는 달리 물을 충분히 가하여 유연한 상태의 흙을 손으로 반죽하면서 함수비를 감소시키며 실험이 이루어진다. 이 실험으로 구해진 소성 한계는 19.890 이라는 값을 나타내었다. 이 실험을 하는데는 직경 3mm의 끈 모양으로 만들어졌을 때 토막토막 부서져야 한다. 그러나 직경 3mm 의 못을 준비하긴 했으나 손으로 굴리므로 정확히 일정하게 3mm가 만들어지기는 어려웠다. 손의 누르는 힘에 의해 부분적으로 끊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실험 방법이나 과정에서 액성 한계보다는 비교적 간단한 실험이었다.
◈ 주의 사항 ◈
- 액성한계 시험 주의 사항 -
(1) 시료를 준비할 때에는 노건조에 의하지 않고 공기건조를 행한다. 공기 건조의 경우에도 시료의 건조정도가 클수록 시험치가 적게 되므로 건조의 정도는 자연함수비의 40% 정도의 함수비가 되도록 그치는 것이 좋다.
(2) 시료를 증발접시에 넣고 혼합할 때에는 연한 퍼티상태가 되도록 한다. 퍼티상태라 함은 낙하횟수가 30회 전후에서 홈이 접촉하는 정도의 연함을 말하며 이러한 상태가 될 때까지 매회 1~3cc씩 물을 가하며 충분히 시료를 혼합한다.
(3) 시료에 물을 가하는 때에는 전체에 고루 적셔지도록 분무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반죽한 시료를 황동제 컵에 넣을 때에는 공기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시료를 눌러 깔아 넣어야 한다. 홈 부근의 시료의 두께는 약 1cm가 되도록 한다.
(5) 낙하횟수를 결정할 때에는 같은 함수량의 것으로 2~3회 시험을 하여 대체로 일치된 결과가 얻어지면 함수량 측정을 위한 시료를 취한다.
(6) 황동제 컵을 낙하시켜 시료의 홈이 접촉하도록 하여야 하고 흙과 컵과의 사이에 미끄러져서 접촉해서는 안된다. 이를 위해서는 황동제 컵을 마른 포로 잘 닦아서 시료를 넣어야 한다.
(7) 일반적으로 시험은 함수량이 작은 상태로부터 점차로 함수량을 증가하여 시료흙을 부드러운 상태가 되도록 한다. 부득이 함수량을 감하여 시험을 해야 할 경우에는 마른 흙을 혼합하되 충분히 혼합하여 30분 정도 놓아둔 후에 시험을 행한다.
(8) 컵의 타격횟수가 35이상 15이하로 되는 시험은 기록하지 않는다.
- 소성한계 시험 주의 사항 -
(1) 흙을 유리판 위에 미는 사이 또는 손으로 반죽하는 사이에도 손의 온도에 의하여 다소 건조상태가 되므로 약간 습윤도가 높은 상태에서 시험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2) 시험시 너무 습윤도가 높은 경우 공기건조시켜야 하며, 건조된 흙을 섞더라도 즉시 시험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7. 참고문헌
토질시험, 이상덕, 도서출판 새론,
토질역학, 李鍾珪, 技文堂
지반공학시험, 김용필 송용선
토질 시험법(1998) 형설출판사
토질 역학(1999) 건국대학교 출판부
8. 부록(기타자료, 개선예)
< 표. 4 소성지수와 노반재료 >
노반종류
허용 소성지수
상 층 노 반
하 층 노 반
시멘트나 역청안정처리토의 노반
Ip < 4
Ip < 6
Ip < 6
(6) 소성 한계에 비하여 액성 한계를 구하는 것은 4~5 종의 함수비에 관하여 낙하 횟수를 결정짓는다 든가 또는 동시에 숙련된 기능자를 필요로 하는 시험이다.
① 다소 정밀도는 떨어지겠지만 다량의 시료에 대하여 액성 한계를 급히 결정하고 싶을 때에는 보통 낙하 횟수가 20~30회 부근에서 1개의 시료로만 액성 한계를 구하는 일점법이 ASTM에 소개되어 있다.
② 한편 시료에 정적으로 콘을 관입시켜 관입량으로부터 액성 한계값을 구하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다.
