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도입
제 2 장 네트워크 외부성(Network Externality)
1. 네트워크 외부성과 통신서비스에 대한 최적 가격
2. 네트워크 외부성의 기존 방식과 다른 측정
3.네트워크 외부성의 근원과 기존연구
제 3 장 콜 외부성(Call Externality)
1. 콜 외부성에 대한 의례적인 진술(Formal statement of the Call Externality)
2. 정보교환의 동태성(The Dynamics of Information Exchange)
3. 콜 외부성의 실증적 모형(Emperical modelling of Call Externality)
제 2 장 네트워크 외부성(Network Externality)
1. 네트워크 외부성과 통신서비스에 대한 최적 가격
2. 네트워크 외부성의 기존 방식과 다른 측정
3.네트워크 외부성의 근원과 기존연구
제 3 장 콜 외부성(Call Externality)
1. 콜 외부성에 대한 의례적인 진술(Formal statement of the Call Externality)
2. 정보교환의 동태성(The Dynamics of Information Exchange)
3. 콜 외부성의 실증적 모형(Emperical modelling of Call Externality)
본문내용
여 이루어지므로 기업에 있어서 초기 판매량의 확보는 미래의 시장지배를 보장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초기 시장지배력을 이 논문에 서는 기반구축(installed base)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제 3 장 콜 외부성(Call Externality)
네트워크 외부성과 달리 콜 외부성은 가격에 관한 문제의 입장을 나타내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었다. 이러한 점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전화를 받는 만큼 전화를 거는 이래에, 전화를 받는 것에 대한 지불되지 않는 편익이 균형으로 나타나면서 주목을 받게 된 것이다.
최근 연구에 의하며, 콜 외부성은 누가 콜을 지불할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도움되는 것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한다. 특히, 콜은 교대로 걸기(taking turns) 뿐만아니라 콜 자극(call stimulation)면에서 상호과정이라는 증거들이 있다. 또한 콜은 그 이상의 콜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1. 콜 외부성에 대한 의례적인 진술(Formal statement of the Call
Externality)
걸려오는 전화로부터의 얻는 편익은 전화를 갖도록 하는데 지불할 의지의 증가로 볼 수 있다. 즉, 콜 외부성이 없을 때 보다 있을 때, 전화조직의 규모가 더 커지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에 대해서 실증적으로는 매우 유용한 것은 아니다. 이는 콜 외부성이 사용(usage)이 아닌 크기(size)에 관한 진술이라는 것이라 하겠다. 콜 외부성의 원천이 실제로 사용인 이래에 이상하게 보일지라도 사용에 대해서는 의미는 없는 것이다.
정기적으로 전화로 서로 통화하는 A, B 두 명이 있다고 할 때, 그들 각자에게는 서로 전화를 받기를 기대 한다는 의미에서 양의 콜 외부성이 있다. 여기에서는 두 가지 상황이 인식될 수 있는데, 첫 번째, A와B 사이에 전화횟수는 각자의 전화에 대한 소득과 가격의 함수로서 외생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이다. 두 번째, A와B 사이의 전화횟수는 소득과 가격 뿐만아니라 A가 B에 전화하는 횟수와 B가 A에 전화하는 횟수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의 경우 전화는 명백히 내생적인 것이다.
2. 정보교환의 동태성(The Dynamics of Information Exchange)
콜이 그 이상의 콜을 유발시킨다는 것은 콜 외부성에서 근간이 되는 가정이다. 일상적인 생활에서 흔히 있는 일로, A가 B에게 전화하면, B는 효용이 증가하게 되고, B는 A에게 전화하든지 혹은 C에게 전화한다. 물론 그 이상의 전화가 없는 상황도 있을 수 있지만, 위 예의 경우는 정보의 교환이 그 이상의 정보의 교환에 대한 필요성을 만드는 상황이다. 본질적으로 동태성은 어떤 이유에서간에 정보가 이익 공동체를 형성하는 집단에 주입될 때 작용된다고 할 수 있다. 가령 집단의 구성원 중의 한명이 사망할 경우, 이 사실을 알게된 다른 구성원은 또 다른 구성에게 전달되는 방식으로 이어지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3. 콜 외부성의 실증적 모형(Emperical modelling of Call Externality)
1) 실증적 모형 분석
장거리 전화 수요에 대한 실증적인 모형을 일반적인 모형으로 하여 콜 외부성에 관한 내용을 다루도록 한다.
