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address & Domain Name(Domain Name System)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IP address
IP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란?
IP주소의 종류, 형태 및 classful과 classless 개념
VLSM(Variable Length Subnet Mask)
사설주소공간(Private IP Address)
Renumbering, IP주소의 대여
Provider Independent IP address와 Provider Aggregatable IP address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2. Domain Name(Domain Name System)

본문내용

하는 노력이 시도되었고, 많은 시행착오는 지금의 DNS 메커니즘으로 발전하였다.
ARPANET 시절에는 호스트의 수가 많지 않았기에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으로부터 일정 주기마다 호스트 명단 파일(HOSTS.TXT)을 받아 /etc/hosts에 저장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점차 인터넷의 규모와 호스트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이름 명명 체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1983년 Paul Mockapetris가 RFC882, RFC883(현재는 RFC1034로 대체됨)에 새로운 명명 체제에 대한 구현을 공식 발표하며, 크게 네임스페이스의 계층 구조, 분산 데이터베이스, Email 라우팅 개선을 주안점으로 DNS가 탄생하였다.
TCP/IP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네임 서비스의 구조이다. TCP/IP 네트워크에서는 도메인이라고 하는 논리적 그룹을 계층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그 논리적 그룹 명칭인 도메인명을 컴퓨터의 명칭(호스트명)의 일부에 포함시켜 이용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도메인 혹은 호스트 이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해석해 주는 TCP/IP 네트워크 서비스로서, 계층적 이름 구조를 갖는 분산형 데이터 베이스로 구성되고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사용한다.
각 컴퓨터의 이름은 마침표에 의해 구분되고 알파벳과 숫자로 구성된 세그먼트의 문자열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기관별로는 com이면 기업체, edu인 경우는 교육기관, gov인 경우는 정부기관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국가도메인은 au는 호주, ca는 캐나다, jp는 일본, kr는 한국, tw는 대만, uk는 영국 등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7.14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72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