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증서
(1) 인증서의 정의
(2) 인증서와 인증기관
(3)인증서의 종류
(4) 인증서의 구조
2. 인증기관
(1) 인증기관(CA)의 정의
(2) 공인인증기관(Licensed CA)
(3) 인증기관의 역할
(4) 우리나라 인증기관의 구성
3. 인증서의 발행 과정
부록 A. 우체국 인터넷뱅킹용 인증서(용도제한용) 발급과정
(1) 인증서의 정의
(2) 인증서와 인증기관
(3)인증서의 종류
(4) 인증서의 구조
2. 인증기관
(1) 인증기관(CA)의 정의
(2) 공인인증기관(Licensed CA)
(3) 인증기관의 역할
(4) 우리나라 인증기관의 구성
3. 인증서의 발행 과정
부록 A. 우체국 인터넷뱅킹용 인증서(용도제한용) 발급과정
본문내용
US Postal Service도 기존의 방대한 물적인적 자원을 이용하여 인증업무를 수행할 것을 모색하고 있다고 한다.
(2) 공인인증기관(Licensed CA)
개념상 개인이건 법인이건 간에 누구나 인증업무에 필요한 기술, 인원 및 설비를 갖추고 있다면 인증기관으로서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인증기관이 맡고 있는 역할이 전자거래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한다면, 미리 법률로 하여금 인증기관이 될 수 있는 자격, 각종 필요설비 등을 규정하여 놓고 이를 충족하는 자만이 일정한 심사를 거쳐 행정청으로부터 허가를 받아 인증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일정한 자격요건을 구비하여 국가로부터 허가를 받아 인증업무를 수행하는 인증기관을 공인인증기관이라고 한다.
(3) 인증기관의 역할
가상공간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제3자로서의 인증기관은 다음의 주요 기능을 수행 한다.
1) 등록업무 : 온라인 또는 실제 확인 과정을 거쳐 인증서 신청자의 신원에 관한정보를 등록하는 업무
2) 인증서 발행, 폐기, 갱신, 대체 업무 : 등록 정보를 기초로 인증서를 발행하고, 인증서 사용을 중지하고, 사용되지 않고 있던 인증서를 새로이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유효기간이 지난 인증서를 폐기하고, 새로운 인증서를 발행하는 업무 등.
3) 인증서취소(폐기)목록 관리 : 인증서취소(폐기)목록(CRL)이란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지만 폐기된 인증서 목록이다. 인증서 소유자가 발행기관의 등록을 취소하거나 비밀키가 손상된 경우에는 인증서를 폐기해야 한다.
4) 인증서 분배 및 디렉토리 서비스 : 인증서와 CRL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인증서 사용자들은 CA가 관리하는 디렉토리에 접근하여 폐기된 인증서 및 등록된 인증서를 검색해볼 수 있다. 인증기관과는 달리 등록업무를 수행하는 등록기관(Registration Authority: RA)이 있다. 등록기관에서는 전자서명 및 인증서 발행 기술이 부족하여 등록신청을 받아 등록정보 데이터베이스만 관리하고 인증기관에 인증서 발행업무를 의뢰한다. 인증기관에서는 등록기관에서 제공받은 인증서의 자료를 사용하여 인증기관의 비밀키로 전자서명을 한 인증서를 발행한다.
(4) 우리나라 인증기관의 구성
서비스의 범위 또는 사용자의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다면, 하나의 인증기관(CA)이 모든 전자인증서의 발급보관폐기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하나의 인증기관이 루트CA(Root CA)가 된다. 그런데, 서비스의 범위나 사용자의 구성상 전자인증서의 관리기능을 몇 개의 CA로 나누어서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인 경우, 하나의 Root CA는 여러 개의 하위 CA를 둘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계층으로 나누어 하위 CA를 둘 수도 있다.
우리나라는 그림 3에서와 같이 1999년 7월부터 시행된 전자서명법에 의하여 정보통신부장관이 공인 인증기관을 지정하고 인증관리센터를 통하여 공인인증기관을 관리하고 있다. 그림 3. 과 같이 최상위 인증기관으로써의 한국정보진흥원은 인증관리센터로 공인인증기관의 정보를 관리하고 운영 상태를 감독하며, 공인인증기관에게 인증서를 발급한다. 표 4. 와 같이 공인인증기관은 6개가 있으며 각각 등록 대행기관(RA)을 통 하거나 직접 인증서를 교부 관리 한다. 여러 개의 인증기관 중 사용자가 인증기관을 선택할 때 사용자들은 발급받을 인증서의 종류, 인증기관의 신뢰성, 인증서 발급비용, 인증기관의 확장성 등을 고려하여 인증기관을 선택함으로써 인증서 발급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름
주 소
한국 정보 인증
http://www.signgate.com
사인 코리아
http://www.signkorea.com
금융결제원
http://www.yessign.com
한국전산원
http://sign.nca.or.kr
한국 전자인증
http://www.crosscert.com
한국 무역정보통신
http://www.tradesign.net
3. 인증서의 발행 과정
일반적으로 인증서는 그림 4.와 같은 원리로 발행된다.