=A지역에서 B지역으로의 장거리 통화량
=B지역에서 A지역으로의 장거리 통화량
=A지역에서의 소득
=A지역에서 B지역에로의 통화가격
=A지역의 전화수
=B지역의 전화수
ln=+ln+ln+++ (3-1)
ln=+ln+ln+++ (3-2)
위 방정식은 연립방정식 구조로 한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의 통화량을 2중의 로그함수 형태로 나타내었다. 함수는 소득, 보내는 지역에서 받는지역에로의 통화가격, 보내는 지역에서의 통화수, 받는 지역에서의 전화수, 그리고 역통화량의 로그함수로 구성되었다. 콜 외부성은 (3-1)식에서는 역통화량(), (3-2)식에서는 역통화량()으로 반영된다. 네트워크 외부성은 (3-1)식에서는 받는지역의 전화수(), (3-2)식에서는 받는지역의 전화수()를 통하여 나타내어 진다.
두 모형에 대한 축약형은 다음과 같다.
ln = +ln+ln
+ln+ln+ln+ln (3-3)
ln = +ln+ln
+ln+ln+ln+ln (3-4)
식(3-3)에서 A지역에서 B지역으로의 통화량은 A지역과 B지역의 소득과 통화가격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식(3-4)에서 B지역에서 A지역으로의 통화량은 B지역과 A지역의 소득과 통화가격의 영향을 받는다. 이것으로부터 단일방향과 양방향의 소득과 통화가격에 대한 탄력성에 있어서의 구별이 요구된다. 에 대한 단일방향 자신의 탄력성은 에 의해 주어지고, 양방향 탄력성은 에 의해 주어진다.
콜 외부성은 (3-1)식과 (3-2)식에서 역통화량 변수를 통하여 나타내어진 가운데, 이 변수의 양의 계수는 사용에 대한 양의 효과를 갖는 콜 외부성과 일치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실증연구 역시 강한 역통화량 효과를 나타내었다. Larson, Lehman, and Weisman(1990) and Appelbe et al. (1988)
역통화량 변수의 계수는 0.4~0.6으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단일방향의 통화가 1/2 혹은 2/3의 통화를 발생시킨 것과 일치하는 것이다.
2) 고려될 필요가 있는 두가지 사항
① 가능한 인식의 문제(Possible Identification Problem)
콜 외부성과 네트워크 외부성간에 구별되어질 수 없을 가능성이 있는 접
속의 발생
- (3-1)식의 ln과 (3-2)식의 ln에서 역통화량 변수와 전화수의 구별문제
실현되어진 선택수요(option demand) 사용에 기여되는 부분과 달리, 네트워크
외부성 접속에서 문제되는 것은 이익집단이다.
- 이익집단의 문제는 측정부분
큰 구조에서, 역통화량은 대개 전화수보다 이익집단에 대해 더 나은 측정이
됨
- 그 결과 네트워크 외부성은 역통화량과 콜 외부성에 대한 계수가 반영
② 해석의 문제(Matter of Interpretation)
역통화량 효과의 잠재적인 부분은 정보교환의 동태성으로 나타내어지는 것 때
문
- 통화로 인한 정보교환이 그 이상의 정보교환의 필요성을 발생시킴
제 3 장 콜 외부성(Call Externality)
네트워크 외부성과 달리 콜 외부성은 가격에 관한 문제의 입장을 나타내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었다. 이러한 점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전화를 받는 만큼 전화를 거는 이래에, 전화를 받는 것에 대한 지불되지 않는 편익이 균형으로 나타나면서 주목을 받게 된 것이다.
최근 연구에 의하며, 콜 외부성은 누가 콜을 지불할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도움되는 것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한다. 특히, 콜은 교대로 걸기(taking turns) 뿐만아니라 콜 자극(call stimulation)면에서 상호과정이라는 증거들이 있다. 또한 콜은 그 이상의 콜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1. 콜 외부성에 대한 의례적인 진술(Formal statement of the Call
Externality)
걸려오는 전화로부터의 얻는 편익은 전화를 갖도록 하는데 지불할 의지의 증가로 볼 수 있다. 즉, 콜 외부성이 없을 때 보다 있을 때, 전화조직의 규모가 더 커지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에 대해서 실증적으로는 매우 유용한 것은 아니다. 이는 콜 외부성이 사용(usage)이 아닌 크기(size)에 관한 진술이라는 것이라 하겠다. 콜 외부성의 원천이 실제로 사용인 이래에 이상하게 보일지라도 사용에 대해서는 의미는 없는 것이다.
정기적으로 전화로 서로 통화하는 A, B 두 명이 있다고 할 때, 그들 각자에게는 서로 전화를 받기를 기대 한다는 의미에서 양의 콜 외부성이 있다. 여기에서는 두 가지 상황이 인식될 수 있는데, 첫 번째, A와B 사이에 전화횟수는 각자의 전화에 대한 소득과 가격의 함수로서 외생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이다. 두 번째, A와B 사이의 전화횟수는 소득과 가격 뿐만아니라 A가 B에 전화하는 횟수와 B가 A에 전화하는 횟수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의 경우 전화는 명백히 내생적인 것이다.
