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독점의 단기균형 (완전경쟁과 비교한 자원배분의 경제적 효과)
2)독점적 경쟁시장 정의와 특성
3)독점적 경쟁기업이 직면하는 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이유
4)독점적 경쟁의 경제적 효과
5)과점시장의 정의(성격)와 특성
6)과점기업이 직면하는 수요곡선
7)완전담합 = 카르텔의 성격
8)과점의 경제적 효과
9) 가계와 기업만 있는 모델에서 총수요와 총공급의 구성
10) 국민소득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은 무엇인가
11) 총수요 관리정책으로서의 재정정책과 금융정책의 차이
12) 미시적 실업대책
13) AD – AS 모형에서의 총수요증가의 효과
14) 인프레의 원인 (수요견인 인프레, 비용인상 인프레)
15) 인프레의 경제적 효과
2)독점적 경쟁시장 정의와 특성
3)독점적 경쟁기업이 직면하는 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이유
4)독점적 경쟁의 경제적 효과
5)과점시장의 정의(성격)와 특성
6)과점기업이 직면하는 수요곡선
7)완전담합 = 카르텔의 성격
8)과점의 경제적 효과
9) 가계와 기업만 있는 모델에서 총수요와 총공급의 구성
10) 국민소득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은 무엇인가
11) 총수요 관리정책으로서의 재정정책과 금융정책의 차이
12) 미시적 실업대책
13) AD – AS 모형에서의 총수요증가의 효과
14) 인프레의 원인 (수요견인 인프레, 비용인상 인프레)
15) 인프레의 경제적 효과
본문내용
1)독점의 단기균형 (완전경쟁과 비교한 자원배분의 경제적 효과)기업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한 단기 균형점은 한계 수입(MR)=한계 비용(MC)를 이루는 점이다. 완전 경쟁하의 기업은 P=MR점이 기업이 직면하는 수요 곡선이 되고 이러한 상황에서 MR곡선과 MC곡선이 만나는 점이 기업이 이윤 극대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생산균형점이 된다. 따라서 이점에서 재화를 생산하는 한계 비용(MC)과 고객이 느끼는 한계 효용(MU)은 같게 된다. 때문에 이때 자원 배분이 최적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반면 독점 기업이 이윤을 극대가 하기 위한 조건인 한계이윤=한계수입-한계비용, 즉 MR=MC가 되는 점은 B점이 되지만, 실질적으로 독점 기업이 직면하는 수요 곡선이 독점 경쟁하에서의 시장 수요 곡선(PD)이 되므로 MR=MC가 이루어지는 B점이 아닌 PA와 Q1A가 만나는 A점이 이윤 극대화점이 된다. 이로 인하여 기업은 CP1AB의 초가이윤이 발생하고 총이윤이 극대가 된다.
결국 재화를 생산하는 비용보다 고객이 느끼는 한계 효용이 더 크게 되는 것이다.(MU > MC, P>MC). 이는 완전 경쟁하에서의 MU=MC가 되어 자원의 최적 배분이 이루어지는 것과는 달리 독점 경쟁 시장에서는 MU=MC가 될 때 이윤이 극대화가 되지 않기 때문에 MU>MC상태일 때 이윤의 극대화가 이루어짐으로써 결국 독점 기업의 자원 배분은 완전 경쟁 시장과 달리 자원 배분의 왜곡(또는 자원의 최적 배분 실패)이 되는 것이다.
2)점적 경쟁시장 정의와 특성
정의)다수의 공급자가 같은 종류이지만 소비자의 견지에서 다소 이질적인 상품을 공급하고 있는 시장을 독점적 경쟁 시장이라고 정의한다. 예를 들어 비누는 같은 상품으로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각 상품을 생산하는 기업마다 조금씩 차이를 나타나게 되며, 또한 이를 찾는 고객 역시 같은 비누라고 하지만 각 기업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는 특성을 고려하여 구매하게 된다. 이렇듯 같은 종류이기는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차별화 된 상품을 제공하며 그 차별화 정도에 따라서 각 기업이 어느 정도 독점력을 갖는 시장을 독점적 경쟁 시장이라고 한다.
특성)때문에 이러한 시장의 특징으로는 완전 경쟁 시장과 달리 각 상품은 ‘나름의 차별화=이질성’을 이루고 있는 상태로 기업이 차별화된 정도에 따른 독점력을 가지는 독점적 요소와 완전 경쟁 시장과 같이 초과이윤이 있을 때는 새로운 기업이 언제든지 시장내로 진입할 수 있는 동질성을 갖춘 경쟁적 요소 모두를 갖고 있다.
