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실버타운의 배경과 정의
2.1. 실버타운의 배경
2.2. 실버타운의 정의
2.3. 실버타운의 구성요소
3. 노인 행태의 의한 특성분석과 제안
4. 실버타운 국내 외 사례분석
5. 결론
참고문헌
1.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실버타운의 배경과 정의
2.1. 실버타운의 배경
2.2. 실버타운의 정의
2.3. 실버타운의 구성요소
3. 노인 행태의 의한 특성분석과 제안
4. 실버타운 국내 외 사례분석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운의 사례분석 결과 공통적인 디자인 제안으로는 첫째, 두 부부가 사용하는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개의 방을 두어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짐으로 융통성과 가변성으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인다.
둘째, 넓은 베란다에 다용도실을 두어 큰 물건을 보관 할 수 있게 한다.
셋째, 현관이나 단위주거공간과 공간사이에 대화의 공간을 마련해 주고 발코니 혹은 개인의 사색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준다.
넷째, 가급적이면 고정적인 가구보다는 이동 가능한 가구를 둔다.
다섯째, 노인들의 신체 조건을 고려하여 바닥의 재질과 모서리 처리에 중점을 둔 무 장애 공간으로 디자인한다.
5. 결론
공간에 있어서 노인들의 행태와 관련된 연구는 다음과 같이 8가지의 특성을 나누어서 분류할 수 있으며
·타인과의 친교형성
·집단의 소속감 및 사회성
·노인의 프라이버시 및 개인 공간에 대한 소유
·노인의 지위 및 정체성
·영역성에 대한 추구
·개인 혹은 단체의 의사전달
·공간에 대한 단서파악 및 지시
·개인의 안전에 대한 고려
이와 같이 노인의 행태에 대한 분류에 의해 연구된 디자인 제안은 실버타운 주거 계획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이며 이런 행태 요소가 다음과 같이 공간적 디자인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개인공간과 공용공간 사이는 개인의 공간 연출 행위가 일어날 수 있도록 배려한다.
·커뮤니티 공간을 분산 배치한다.
·한식 스타일로 침실을 연출한다.
·단위세대 출입구에 장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색채와 질감을 이용해 노인들 신체 조건을 고려한 무 장애 공간으로 디자인한다.
·모든 공간에 미끄러질 위험을 방지한 표면설치 및 불필요한 돌출부, 예각부 등을 안전장치나 가급적 곡선형 등으로 보호한다.
결론적으로 더 이상 실버타운 주거공간은 서구모델로 접근한 단지 시설과 환경만 개선한 아파트보다는 사용자인 노인들의 행태가 고려된 실버타운 주거로 계획되어야 할 것이며, 이 접근에서 건축은 물론 실내적 측면에서도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김혜정, 고령화 사회의 은퇴주거단지 디자인, 경춘사, 2000
2. 노순남, 현대사회와 노인 복지, 홍익제, 1984
3. 박광준 외, 고령화 사회와 노인 복지, 세종출판사, 1999
4. 박태환, 노년건축학, 보성각, 1996
5. 임승빈, 인간심리 행태론, 보성문화사, 1998
6. C. M. DEASY, 한필원 역, 인간행태와 건축디자인, 기문당, 1993
7. MVRDV, FARMAX, 010 publishers, 1998
8. ヤン·ポルソソ, 新しい高齡者住宅と環境, 鹿島出版會, 2000
9. 월간 건축과 환경, 해외노인공동주택3제, 1998.3
10. 월간 플러스, 노인의 住環境과 住居文化, 1992.11
11. 月刊 建築文化, 高齡化社會 の居住環境, 1992.9
12. 김상태, 노인행태와 주거설계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석사논문, 1997
13. 하성호, 한국형 실버타운 모형의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석사논 문, 1992
14. 한희경, 실버타운의 입지별 설계방향에 관한 연구, 충남대석사논문, 1997
둘째, 넓은 베란다에 다용도실을 두어 큰 물건을 보관 할 수 있게 한다.
