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 2-1. 왕따의 정의
- 2-2. 왕따의 원인
- 2-3. 왕따의 유형
- 2-4. 집단 따돌림의 대상
- 2-5. 집단 따돌림의 피해 사례
3. 결 론
- 3-1. 왕따 문제에 대한 대책
- 3-2. 왕따 문제에 대한 우리들의 의견
4. 후 기
-참고 문헌
2. 본 론
- 2-1. 왕따의 정의
- 2-2. 왕따의 원인
- 2-3. 왕따의 유형
- 2-4. 집단 따돌림의 대상
- 2-5. 집단 따돌림의 피해 사례
3. 결 론
- 3-1. 왕따 문제에 대한 대책
- 3-2. 왕따 문제에 대한 우리들의 의견
4. 후 기
-참고 문헌
본문내용
미성숙한 학생들에게 타인의 권리를 존중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해 주는 것이다. 왕따를 당했을 때의 대처 요령과 어떻게 상담 교사와 빠르게 접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사전교육도 실시한다.
3-4. 방과 후 교육활동이나 동아리 이용
학생들에게 자유 시간을 주어 스트레스를 조금이나마 해소할 여유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 보충 수업이나 야간 자율 학습 등으로 울타리 안에 자꾸 가두어 놓게 되면 학생들은 그 스트레스를 계속 친구에게 풀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아이들의 다양한 흥미와 관심을 반영한 많은 동아리나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들이 운영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
<왕따 문제에 대한 우리들의 의견>
이번 발표 과제를 준비하면서 그동안 집단따돌림에 대해 표면적으로만 알고 있었던 것에서 넘어서 한발자국 더 나아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 각자의 학창시절을 돌아보면서 왕따 학생들에 대해 생각해보았는데 우리는 그러한 학생들은 당연히 따돌림 받을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왕따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한 조사를 통해 왕따를 당하는 학생보다는 왕따를 시키는 가해 학생 쪽의 문제가 더 심각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왕따 문제는 당사자들만의 책임이 아니라 입시 경쟁에 따른 스트레스를 조장하는 정책과 핵가족화에 따른 이기주의 풍조 등의 급속한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른 요인도 크게 작용한다는 것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학생들을 가장 가까이에서 지켜보며 지도해주는 담임선생님이 자신의 반 안에서 집단 따돌림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담임선생님들은 자신의 반 학생들과 깊이 있는 대화를 통해 지속적인 교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담임선생님이 먼저 이러한 관심을 보이며 학생들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을 때 왕따 문제가 자살 등의 극단적인 문제로 확대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지금까지 왕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많은 대책과 연구결과들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그러한 대책들이 왕따 문제에 있어서 실질적인 해결방안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느꼈다. 단순히 하나의 이상적인 이론으로만 생각되어 현실과는 괴리감이 느껴졌다. 집단 따돌림이 분명히 당사자들만의 문제가 아닌 이상, 가정을 비롯하여 학교, 사회의 많은 단체에서도 좀더 학생들의 입장을 배려하고 관심을 갖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어느 집단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왕따는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왕따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할 수 있는 정답은 없을 것이다. 자신과 다름을 발견하고 그것을 극단적으로 배척하여 차별성을 두는 것 보다는 자신과 다른 모습을 인정하고 포용할 수 있는 관용적인 마음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4. 후 기
참고 문헌
<참고 자료>
이혜영, 학생의 집단 따돌림에 대한 대책연구, 1999, 한국 교육개발원
서울특별시 청소년 종합 상담실, 왕따 현상에 대한 이해와 상담접근, 1998, 서울특별시 청소년 종합 상담실
홍준표, 집단 따돌림의 진단 및 치료방안, 2002, 집문당
강영계, 왕따와 은따: 우리들 모두의 이야기, 2000, 답게
가우디, 왕따 리포트, 1999, 우리교육
<참고 사이트>
정치- 유시민 의원 왕따
http://www.munhwa.com/politics/200503/24/2005032401030623305002.html
교장 자살 기사
http://news.empas.com/show.tsp/cp_uk/20040223n02166/?kw=%BF%D5%B5%FB%20%3Cb%3E%26%3C%2Fb%3E%20%BB%E7%C1%F8%20%3Cb%3E%26%3C%2Fb%3E
3-4. 방과 후 교육활동이나 동아리 이용
학생들에게 자유 시간을 주어 스트레스를 조금이나마 해소할 여유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 보충 수업이나 야간 자율 학습 등으로 울타리 안에 자꾸 가두어 놓게 되면 학생들은 그 스트레스를 계속 친구에게 풀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아이들의 다양한 흥미와 관심을 반영한 많은 동아리나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들이 운영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
<왕따 문제에 대한 우리들의 의견>
이번 발표 과제를 준비하면서 그동안 집단따돌림에 대해 표면적으로만 알고 있었던 것에서 넘어서 한발자국 더 나아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 각자의 학창시절을 돌아보면서 왕따 학생들에 대해 생각해보았는데 우리는 그러한 학생들은 당연히 따돌림 받을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왕따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한 조사를 통해 왕따를 당하는 학생보다는 왕따를 시키는 가해 학생 쪽의 문제가 더 심각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왕따 문제는 당사자들만의 책임이 아니라 입시 경쟁에 따른 스트레스를 조장하는 정책과 핵가족화에 따른 이기주의 풍조 등의 급속한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른 요인도 크게 작용한다는 것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학생들을 가장 가까이에서 지켜보며 지도해주는 담임선생님이 자신의 반 안에서 집단 따돌림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담임선생님들은 자신의 반 학생들과 깊이 있는 대화를 통해 지속적인 교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담임선생님이 먼저 이러한 관심을 보이며 학생들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을 때 왕따 문제가 자살 등의 극단적인 문제로 확대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지금까지 왕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많은 대책과 연구결과들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그러한 대책들이 왕따 문제에 있어서 실질적인 해결방안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느꼈다. 단순히 하나의 이상적인 이론으로만 생각되어 현실과는 괴리감이 느껴졌다. 집단 따돌림이 분명히 당사자들만의 문제가 아닌 이상, 가정을 비롯하여 학교, 사회의 많은 단체에서도 좀더 학생들의 입장을 배려하고 관심을 갖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어느 집단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왕따는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왕따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할 수 있는 정답은 없을 것이다. 자신과 다름을 발견하고 그것을 극단적으로 배척하여 차별성을 두는 것 보다는 자신과 다른 모습을 인정하고 포용할 수 있는 관용적인 마음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4. 후 기
참고 문헌
<참고 자료>
이혜영, 학생의 집단 따돌림에 대한 대책연구, 1999, 한국 교육개발원
서울특별시 청소년 종합 상담실, 왕따 현상에 대한 이해와 상담접근, 1998, 서울특별시 청소년 종합 상담실
홍준표, 집단 따돌림의 진단 및 치료방안, 2002, 집문당
강영계, 왕따와 은따: 우리들 모두의 이야기, 2000, 답게
가우디, 왕따 리포트, 1999, 우리교육
<참고 사이트>
정치- 유시민 의원 왕따
http://www.munhwa.com/politics/200503/24/2005032401030623305002.html
교장 자살 기사
http://news.empas.com/show.tsp/cp_uk/20040223n02166/?kw=%BF%D5%B5%FB%20%3Cb%3E%26%3C%2Fb%3E%20%BB%E7%C1%F8%20%3Cb%3E%26%3C%2Fb%3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