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시아의 콜롬부스
1. 중앙아시아 다 보지 못한 꿈의 나라
2. 중앙아시아의 실력자
3. 중국의 반격
4. 장건의 13년 대여행
5. 장건의 서역행이 거둔 의의
6. 장건의 서역행에 관한 잘못된 사실
한의 서역경영과 동서교통
1. 한무제의 교역노력과 어려움
2. 한의 흉노정벌과 서방진출의 실현
3. 서역교역으로 전래된 물품과 문화
4. 중국제일의 수출품 비단에 대한 서방의 추측
1. 중앙아시아 다 보지 못한 꿈의 나라
2. 중앙아시아의 실력자
3. 중국의 반격
4. 장건의 13년 대여행
5. 장건의 서역행이 거둔 의의
6. 장건의 서역행에 관한 잘못된 사실
한의 서역경영과 동서교통
1. 한무제의 교역노력과 어려움
2. 한의 흉노정벌과 서방진출의 실현
3. 서역교역으로 전래된 물품과 문화
4. 중국제일의 수출품 비단에 대한 서방의 추측
본문내용
전국시대부터 바빌로니아와 인도의 영향을 받았 다고 한다. 아마 동서교통이 성행하면서 더욱 정확한 지식이 중국으로 전해졌을 것이다.
(3)서역의 음악이 중국에 활발하게 전해진 것은 육조시대 이후이지만 한대에도 이미 여러 종의 악곡과 악기가 전해졌다고 한다. 한 사례로 비파와 공후(하아프) 의 전래를 들 수 있다. 공후는 무제가 태을후토를 제사지낼 때 사용했다고 한다.
(4)교역으로 인해 중앙아시아의 습속도 차례로 중국으로 전해지게 되었다. 사례 로는 계란 모직물, 접는식 의자인 호상, 다루기 편리한 좌구가 있다.
4. 중국제일의 수출품 비단에 대한 서방의 추측
비단은 서방과의 교역에서 가장 중요한 중국의 수출품 1호였다. 비단은 한대 이 전부터 서방세계에 알려져 있었다. 이것은 세르 또는 세레스란 이름으로 불리워 졌고 또, 서방인들은 세레스란 말을 비단이 생산되는 곳을 지칭할 때도 사용하였 다. 프로레마이오스는 세레스(장소의 세레스)에 대해 지식을 열거해 놓았는데 세 레스의 위치를 잘못 인식하고 있으나 동방의 미지의 나라 세레스의 존재를 인식 하고 있음은 분명하다고 볼 수 있다.
비단을 왜 세르, 세레스라고 불렀는지는 학자들간의 추측만 난무 할 뿐이다.
(3)서역의 음악이 중국에 활발하게 전해진 것은 육조시대 이후이지만 한대에도 이미 여러 종의 악곡과 악기가 전해졌다고 한다. 한 사례로 비파와 공후(하아프) 의 전래를 들 수 있다. 공후는 무제가 태을후토를 제사지낼 때 사용했다고 한다.
(4)교역으로 인해 중앙아시아의 습속도 차례로 중국으로 전해지게 되었다. 사례 로는 계란 모직물, 접는식 의자인 호상, 다루기 편리한 좌구가 있다.
4. 중국제일의 수출품 비단에 대한 서방의 추측
비단은 서방과의 교역에서 가장 중요한 중국의 수출품 1호였다. 비단은 한대 이 전부터 서방세계에 알려져 있었다. 이것은 세르 또는 세레스란 이름으로 불리워 졌고 또, 서방인들은 세레스란 말을 비단이 생산되는 곳을 지칭할 때도 사용하였 다. 프로레마이오스는 세레스(장소의 세레스)에 대해 지식을 열거해 놓았는데 세 레스의 위치를 잘못 인식하고 있으나 동방의 미지의 나라 세레스의 존재를 인식 하고 있음은 분명하다고 볼 수 있다.
비단을 왜 세르, 세레스라고 불렀는지는 학자들간의 추측만 난무 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