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스카시대
2. 나라시대
3. 헤이안시대
4. 가마쿠라시대
5. 무로마치시대
6. 아즈치모모야마시대
2. 나라시대
3. 헤이안시대
4. 가마쿠라시대
5. 무로마치시대
6. 아즈치모모야마시대
본문내용
다. 일본은, 오오닌의 난 이후 계속되는 전란으로 극도의 혼란에 빠진 일본은 16세기 후반에 등장한 오다 노부나가에 의해 통일되기 시작한다. 그러던 중 1543년 두 명의 포르투갈 사람이 큐우슈우 남방 타네가시마에 표류하여 소총을 전해준 사건이 있었다. 이 소총을 국산화하여 대량생산하여 소총부대를 만들어 재래의 전투양식을 현대적으로 뒤바꿔 놓은 사람이 노부나가이다. 또한 그는 상업과 수공업, 기독교를 보호 · 육성하였다.
그러나 노부나가는 천하통일을 완수하기 전에 심복 아케치미쯔히데의 반란(혼노지의 변)으로 사망하고 그 뒤를 이어 도요토미히데요시가 아케치미쯔히데를 파하고 오사카 성을 근거로 1590년, 드디어 천하통일의 대업을 완수하였다. 이 도요토미히데요시와 오다노부나가의 시대를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라고 한다. 이 명칭은 노부나가와 히데요시의 성(城)인 아즈치 성과 모모야마 성에서 따온 것이다.
이 시대의 문화는 신흥 센고쿠다이묘들과 대상인들의 영향으로 웅장하고 화려한 성격을 보이는데 이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성(城)들을 보면 알 수 있다. 전국의 다이묘들이 각각의 죠오카마치(城下町)-성곽도시를 이루며 살았는데 성은 다이묘의 거처이며 정치권력의 중심이었다. 따라서 대단히 웅장하고 화려하였다. 현재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효고현의 히메지성을 보면 그 시대 성들의 화려함과 그 규모를 알 수 있다.
히데요시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악명높은 이름이다. 빈농의 자식으로 천하통일에 성공한 자신의 지배체제를 확고히 하기 위해 토지조사를 단행, 전답의 수확고를 조사하여 세율을 정하는 다이코켄치를 실시하였고, 농민들의 반란을 막기 위해 가타나가리(칼사냥)을 단행하였다. 이로써 병농이 분리되고 긴 분란의 씨앗인 장원제가 막을 내렸다. 히데요시는 다도를 적극 권장하여 다인 센노리큐를 적극 지원하여 일본 다도를 완성하였다. 센노리큐는 다도의 정신을 화경청적(和敬淸寂)이라 하여, 고요함 속에 생동감이 깃들어 있다고 하여 이를 와비차라 하였다.
아즈치모모야마시대는 호화롭고 웅대한 문화가 특징이다. 이것을 잘 나타내고 있는 것이 성으로, 아즈치모모야마(安土桃山)라는 시대 이름도 노부나가(信長)와 히데요시(秀吉)의 거성의 지명에서 유래된 것이다.
또, 난반(南蠻)무역으로 여러 가지 서양문물이 들어왔다. 현재도 사용되고 있는 빵, 즈봉, 카스테라 등의 외래어는 당시 포르투칼에서 일본어가 된 것이다.
그러나 노부나가는 천하통일을 완수하기 전에 심복 아케치미쯔히데의 반란(혼노지의 변)으로 사망하고 그 뒤를 이어 도요토미히데요시가 아케치미쯔히데를 파하고 오사카 성을 근거로 1590년, 드디어 천하통일의 대업을 완수하였다. 이 도요토미히데요시와 오다노부나가의 시대를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라고 한다. 이 명칭은 노부나가와 히데요시의 성(城)인 아즈치 성과 모모야마 성에서 따온 것이다.
이 시대의 문화는 신흥 센고쿠다이묘들과 대상인들의 영향으로 웅장하고 화려한 성격을 보이는데 이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성(城)들을 보면 알 수 있다. 전국의 다이묘들이 각각의 죠오카마치(城下町)-성곽도시를 이루며 살았는데 성은 다이묘의 거처이며 정치권력의 중심이었다. 따라서 대단히 웅장하고 화려하였다. 현재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효고현의 히메지성을 보면 그 시대 성들의 화려함과 그 규모를 알 수 있다.
히데요시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악명높은 이름이다. 빈농의 자식으로 천하통일에 성공한 자신의 지배체제를 확고히 하기 위해 토지조사를 단행, 전답의 수확고를 조사하여 세율을 정하는 다이코켄치를 실시하였고, 농민들의 반란을 막기 위해 가타나가리(칼사냥)을 단행하였다. 이로써 병농이 분리되고 긴 분란의 씨앗인 장원제가 막을 내렸다. 히데요시는 다도를 적극 권장하여 다인 센노리큐를 적극 지원하여 일본 다도를 완성하였다. 센노리큐는 다도의 정신을 화경청적(和敬淸寂)이라 하여, 고요함 속에 생동감이 깃들어 있다고 하여 이를 와비차라 하였다.
아즈치모모야마시대는 호화롭고 웅대한 문화가 특징이다. 이것을 잘 나타내고 있는 것이 성으로, 아즈치모모야마(安土桃山)라는 시대 이름도 노부나가(信長)와 히데요시(秀吉)의 거성의 지명에서 유래된 것이다.
또, 난반(南蠻)무역으로 여러 가지 서양문물이 들어왔다. 현재도 사용되고 있는 빵, 즈봉, 카스테라 등의 외래어는 당시 포르투칼에서 일본어가 된 것이다.
추천자료
[과외]고등 국사-고대사회의발전 03
[중국][중국역사][중국의역사]중국의 고대사(은, 주, 춘추전국, 진, 한, 위, 진, 남북조, 수,...
[고전소설][고대소설][영화화][게임화][시트콤화][동화화]고전소설(고대소설)의 영화화와 고...
[고대가요][구지가]고대가요 구지가의 배경설화와 고대가요 구지가의 원문, 고대가요 구지가...
[고대가요][황조가]고구려 고대가요 황조가의 배경설화, 고구려 고대가요 황조가의 원문, 고...
스파르타(고대 그리스)의 통치, 스파르타(고대 그리스)의 체제, 스파르타(고대 그리스)의 지...
[방송대 사회과학.자연과학1]'혈의 누'의 이해와 감상 및 신소설과 고대소설의 비교 그리고 ...
고대 그리스 스파르타의 발전양식, 고대 그리스 스파르타의 정치체제, 고대 그리스 스파르타...
[관광의 역사] 고대, 중세, 근대, 현대의 관광 발전과정(역사)
[역사학] “근대국민국가와 고대사 창출” 동아시아의 왕권과 교역 -신라.발해와 정창원 보물
김만중 한글 고대소설 사씨남정기의 줄거리와 작가, 김만중 한글 고대소설 사씨남정기의 시대...
그리스도인은 역사를 어떻게 보는가 - 고대 그리스들의 역사관, 히브리인들의 역사관, 기독교...
도시공학도의 관점에서 재조명한 고대로마의 계획도시 팀가드(Timgad) (팀가드의 특징, 팀가...
[한국문학사]고대소설(古代小說) - 고대소설의 개념과 기원, 고대소설 작가와 독자, 고대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