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베토벤의 삶, 음악세계 그리고 사상적 배경
2. 1 베토벤의 삶
2. 2 베토벤의 음악세계
2. 3 베토벤의 사상적 배경
3. 교향곡 제9번 ‘합창(Choral)’ 4악장 ‘환희의 송가’
3.1 교향곡 제9번 '합창(Choral)'과 그 의미
3. 2 교향곡 제9번이 우리에게 미친 영향
4. 마치며
2. 베토벤의 삶, 음악세계 그리고 사상적 배경
2. 1 베토벤의 삶
2. 2 베토벤의 음악세계
2. 3 베토벤의 사상적 배경
3. 교향곡 제9번 ‘합창(Choral)’ 4악장 ‘환희의 송가’
3.1 교향곡 제9번 '합창(Choral)'과 그 의미
3. 2 교향곡 제9번이 우리에게 미친 영향
4. 마치며
본문내용
하는 이상인 자유와 평화, 협력을 표현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유럽연합이 처음 연합하고자 하는 것을 추구했던 1972년부터 그들이 추구하는 바가 이루어졌을 때 사용하고자 하여 유명 지휘자인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에게 피아노와 관악기,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으로 편곡을 요청하여 사용되어져 왔으며 1985년 EU의 집행부가 첫 출범할 때도 역시 계승되었다. http://www.europa.eu.int/abc/symbols/anthem/index_en.htm
베토벤이 독일 작곡가 임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문호 로망 롤랑이 그의 전기를 집필할 정도로 베토벤의 신념은 국가와 민족을 초월하여 공통으로 추구할 수 있는 이상 일 수 있기 때문에 유럽연합 25개국에서 이를 비준하고 동의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베토벤의 교향곡 제9번의 원본 악보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는 것은 마치 미국의 독립선언서가 국보로 지정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유럽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 인류의 자유, 평화, 협력을 표상하는 문서로 보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세계 평화라는 가치의 표상으로 전 세계 인류를 위하여 세계문화유산으로서 지정되고 보호될 가치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거창한 것이 아니라 할지라도 교향곡 제9번은 전 세계에서 고전음악을 연주하는 제야음악회 또는 신년음악회에서 빠지지 않고 연주되면서 음악을 통한 환희를 제공함으로써 인류에게 감동과 함께 베토벤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베토벤 제9번이 지닌 의미로 분단국가가 통일을 위한 귀중한 걸음을 걷는 것과 같은 순간에 있어서 연주되어 지는 것은 이러한 맥락을 따르는 것이다. 통일 이전 56년 호주 멜버른 올림픽 때 동독과 서독이 올림픽에서 최초로 함께 입장을 할 때 경기장에 울려퍼진 것도 바로 베토벤 교향곡 제9번 4악장 ‘환희의 송가’였다. 독일 작곡가에 의한 형제애를 부르짖은 ‘환희의 송가’는 독일인의 정신세계를 분단 독일의 통일을 기원하는 음악으로서 그보다 나은 음악은 있을 수 없음은 명확한 것이다.
4. 마치며
흔히 대중음악과 고전음악의 차이를 논하라 하며 대중음악은 그 수명이 짧은데 비해서 고전음악은 시대를 뛰어넘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인류에게 감동을 선사하고 작곡될 당시의 시대적인 가치 등을 전달해준다고 한다. 베토벤의 음악, 좀 더 명확히 교향곡 제9번은 바로 그러한 좋은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근대 이후 인류에 의해 영원히 추구되는 가치인 자유, 평화와 인류애라는 가치는 1785년 실러가 환희의 송가를 처음 탈고 하였을 때, 베토벤이 1823년 교향곡 제9번을 완성하였을 때부터 지금까지 인류에 의해 갈구되어 온 것이고 지금도 추구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실러와 베토벤이 인류애와 자유를 옹호했다고 해도 그들의 19세기에 살아갔던 사람들로서 그 당시에는 그것들의 어디까지나 유럽인의 그것이지 아시아 아메리카 아프리카인을 위한 것은 아니었다는 한계를 가지기는 한다. 그러나 어느 나라, 어느 시대의 것이라고 할지라도 가치가 있는 것이라면 그것이 받아들여 우리의 것을 만들 가치는 충분히 있다. 그러한 사상들이 담겨 200여년의 세월을 넘어 지금까지 우리에게 감동을 주고 끊임없이 다시 일깨워줄 수 있다는 것을 통해 볼 때 예술이 추구하는 가치와 그에 담긴 사상은 시간과 장소를 초월하여 어떻게 말을 건네는지를 우리는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로망 롤랑, 베토벤의 위대한 생애, 도서출판 두로, 1993
