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료제이론(Bureaucracy Model)]
1. 관료제의 특성
2. 관료제화의 문제
3. 비판
4. 후기 베버주의 관료제 이론
[과학적 관리론(Scientific Management School)]
1. 이론적 주창자 Frederick W. Taylor(1856-1915)
2. 주요 내용
3. 노사협력의 경영이데올로기
4. 비판 및 결론
1. 관료제의 특성
2. 관료제화의 문제
3. 비판
4. 후기 베버주의 관료제 이론
[과학적 관리론(Scientific Management School)]
1. 이론적 주창자 Frederick W. Taylor(1856-1915)
2. 주요 내용
3. 노사협력의 경영이데올로기
4. 비판 및 결론
본문내용
. 즉 인간행동의 도구적 측면을 강조한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의 과학적 관리론에 대한 비판은 브레이버만(Harry Braverman)을 중심으로 한 마르크스주의 노동과정론자들에 의해 제기되었다. 브레이버만은 과학적 관리의 문제를 다음과 같이 구별하였다. 첫째, 노동자의 숙련으로부터 노동 과정의 분리라는 문제, 둘째, 구상으로부터 실행의 분리를 시도하고 있다는 문제, 마지막으로 노동과정의 각 단계 및 실행양식을 통제하는 지식에 대한 관리자의 독점적 사용의 원칙이다. 무젤리스는 과학적 관리론이 기술주의적 사고의 부당한 일반화라는 측면과 과학주의의 부당한 적용이라는 측면에서 문제가 된다고 비판한다. 그는 산업이나 인간문제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하려면 다차원적 접근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강조하였으며, 이런 점에서 테일러주의는 단차원적이고 부분적이라 평가한다. 이론이 부분적이거나 경영자적 편견 자체가 문제가 될 수 없지만, 무젤리스가 비판하는 것은 테일러가 그러한 부분적인 시각을 부당하게 일반화시키고자 했다는 것과 과학주의를 부당하게 적용했다는 점이다. 테일러가 지닌 기술주의적 편견이라는 비판이 가능한 것은 테일러가 엔지니어의 방법을 광범위한 사회현실에 부당하게 일반화시켰다는 점이다. 즉 테일러가 일반화하고자 했던 문제가 포괄적인 개념적 틀을 요구한다는 것을 고려할 때 그의 모델이 지닌 부분성이나 한계를 간과했다고 비판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무젤리스는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론에서 기술주의가 연구의 관계없는 영역에까지 부당하게 확장시켰다면, 과학주의 역시 과학의 가능성을 가치판단이나 정당화에까지 부당하게 확대 적용했다는 비판을 한다. 즉 적정 보수수준과 함께 노동문제 일반이 과학적 객관적 방법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는 테일러의 주장은 노자갈등의 문제를 사회제도에 적절히 위치시키는데 실패했음만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 방법의 본질에 대한 그의 잘못된 사고까지 드러낸다는 것이다. 과학적 관리론은 산업전반에 관리지침으로 수용되고 적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조직이론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남겼다. 그 후에 발전되어 나온 많은 이론들은 테일러체계를 비판 보완하는 작업을 통해 발전되었다. 마지막으로 조직에 대한 초기 문헌들이 능률과 성과개선을 위한 조직 내의 탐색의 부산물로 출현하면서 이러한 문헌들은 폐쇄체계 가정을 깔게 된다. 이 점에서 과학적 관리론은 조직의 개념적 폐쇄성을 전제하는 고전조직이론에 폐쇄 합리적 조직관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