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슈미르분쟁(인도-파키스탄전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카슈미르 지역과 분쟁의 배경
1) 인도, 파키스탄
① 인도
② 파키스탄
③ 인도의 주장
④ 파키스탄의 주장
2) 카슈미르
① 개관
② 역사
③ 종교
3) 분쟁의 발단, 원인
2. 카슈미르 분쟁의 전개
1) 제1차 인․파전쟁, 카슈미르 분할
2) 제2차 인․파전쟁, 인도의 승리
① 랜 오브 커치 (Rann of Kutch)전투
② 카슈미르 전투
③ 종전(終戰)과 타슈켄트 협정
3) 제3차 인․파전쟁, 인도의 패권장악
3.카슈미르 분쟁의 3차 전쟁 이후 상황
4.의미 및 영향
1) 인도, 파키스탄 양국에의 영향
2) 국제관계에의 영향
3) 우리나라에의 영향

Ⅲ.결론

본문내용

상회하고 있다. 특히 미 상무부도 2025년 인구 15억에 인도가 중국보다 먼저 도달, 세계 최대의 인구국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리고 있는 등 세계 최대의 인구 조밀지역이기 때문에 자칫 핵전쟁이 발발한다면 걷잡을 수 없는 대량 학살극의 우려 또한 있는 것이다.
(3)우리나라에의 영향
멀리 보아, 카슈미르 분쟁은 한국의 국가 안보적 측면에서도 영향력을 끼칠 수 있다. 우선 분할국으로서 50여년 동안의 양국의 관계 악화와 미국의 대남아시아정책과의 상관관계를 한반도에도 적용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1995년 제네바 핵 합의로 남북한과 동시에 공식적 관계를 맺기 시작한 미국의 대한반도정책이 앞으로 남북한 양국의 관계발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를 예측하는 하나의 바로미터가 될 수도 있지 않겠는가 하는 시각에서다. 다음으로는 북한과 파키스탄의 미사일 및 핵 협조의 긴밀화로 파키스탄은 핵 탑재 미사일의 사거리 연장을 위한 북한 미사일 기술의 수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북한의 입장에서는 그 수출이 주요한 외화획득의 수단이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Prakash Nanda, "Nuclearisation of Divided Nations: A Comparative study of India-Pakistan and Two Koreas", (a paper for the Seoul Peace Prize Cultural Foundation, 1999.8)
또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그 영향력을 살펴볼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인도에 1991년 이래 주로 자동차부문을 중심으로 25억달러 이상을 투자해왔으며 1998년 우리의 수출이 3억4천만달러로 14위, 수입은 2억5천만달러로 역시 14위를 차지하는 등 잠재력이 큰 시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인도-파키스탄 분쟁과 각각의 국내 정정의 불안 등은 우리로서도 큰 관심의 대상이 아닐 수 없는 것이다.
Ⅲ.결론
57년에 걸친 카슈미르 분쟁은 종교갈등에서 출발, 지금은 인도·파키스탄의 영토분쟁, 인도·중국 간의 지역 패권 갈등, 테러와의 전쟁 등과도 복잡하게 얽혀있다.
국제적으로도 정작 카슈미르 분쟁을 공정하게 해결하려는 노력은 그리 많지 않았다. 유엔의 정전감시단이 상주하고 있는 것도 핵전쟁으로 비화될 수 있는 제4차 인·파 전쟁을 예방하는 의미가 크며 지금까지 카슈미르 문제의 본질에 접근하려는 노력은 미흡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탈냉전 이래 인권문제에 관한 세계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카슈미르 분리 독립운동의 정당성에 대해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95년 10월 인도의 유력 잡지 `아웃룩(Outlook)'이 잠무·카슈미르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대다수(70%)가 평화를 가져올 `독립'을 원하고 있다.
인도군의 `인권침해' 사실을 거의 모두(90%) 인정하고 있는 가운데 회교근본주의자들에 대한 `혐오' 역시 높은 비중(66%)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이러한 점에서 국제사회가 카슈미르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의미 있는 대화와 생산적인 외교 노력으로 인도·파키스탄간의 적대 관계 청산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고 하겠다.
한편 일부 무장단체들을 중심으로 인도 파키스탄 어느 쪽도 아닌 카슈미르의 완전독립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 방안은 인-파 양국의 카슈미르 포기도 기대하기 어렵지만 중국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히고 있다. 중국의 입장에서는 카슈미르의 독립은 티베트에 바로 영향을 미치는 도미노효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현 단계에서 가장 바람직한 해결책은 완전독립 이외에 다른 방안은 생각하기 어렵다. 지난 50여년간 수많은 노력들이 기울여진 바 인도와 파키스탄 양측의 국민감정상 어느 한 쪽으로의 병합은 불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양국이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것은 바로 핵전쟁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10월 무샤라프 대통령이 사실상 휴전선인 통제선(LoC) 양측의 카슈미르를 7개 권역으로 나눠 무장 해제한 뒤 독립국 지위를 부여하거나 양국의 공동통제 또는 유엔 관할 하에 두자고 제안한 것과, 인도가 카슈미르에서 분리주의자들에 의한 테러가 본격화된 지난 1989년 이후 처음으로 4만명의 카슈미르 주둔군을 감축키로 했다는 소식은 최근 무르익고 있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해빙무드를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양국은 올 초부터 본격화된 다방면 대화의 연장선에서 이달 말부터 카슈미르 문제를 포함한 8가지 의제를 놓고 얼굴을 맞댈 예정이어서 지난 1989년 이슬람반군이 무장봉기를 일으킨 이후 수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카슈미르의 평화정착 움직임이 조만간 본 궤도에 진입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이 지역에서 최근 유혈충돌이 줄어들긴 했지만 이날 싱 총리의 방문을 불과 몇 시간 앞두고 분리주의 세력의 테러사건이 발생해 반군요원 2명이 사살 된데서 엿보이듯이 양국 정부의 평화정착 의지와 10여개로 추산되는 무장세력의 입장이 서로 다를 수도 있다는 점이 걸림돌로 지적된다.
또 인도가 무샤라프 해법을 검토할 의사를 밝히면서도 영토의 재조정 가능성을 일축하는 기존의 원칙론을 고수하고 있는데다, 미국이나 유엔의 개입을 기대하는 파키스탄과 달리 제3자의 역할에 강한 거부감을 보이는 점도 평화협상이 그리 쉽게 진행되지는 않을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사실, 60년 가까운 세월동안 서로 총을 겨누고 많은 인명 피해를 입혔던 두 나라가 바로 손을 잡고, 대화를 통해 카슈미르 지역의 문제를 해결 할 수는 분명 없을 것이다. 지금 불고 있는 화해의 물결을 계속 유지시켜 나가면서 서로의 입장을 좁혀 해결책을 찾고, 국제사회가 보다 적극적인 중재 노력을 기울여 카슈미르 분쟁이 전면전으로 비화되는 것을 막는다면 끝이 보이지 않을 것 같았던 카슈미르 분쟁도 언젠가는 좋은 결말을 내릴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참고문헌
CNN 한글 뉴스
2002년1월3일자
세계분쟁 사이트
연합 뉴스
2004년10월26일자, 2004년11월17일자
이희수 외, 「이슬람, (서울 ; 청아출판사, 2002)」
두산 엔 사이버 백과사전
다음
네이버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7.07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62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