①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한다.
② 만들어진 공개키와 기타 사용자의 정보를 담은 인증 요청서를 인증기관에 전달한다.
③ 인증기관은 인증 요청서를 검토하여 유효하면 공개키와 사용자 정보에 자신의 전자서명을 붙인 인증서를 발행한다.
④ 발행한 인증서를 사용자에게 전달해주며, 디렉토리 서버에도 등록한다.
참고 사이트
1. 전자서명인증 관리센터, http://www.rootca.or.kr
2. 송원석의 홈페이지, http://www.secure.pe.kr
3. 한국 정보인증, http://www.signgate.com
참고 문헌
1. 조휘갑, “인터넷 정보 보안”, 한국정보보호학회 편 pp. 148-168, 한국정보보호진흥원 11월, 2002.
2. 윤한성,“정보보안과 암호화”, 개념과 해설 pp. 143-162, 도서출판 21세기사 2월 2003.
부록 A. 우체국 인터넷뱅킹용 인증서(용도제한용) 발급과정
인증서 발행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직접 금융기관(우체국)을 방문하여 인터넷뱅킹용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아 보았다.
① 필요한 서류(통장, 도장, 신분증)을 지참하여 금융기관을 찾아가 전자거래 신청서를 작성한다.
② 아이디를 발급받고, 보안카드를 받는다.
③ 인터넷에 접속하여 인증서를 등록하는 곳으로 이동한다.
④ 인증서를 발급을 시작한다.
⑤ 금융기관에서 인터넷뱅킹 신청 후 발급받은 이용자ID와 주민등록번호, E-Mail주소를 입력한다.
⑥ 우체국에서 받은 보안카드에서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⑦ 인증서가 발급되었다. 확인과정이다.
⑧ 인증서의 암호를 입력한다.
⑨ 인증서를 저장할 매체를 선택한다. (어디에다 저장하여도 상관없으나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곳에 저장하는 것이 좋다.)
⑩ 인증서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⑪ 사용자의 PC에 설치되어 있는 인증서중 사용할 인증서를 선택한다. 여기에서는 설치되어있는 인증서는 지금 설치한 한국정보인증에서 제공하는 우체국 인터넷 뱅킹용 인증서를 선택한다.
⑫ 지금부터 예금조회 및 계좌이체와 같은 인터넷 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2) 공인인증기관(Licensed CA)
개념상 개인이건 법인이건 간에 누구나 인증업무에 필요한 기술, 인원 및 설비를 갖추고 있다면 인증기관으로서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인증기관이 맡고 있는 역할이 전자거래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한다면, 미리 법률로 하여금 인증기관이 될 수 있는 자격, 각종 필요설비 등을 규정하여 놓고 이를 충족하는 자만이 일정한 심사를 거쳐 행정청으로부터 허가를 받아 인증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일정한 자격요건을 구비하여 국가로부터 허가를 받아 인증업무를 수행하는 인증기관을 공인인증기관이라고 한다.
(3) 인증기관의 역할
가상공간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제3자로서의 인증기관은 다음의 주요 기능을 수행 한다.
1) 등록업무 : 온라인 또는 실제 확인 과정을 거쳐 인증서 신청자의 신원에 관한정보를 등록하는 업무
2) 인증서 발행, 폐기, 갱신, 대체 업무 : 등록 정보를 기초로 인증서를 발행하고, 인증서 사용을 중지하고, 사용되지 않고 있던 인증서를 새로이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유효기간이 지난 인증서를 폐기하고, 새로운 인증서를 발행하는 업무 등.
3) 인증서취소(폐기)목록 관리 : 인증서취소(폐기)목록(CRL)이란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지만 폐기된 인증서 목록이다. 인증서 소유자가 발행기관의 등록을 취소하거나 비밀키가 손상된 경우에는 인증서를 폐기해야 한다.