박홍규, 베토벤 평전 - 갈등의 삶, 초월의 예술, 가산출판사,2003
김방현 역, 작곡가별 명곡해설 라이브러리1 베토벤, 음악세계, 1999
조수철, 베토벤의 삶과 음악세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베토벤이 독일 작곡가 임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문호 로망 롤랑이 그의 전기를 집필할 정도로 베토벤의 신념은 국가와 민족을 초월하여 공통으로 추구할 수 있는 이상 일 수 있기 때문에 유럽연합 25개국에서 이를 비준하고 동의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베토벤의 교향곡 제9번의 원본 악보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는 것은 마치 미국의 독립선언서가 국보로 지정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유럽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 인류의 자유, 평화, 협력을 표상하는 문서로 보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세계 평화라는 가치의 표상으로 전 세계 인류를 위하여 세계문화유산으로서 지정되고 보호될 가치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거창한 것이 아니라 할지라도 교향곡 제9번은 전 세계에서 고전음악을 연주하는 제야음악회 또는 신년음악회에서 빠지지 않고 연주되면서 음악을 통한 환희를 제공함으로써 인류에게 감동과 함께 베토벤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베토벤 제9번이 지닌 의미로 분단국가가 통일을 위한 귀중한 걸음을 걷는 것과 같은 순간에 있어서 연주되어 지는 것은 이러한 맥락을 따르는 것이다. 통일 이전 56년 호주 멜버른 올림픽 때 동독과 서독이 올림픽에서 최초로 함께 입장을 할 때 경기장에 울려퍼진 것도 바로 베토벤 교향곡 제9번 4악장 ‘환희의 송가’였다. 독일 작곡가에 의한 형제애를 부르짖은 ‘환희의 송가’는 독일인의 정신세계를 분단 독일의 통일을 기원하는 음악으로서 그보다 나은 음악은 있을 수 없음은 명확한 것이다.
4. 마치며
흔히 대중음악과 고전음악의 차이를 논하라 하며 대중음악은 그 수명이 짧은데 비해서 고전음악은 시대를 뛰어넘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인류에게 감동을 선사하고 작곡될 당시의 시대적인 가치 등을 전달해준다고 한다. 베토벤의 음악, 좀 더 명확히 교향곡 제9번은 바로 그러한 좋은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근대 이후 인류에 의해 영원히 추구되는 가치인 자유, 평화와 인류애라는 가치는 1785년 실러가 환희의 송가를 처음 탈고 하였을 때, 베토벤이 1823년 교향곡 제9번을 완성하였을 때부터 지금까지 인류에 의해 갈구되어 온 것이고 지금도 추구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실러와 베토벤이 인류애와 자유를 옹호했다고 해도 그들의 19세기에 살아갔던 사람들로서 그 당시에는 그것들의 어디까지나 유럽인의 그것이지 아시아 아메리카 아프리카인을 위한 것은 아니었다는 한계를 가지기는 한다. 그러나 어느 나라, 어느 시대의 것이라고 할지라도 가치가 있는 것이라면 그것이 받아들여 우리의 것을 만들 가치는 충분히 있다. 그러한 사상들이 담겨 200여년의 세월을 넘어 지금까지 우리에게 감동을 주고 끊임없이 다시 일깨워줄 수 있다는 것을 통해 볼 때 예술이 추구하는 가치와 그에 담긴 사상은 시간과 장소를 초월하여 어떻게 말을 건네는지를 우리는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로망 롤랑, 베토벤의 위대한 생애, 도서출판 두로, 1993
박홍규, 베토벤 평전 - 갈등의 삶, 초월의 예술, 가산출판사,2003
김방현 역, 작곡가별 명곡해설 라이브러리1 베토벤, 음악세계, 1999
조수철, 베토벤의 삶과 음악세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추천자료
예술과 외설, 그 모호한 경계
현진건, 「운수 좋은 날」; 김동인, 「감자」; 최...
예술과 상업 영화
예술과 철학의 분석
예술과 외설의 차이
예술과 예술작품
예술과 인간의 관계
예술과 도덕과의 관계
괴테,베토벤,리트에 대한 레포트
[문화예술][문화예술진흥법][문화예술단체]문화예술의 개념, 문화예술의 문화예술진흥법, 문...
[예술의 의의][예술의 기능][예술과 예술의욕][예술과 외설][예술에 대한 이론][예술에 대한 ...
[예술][예술의 상대성과 절대성][예술과 미][예술과 도덕][철학][과학]예술의 정의, 예술의 ...
모차르트_베토벤
[현대의서양문화 C형] 서양의 공공조형물(혹은 기념조형물) 중에서 이러한 성격을 반영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