균형점)독점적 경쟁 시장은 상품이 궁극적으로는 이질적이므로 ‘생산자 균형점’을 가질 수 없다. 즉, 독점적 경쟁 시장 내의 어떤 하나의 기업은 차별화에 의한 나름대로 독점적인 시장을 가짐으로써 자체의 생산자 균형점을 가질 수 있게 되지만, 이를 시장 전체적인 입장에서 보면 각 기업은 각자의 차별화된 시장을 가지고 있으므로 서로 비교할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다만, 하나의 기업을 놓고 볼 때, 초과 이윤이 생기게 되면 누구든 시자에 참여하고자 함으로써 P=AC가 되는 점( C ) 즉, 이윤 = 0 가 될 때까지는 경쟁이 발생하게 되며, 이 이후에는 이윤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음으로 인해서 경쟁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결국 P=AC 점을 하나의 기업의 ‘생산자 균형점’으로는 볼 수가 있게 된다.
결국 재화를 생산하는 비용보다 고객이 느끼는 한계 효용이 더 크게 되는 것이다.(MU > MC, P>MC). 이는 완전 경쟁하에서의 MU=MC가 되어 자원의 최적 배분이 이루어지는 것과는 달리 독점 경쟁 시장에서는 MU=MC가 될 때 이윤이 극대화가 되지 않기 때문에 MU>MC상태일 때 이윤의 극대화가 이루어짐으로써 결국 독점 기업의 자원 배분은 완전 경쟁 시장과 달리 자원 배분의 왜곡(또는 자원의 최적 배분 실패)이 되는 것이다.
2)점적 경쟁시장 정의와 특성
정의)다수의 공급자가 같은 종류이지만 소비자의 견지에서 다소 이질적인 상품을 공급하고 있는 시장을 독점적 경쟁 시장이라고 정의한다. 예를 들어 비누는 같은 상품으로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각 상품을 생산하는 기업마다 조금씩 차이를 나타나게 되며, 또한 이를 찾는 고객 역시 같은 비누라고 하지만 각 기업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는 특성을 고려하여 구매하게 된다. 이렇듯 같은 종류이기는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차별화 된 상품을 제공하며 그 차별화 정도에 따라서 각 기업이 어느 정도 독점력을 갖는 시장을 독점적 경쟁 시장이라고 한다.
특성)때문에 이러한 시장의 특징으로는 완전 경쟁 시장과 달리 각 상품은 ‘나름의 차별화=이질성’을 이루고 있는 상태로 기업이 차별화된 정도에 따른 독점력을 가지는 독점적 요소와 완전 경쟁 시장과 같이 초과이윤이 있을 때는 새로운 기업이 언제든지 시장내로 진입할 수 있는 동질성을 갖춘 경쟁적 요소 모두를 갖고 있다.
균형점)독점적 경쟁 시장은 상품이 궁극적으로는 이질적이므로 ‘생산자 균형점’을 가질 수 없다. 즉, 독점적 경쟁 시장 내의 어떤 하나의 기업은 차별화에 의한 나름대로 독점적인 시장을 가짐으로써 자체의 생산자 균형점을 가질 수 있게 되지만, 이를 시장 전체적인 입장에서 보면 각 기업은 각자의 차별화된 시장을 가지고 있으므로 서로 비교할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다만, 하나의 기업을 놓고 볼 때, 초과 이윤이 생기게 되면 누구든 시자에 참여하고자 함으로써 P=AC가 되는 점( C ) 즉, 이윤 = 0 가 될 때까지는 경쟁이 발생하게 되며, 이 이후에는 이윤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음으로 인해서 경쟁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결국 P=AC 점을 하나의 기업의 ‘생산자 균형점’으로는 볼 수가 있게 된다.
추천자료
[과외]중학 한문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2
[과외]중학 한문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3
[과외]중학 한문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4
[과외]중학 한문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5
[과외]중학 한문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6
[과외]중학 한문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7
[과외]중학 한문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8
[과외]중학 한문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9
[과외]중학 한문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10
[과외]중학 한문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11
[과외]중학 한문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12
[과외]중학 한문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13
[과외]중학 한문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14
[과외]중학 한문 2-2학기 기말 예상문제 0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