4) 인증서 분배 및 디렉토리 서비스 : 인증서와 CRL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인증서 사용자들은 CA가 관리하는 디렉토리에 접근하여 폐기된 인증서 및 등록된 인증서를 검색해볼 수 있다. 인증기관과는 달리 등록업무를 수행하는 등록기관(Registration Authority: RA)이 있다. 등록기관에서는 전자서명 및 인증서 발행 기술이 부족하여 등록신청을 받아 등록정보 데이터베이스만 관리하고 인증기관에 인증서 발행업무를 의뢰한다. 인증기관에서는 등록기관에서 제공받은 인증서의 자료를 사용하여 인증기관의 비밀키로 전자서명을 한 인증서를 발행한다.
(4) 우리나라 인증기관의 구성
서비스의 범위 또는 사용자의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다면, 하나의 인증기관(CA)이 모든 전자인증서의 발급보관폐기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하나의 인증기관이 루트CA(Root CA)가 된다. 그런데, 서비스의 범위나 사용자의 구성상 전자인증서의 관리기능을 몇 개의 CA로 나누어서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인 경우, 하나의 Root CA는 여러 개의 하위 CA를 둘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계층으로 나누어 하위 CA를 둘 수도 있다.
우리나라는 그림 3에서와 같이 1999년 7월부터 시행된 전자서명법에 의하여 정보통신부장관이 공인 인증기관을 지정하고 인증관리센터를 통하여 공인인증기관을 관리하고 있다. 그림 3. 과 같이 최상위 인증기관으로써의 한국정보진흥원은 인증관리센터로 공인인증기관의 정보를 관리하고 운영 상태를 감독하며, 공인인증기관에게 인증서를 발급한다. 표 4. 와 같이 공인인증기관은 6개가 있으며 각각 등록 대행기관(RA)을 통 하거나 직접 인증서를 교부 관리 한다. 여러 개의 인증기관 중 사용자가 인증기관을 선택할 때 사용자들은 발급받을 인증서의 종류, 인증기관의 신뢰성, 인증서 발급비용, 인증기관의 확장성 등을 고려하여 인증기관을 선택함으로써 인증서 발급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름
주 소
한국 정보 인증
http://www.signgate.com
사인 코리아
http://www.signkorea.com
금융결제원
http://www.yessign.com
한국전산원
http://sign.nca.or.kr
한국 전자인증
http://www.crosscert.com
한국 무역정보통신
http://www.tradesign.net
3. 인증서의 발행 과정
일반적으로 인증서는 그림 4.와 같은 원리로 발행된다.
①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한다.
② 만들어진 공개키와 기타 사용자의 정보를 담은 인증 요청서를 인증기관에 전달한다.
③ 인증기관은 인증 요청서를 검토하여 유효하면 공개키와 사용자 정보에 자신의 전자서명을 붙인 인증서를 발행한다.
④ 발행한 인증서를 사용자에게 전달해주며, 디렉토리 서버에도 등록한다.
참고 사이트
1. 전자서명인증 관리센터, http://www.rootca.or.kr
2. 송원석의 홈페이지, http://www.secure.pe.kr
3. 한국 정보인증, http://www.signgate.com
참고 문헌
1. 조휘갑, “인터넷 정보 보안”, 한국정보보호학회 편 pp. 148-168, 한국정보보호진흥원 11월, 2002.
2. 윤한성,“정보보안과 암호화”, 개념과 해설 pp. 143-162, 도서출판 21세기사 2월 2003.
부록 A. 우체국 인터넷뱅킹용 인증서(용도제한용) 발급과정
인증서 발행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직접 금융기관(우체국)을 방문하여 인터넷뱅킹용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아 보았다.
① 필요한 서류(통장, 도장, 신분증)을 지참하여 금융기관을 찾아가 전자거래 신청서를 작성한다.
② 아이디를 발급받고, 보안카드를 받는다.
③ 인터넷에 접속하여 인증서를 등록하는 곳으로 이동한다.
④ 인증서를 발급을 시작한다.
⑤ 금융기관에서 인터넷뱅킹 신청 후 발급받은 이용자ID와 주민등록번호, E-Mail주소를 입력한다.
⑥ 우체국에서 받은 보안카드에서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⑦ 인증서가 발급되었다. 확인과정이다.
⑧ 인증서의 암호를 입력한다.
⑨ 인증서를 저장할 매체를 선택한다. (어디에다 저장하여도 상관없으나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곳에 저장하는 것이 좋다.)
⑩ 인증서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⑪ 사용자의 PC에 설치되어 있는 인증서중 사용할 인증서를 선택한다. 여기에서는 설치되어있는 인증서는 지금 설치한 한국정보인증에서 제공하는 우체국 인터넷 뱅킹용 인증서를 선택한다.
⑫ 지금부터 예금조회 및 계좌이체와 같은 인터넷 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