6. 결론
액성 한계 실험은 다른 실험보다 숙련도가 필요하고 오차의 요인이 너무 많았다. 우선 시료를 물과 잘 혼합하는 것도 어려웠고 홈파기 칼로 홈을 팔 때도 황동 접시의 흙이 미끄러져 NP 가 많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홈이 파여졌다하더라도 정확히 일정한 간격으로 파여지지 않은 불규칙한 모습을 나타내었다. 또 손으로 측정기의 황동 접시를 돌리므로 일정한 회전 속도를 유지하기 힘들고 시간도 타임 워치를 눈으로 확인하는 수준이어서 정확한 실험적 데이터보다는 흙의 컨시스턴스를 이해하는 정도의 실험이었다. 일정한 회전속도(rpm)로 회전하는 자동측정기구가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었다. 또 황동 접시를 돌릴 때 소성적 흐름에 따라 붙는 것이 아니라 황동 접시의 표면과 흙 사이에서 미끄럼 현상으로 흘러내리는 경우도 발생하는 듯 했다.
소성 한계 실험은 액성 한계 실험과는 달리 물을 충분히 가하여 유연한 상태의 흙을 손으로 반죽하면서 함수비를 감소시키며 실험이 이루어진다. 이 실험으로 구해진 소성 한계는 19.890 이라는 값을 나타내었다. 이 실험을 하는데는 직경 3mm의 끈 모양으로 만들어졌을 때 토막토막 부서져야 한다. 그러나 직경 3mm 의 못을 준비하긴 했으나 손으로 굴리므로 정확히 일정하게 3mm가 만들어지기는 어려웠다. 손의 누르는 힘에 의해 부분적으로 끊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실험 방법이나 과정에서 액성 한계보다는 비교적 간단한 실험이었다.
◈ 주의 사항 ◈
- 액성한계 시험 주의 사항 -
(1) 시료를 준비할 때에는 노건조에 의하지 않고 공기건조를 행한다. 공기 건조의 경우에도 시료의 건조정도가 클수록 시험치가 적게 되므로 건조의 정도는 자연함수비의 40% 정도의 함수비가 되도록 그치는 것이 좋다.
(2) 시료를 증발접시에 넣고 혼합할 때에는 연한 퍼티상태가 되도록 한다. 퍼티상태라 함은 낙하횟수가 30회 전후에서 홈이 접촉하는 정도의 연함을 말하며 이러한 상태가 될 때까지 매회 1~3cc씩 물을 가하며 충분히 시료를 혼합한다.
(3) 시료에 물을 가하는 때에는 전체에 고루 적셔지도록 분무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반죽한 시료를 황동제 컵에 넣을 때에는 공기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시료를 눌러 깔아 넣어야 한다. 홈 부근의 시료의 두께는 약 1cm가 되도록 한다.
(5) 낙하횟수를 결정할 때에는 같은 함수량의 것으로 2~3회 시험을 하여 대체로 일치된 결과가 얻어지면 함수량 측정을 위한 시료를 취한다.
(6) 황동제 컵을 낙하시켜 시료의 홈이 접촉하도록 하여야 하고 흙과 컵과의 사이에 미끄러져서 접촉해서는 안된다. 이를 위해서는 황동제 컵을 마른 포로 잘 닦아서 시료를 넣어야 한다.
(7) 일반적으로 시험은 함수량이 작은 상태로부터 점차로 함수량을 증가하여 시료흙을 부드러운 상태가 되도록 한다. 부득이 함수량을 감하여 시험을 해야 할 경우에는 마른 흙을 혼합하되 충분히 혼합하여 30분 정도 놓아둔 후에 시험을 행한다.
(8) 컵의 타격횟수가 35이상 15이하로 되는 시험은 기록하지 않는다.
- 소성한계 시험 주의 사항 -
(1) 흙을 유리판 위에 미는 사이 또는 손으로 반죽하는 사이에도 손의 온도에 의하여 다소 건조상태가 되므로 약간 습윤도가 높은 상태에서 시험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2) 시험시 너무 습윤도가 높은 경우 공기건조시켜야 하며, 건조된 흙을 섞더라도 즉시 시험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7. 참고문헌
토질시험, 이상덕, 도서출판 새론,
토질역학, 李鍾珪, 技文堂
지반공학시험, 김용필 송용선
토질 시험법(1998) 형설출판사
토질 역학(1999) 건국대학교 출판부
8. 부록(기타자료, 개선예)
< 표. 4 소성지수와 노반재료 >
노반종류
허용 소성지수
상 층 노 반
하 층 노 반
시멘트나 역청안정처리토의 노반
Ip < 4
Ip < 6
Ip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