2. 정보교환의 동태성(The Dynamics of Information Exchange)
콜이 그 이상의 콜을 유발시킨다는 것은 콜 외부성에서 근간이 되는 가정이다. 일상적인 생활에서 흔히 있는 일로, A가 B에게 전화하면, B는 효용이 증가하게 되고, B는 A에게 전화하든지 혹은 C에게 전화한다. 물론 그 이상의 전화가 없는 상황도 있을 수 있지만, 위 예의 경우는 정보의 교환이 그 이상의 정보의 교환에 대한 필요성을 만드는 상황이다. 본질적으로 동태성은 어떤 이유에서간에 정보가 이익 공동체를 형성하는 집단에 주입될 때 작용된다고 할 수 있다. 가령 집단의 구성원 중의 한명이 사망할 경우, 이 사실을 알게된 다른 구성원은 또 다른 구성에게 전달되는 방식으로 이어지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3. 콜 외부성의 실증적 모형(Emperical modelling of Call Externality)
1) 실증적 모형 분석
장거리 전화 수요에 대한 실증적인 모형을 일반적인 모형으로 하여 콜 외부성에 관한 내용을 다루도록 한다.
=A지역에서 B지역으로의 장거리 통화량
=B지역에서 A지역으로의 장거리 통화량
=A지역에서의 소득
=A지역에서 B지역에로의 통화가격
=A지역의 전화수
=B지역의 전화수
ln=+ln+ln+++ (3-1)
ln=+ln+ln+++ (3-2)
위 방정식은 연립방정식 구조로 한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의 통화량을 2중의 로그함수 형태로 나타내었다. 함수는 소득, 보내는 지역에서 받는지역에로의 통화가격, 보내는 지역에서의 통화수, 받는 지역에서의 전화수, 그리고 역통화량의 로그함수로 구성되었다. 콜 외부성은 (3-1)식에서는 역통화량(), (3-2)식에서는 역통화량()으로 반영된다. 네트워크 외부성은 (3-1)식에서는 받는지역의 전화수(), (3-2)식에서는 받는지역의 전화수()를 통하여 나타내어 진다.
두 모형에 대한 축약형은 다음과 같다.
ln = +ln+ln
+ln+ln+ln+ln (3-3)
ln = +ln+ln
+ln+ln+ln+ln (3-4)
식(3-3)에서 A지역에서 B지역으로의 통화량은 A지역과 B지역의 소득과 통화가격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식(3-4)에서 B지역에서 A지역으로의 통화량은 B지역과 A지역의 소득과 통화가격의 영향을 받는다. 이것으로부터 단일방향과 양방향의 소득과 통화가격에 대한 탄력성에 있어서의 구별이 요구된다. 에 대한 단일방향 자신의 탄력성은 에 의해 주어지고, 양방향 탄력성은 에 의해 주어진다.
콜 외부성은 (3-1)식과 (3-2)식에서 역통화량 변수를 통하여 나타내어진 가운데, 이 변수의 양의 계수는 사용에 대한 양의 효과를 갖는 콜 외부성과 일치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실증연구 역시 강한 역통화량 효과를 나타내었다. Larson, Lehman, and Weisman(1990) and Appelbe et al. (1988)
역통화량 변수의 계수는 0.4~0.6으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단일방향의 통화가 1/2 혹은 2/3의 통화를 발생시킨 것과 일치하는 것이다.
2) 고려될 필요가 있는 두가지 사항
① 가능한 인식의 문제(Possible Identification Problem)
콜 외부성과 네트워크 외부성간에 구별되어질 수 없을 가능성이 있는 접
속의 발생
- (3-1)식의 ln과 (3-2)식의 ln에서 역통화량 변수와 전화수의 구별문제
실현되어진 선택수요(option demand) 사용에 기여되는 부분과 달리, 네트워크
외부성 접속에서 문제되는 것은 이익집단이다.
- 이익집단의 문제는 측정부분
큰 구조에서, 역통화량은 대개 전화수보다 이익집단에 대해 더 나은 측정이
됨
- 그 결과 네트워크 외부성은 역통화량과 콜 외부성에 대한 계수가 반영
② 해석의 문제(Matter of Interpretation)
역통화량 효과의 잠재적인 부분은 정보교환의 동태성으로 나타내어지는 것 때
문
- 통화로 인한 정보교환이 그 이상의 정보교환의 필요성을 발생시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