셋째, 현관이나 단위주거공간과 공간사이에 대화의 공간을 마련해 주고 발코니 혹은 개인의 사색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준다.
넷째, 가급적이면 고정적인 가구보다는 이동 가능한 가구를 둔다.
다섯째, 노인들의 신체 조건을 고려하여 바닥의 재질과 모서리 처리에 중점을 둔 무 장애 공간으로 디자인한다.
5. 결론
공간에 있어서 노인들의 행태와 관련된 연구는 다음과 같이 8가지의 특성을 나누어서 분류할 수 있으며
·타인과의 친교형성
·집단의 소속감 및 사회성
·노인의 프라이버시 및 개인 공간에 대한 소유
·노인의 지위 및 정체성
·영역성에 대한 추구
·개인 혹은 단체의 의사전달
·공간에 대한 단서파악 및 지시
·개인의 안전에 대한 고려
이와 같이 노인의 행태에 대한 분류에 의해 연구된 디자인 제안은 실버타운 주거 계획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이며 이런 행태 요소가 다음과 같이 공간적 디자인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개인공간과 공용공간 사이는 개인의 공간 연출 행위가 일어날 수 있도록 배려한다.
·커뮤니티 공간을 분산 배치한다.
·한식 스타일로 침실을 연출한다.
·단위세대 출입구에 장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색채와 질감을 이용해 노인들 신체 조건을 고려한 무 장애 공간으로 디자인한다.
·모든 공간에 미끄러질 위험을 방지한 표면설치 및 불필요한 돌출부, 예각부 등을 안전장치나 가급적 곡선형 등으로 보호한다.
결론적으로 더 이상 실버타운 주거공간은 서구모델로 접근한 단지 시설과 환경만 개선한 아파트보다는 사용자인 노인들의 행태가 고려된 실버타운 주거로 계획되어야 할 것이며, 이 접근에서 건축은 물론 실내적 측면에서도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김혜정, 고령화 사회의 은퇴주거단지 디자인, 경춘사, 2000
2. 노순남, 현대사회와 노인 복지, 홍익제, 1984
3. 박광준 외, 고령화 사회와 노인 복지, 세종출판사, 1999
4. 박태환, 노년건축학, 보성각, 1996
5. 임승빈, 인간심리 행태론, 보성문화사, 1998
6. C. M. DEASY, 한필원 역, 인간행태와 건축디자인, 기문당, 1993
7. MVRDV, FARMAX, 010 publishers, 1998
8. ヤン·ポルソソ, 新しい高齡者住宅と環境, 鹿島出版會, 2000
9. 월간 건축과 환경, 해외노인공동주택3제, 1998.3
10. 월간 플러스, 노인의 住環境과 住居文化, 1992.11
11. 月刊 建築文化, 高齡化社會 の居住環境, 1992.9
12. 김상태, 노인행태와 주거설계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석사논문, 1997
13. 하성호, 한국형 실버타운 모형의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석사논 문, 1992
14. 한희경, 실버타운의 입지별 설계방향에 관한 연구, 충남대석사논문, 1997
추천자료
고령화사회의 원인과 해결방안
노인문제와 노인복지정책
무용과 문화
노인복지주거시설
공공노인주거복지시설의 문제점, 해결방안 및 발전방향에 관한 조사
노인주거복지시설 (양로시설, 노인복지주택, 노인공동생활가정)의 입소대상, 시설규모, 시설...
우리나라복지재정의방향과해결방안
사회복지 기관방문 - 삼성 노블카운티
노인복지론 우리나라와 외국의 노인복지시설
따라서 본인이 노인이라면 노인문제를 사회복지적인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대응 방안에 대...
테마파크사업계획서(캄보디아)
노인문제의 사례에 대해서 사회문제의 개념을 규정하는 7가지 조건에 비추어서 설명
노인주거복지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