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글을 시작하며...
ⅱ. 성 지향성&동성애&동성연애
ⅲ. 동성애의 상징물
ⅳ. 용어
ⅴ. 우리나라의 현재 상황
ⅵ. 동성애자들의 인권운동
ⅶ. 글을 마치며...
ⅱ. 성 지향성&동성애&동성연애
ⅲ. 동성애의 상징물
ⅳ. 용어
ⅴ. 우리나라의 현재 상황
ⅵ. 동성애자들의 인권운동
ⅶ. 글을 마치며...
본문내용
‘성 소수자’ 발족식이 있기까지의 민노당 내분의 진통이 생각난다.
고등학교 때부터 성 소수자에 대한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민노당이 처음 성 소수자에 인권 보호를 하겠다고 발표했을 때 너무나 궁금해서 민노당 개시판에 들어가 봤다.
개시판은 그야 말로 난장판이었다. 대부분이 비판적인 글이었고 정말 말도 안되는 욕들도 있었다. 사람들은 대부분 이렇게 말했다.
“성적 소수자의 문제가 위급한 문제는 아니잖아?”
“동성애자 문제가 사실 자본주의 때문에 심화 됐잖아?” 등 어떤 글들은 본질을 왜곡하는 글 조차 있었다. 그리고 글을 올린 사람들 중에 유귀님과 꿀땅콩님의 글이 아직도 생각난다.
자료조사를 하다가 다시 한번 읽게 되었지만 그 분들 글을 읽으면 가슴이 찡해진다.
꿀땅콩님이 올린 글 중의 일부이다.
“유귀님과 붉은 이반이 요구하는 것은 이미 이성애자들에게는 일상이 되어버린 "존재에 대한 인정"을 성적소수자들도 받게 해달라는 것 뿐입니다. 당신도 분명 제대로 태어난 사람들입니다..라는 말은 이성애자들에게는 너무나 당연한 일상이지만 이 사회의 성적 소수자들에게는 사치입니다.”
이 글을 보면 동성애자들과 성적 소수자들이 원하는 것은 단지 자신의 존재 이유를 인정해 달라 것 뿐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들을 거부하고 있고 그들은 다수의 사람들 때문에 등을 돌리고 울고만다. 다수이기 때문에 소수가 다쳐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성적 소수자들도 사랑을 하고 우리와 같은 감정을 가진 인간이다.
성적 소수자들은 노력하고 있다. 자신들의 존재를 찾기 위해서.
우리들은 이제 그만 그들은 받아들이는 노력을 해야하지 않을까.
고등학교 때부터 성 소수자에 대한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민노당이 처음 성 소수자에 인권 보호를 하겠다고 발표했을 때 너무나 궁금해서 민노당 개시판에 들어가 봤다.
개시판은 그야 말로 난장판이었다. 대부분이 비판적인 글이었고 정말 말도 안되는 욕들도 있었다. 사람들은 대부분 이렇게 말했다.
“성적 소수자의 문제가 위급한 문제는 아니잖아?”
“동성애자 문제가 사실 자본주의 때문에 심화 됐잖아?” 등 어떤 글들은 본질을 왜곡하는 글 조차 있었다. 그리고 글을 올린 사람들 중에 유귀님과 꿀땅콩님의 글이 아직도 생각난다.
자료조사를 하다가 다시 한번 읽게 되었지만 그 분들 글을 읽으면 가슴이 찡해진다.
꿀땅콩님이 올린 글 중의 일부이다.
“유귀님과 붉은 이반이 요구하는 것은 이미 이성애자들에게는 일상이 되어버린 "존재에 대한 인정"을 성적소수자들도 받게 해달라는 것 뿐입니다. 당신도 분명 제대로 태어난 사람들입니다..라는 말은 이성애자들에게는 너무나 당연한 일상이지만 이 사회의 성적 소수자들에게는 사치입니다.”
이 글을 보면 동성애자들과 성적 소수자들이 원하는 것은 단지 자신의 존재 이유를 인정해 달라 것 뿐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들을 거부하고 있고 그들은 다수의 사람들 때문에 등을 돌리고 울고만다. 다수이기 때문에 소수가 다쳐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성적 소수자들도 사랑을 하고 우리와 같은 감정을 가진 인간이다.
성적 소수자들은 노력하고 있다. 자신들의 존재를 찾기 위해서.
우리들은 이제 그만 그들은 받아들이는 노력을 해야하지 않을까.
추천자료
기독교윤리적 관점에서 본 동성애
영화 속 사랑 이야기 - 영화 속 동성애
영화 속 사랑 이야기 - 영화 속 동성애
장애인의 인권 현황과 실태 및 장애인운동 - 인권정의, 장애인의 인권, 장애인운동과 당사자주의
[성과문화]우리 시대의 동성애자의 현실 분석
[소논문] 영상매체 속의 동성애 묘사가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
퀴어 시네마를 통해 본 동성애에 대한 폭력과 억압
군대내_인권_유린의_실태와_문제점_및_해결방안
우리 사회의 소수자 - 동성애의 불편한 진실
남들과 조금 다른 사랑, 동성애
[독서와표현 6과_토론_쟁점]동성애는 받아들여 져야 한다
나의 가치관 탐색(동성애자, 미혼모)
나와 다른 문화에 살고있는사람 인터뷰 - 동성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