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료사회사업의 실천방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정신의료사회사업 프로그램

Ⅱ. 활동요법(activity therapy)

Ⅲ. 예술요법

본문내용

여기서 모자의 일체성이라 함은...
치료자와 내담자 사이에 어머니와 갓난아이와 같은 관계와 같은 기본적인 신례관계가 있다는 것을 중요시하며 이것을 "모자일체성이라" 불렀다.
1) 기본 기법
- 모래상자놀이는 언어를 주체로 사용하지 않고 감성에 직접 호소하는 요법이다.
모래놀이치료는 모래상자를 이용하여 심리적 부담을 줄이며 자유롭게 자기를 표현하는 것으로 해석이나 전이 없이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다.
2) 모래 상자놀이의 단계
1 단계 : 동식물의 단계
2 단계 : 투쟁의 단계
3 단계 : 집단에의 적응의 단계
3) 재료
(1) 모래상자
- 모래상자의 크기 : 모래상자의 안치수가 57×72×7(cm)
- 상자 안은 하늘색으로 바깥쪽은 검은 색으로 칠한다.
- 모래 : 갈색 굻은 모래와 고운 모래, 흰모래 세가지 종류를 사용하거나 갈색과 백색의 두 종류를 사용.
(2) 장난감
- 많은 종류의 장난감을 준비한다. 크기와 색깔, 다수를 갖추는 것이 좋다.
4) 치료방법
① 허용적인 분위기 조성을 해야 한다.
② 상담자는 내담자와 함께 음미하고 즐거워하는 기분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
③ 내담자가 서서히 만들도록 기다린다.
④ 삼당자가 항상 아동에게 자유롭고 보호된 장면을 제공해야 한다.
⑤ 작품은 가능한 한 시리즈로 보는 것이 좋다
⑥ 가능한 질문은 적게 한다.
⑦ 완성된 작품뿐 아니라 그 과정에도 주목한다.
⑧ 장난감들이 아이에게 갖는 의미를 중요시한다.
5) 투영법
(1) Buhler의 World Test
모래사용을 금지하고 인간, 가축, 야생동물, 집, 타고 다니는 것, 울타리, 건조물, 자연, 무기, 기타(회전목마, 우체통, 비석)의 10개 군으로 나눠 이것으로 무엇인가를 만들게 하는 것.
(2) 마을le vilage 기법
마을 건물의 완구를 이용하여 내담자가 자기 마음에 드는 대로 마을을 배치하도록 한다.
(3) 정경테스트 scenc test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완구를 이용해서 그때에 자기 기분에 맞는 정경을 만들도록 지시하는 것.
6) 공간배치의 의미
- 모래상자의 공간을 어떻게 이용하느냐에 따라서 그 의미가 다르다.
·왼쪽과 오른쪽을 무의식과 의식, 내계와 외계로 대응시키고 위와 아래를 정신과 육체, 미래와 과거, 아버지와 어머니로 대응시키고 있다.
·동물, 인물, 강 등의 움직임이 모두 일정 방향으로 향했을 때, 왼쪽으로 향함은 퇴행, 오른쪽은 진행.
·완구를 작품을 상자 안에 만들어 놓고 그 후에 상자밖에 놓는 경우 그 존재를 희미하게 느낀다.
10. 독서요법
- 글 또는 말이 하나의 상징적 표현이라는 것에 그 근거를 두며 언어나 감정을 완화시키거나 자극하는 방법
치료적 효과는 환자의 기분전화, 집중력 증가, 상상력 자극, 불면증을 완화하고 바람직한 태도를 갖고 생각을 할 수 있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11. 문예요법 또는 작문요법
- 자신이 처한 상황을 심적 갈등이나 고통을 글로서 표현하게 하여 감정을 환기시키며, 자신에 대한 통찰과 분석, 성취감을 얻는 치료 방법이다.
1) 詩 치료의 제 이론
(1) 심리치료적 통풍 방법과 카타르시스
시 치료는 환자의 마음 속 가장 깊숙한 곳에 위치한 생각을 거리낌없이 표출해 놓도록 해주는, 즉 통풍이라는 시원한 심리치료의 경험을 제공해 준다. 뿐만 아니라 이때 그에 합당한 무의식적인 긴장도 배출되어 후련한 느낌을 경험하는 카타르시스가 동반되는 것이다. 시는 고백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또 시는 죄책감이나 창피 감이나 굴욕감까지도 내보일 수 있는 안전한 방법을 제공한다.
(2) 심리치료적 탐구과정
시인은 내성과 자기 분석을 시행하고 있는 사람이다. 따라서 시를 환자들에게 응용하는 것은 심리치료적 탐구과정을 돕는 일이 된다. 시의 기능은 자기를 발견하게 해주는 수단으로 불 수 있다.
시인은 자신의 갈등을 정직하게 내보이고 시인이 쓴 시는 그가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반영해주고 있는 것이다.
(3) 지지적인 심리치료
심리치료에 시를 이용하게 되면 환자가 용기를 필요로 할 때 용기를 불어넣어 주고 또한 자신감과 의사소통 및 정신집중력을 증진시킨다.
(4) 적극적인 숙달 방법
자기에게 주어진 환경을 적극적으로 지배하고 숙달되는 데에는 언어가 가장 중요한 수단이 된다. 주로 언어를 통해서 동일시를 획득한다.
시작업은 성숙과 성장을 촉진하는 경험이 된다. 또한 개개인의 자아 정체감을 강화시킨다.
(5) 이해하는 방법
시를 읽는 일은 독자의 체험과 이해를 넓고 깊고 풍부하게 해준다. 시인의 인생을 충분히 이해하고 시인의 감정이 이입되어 독자 자신에 대한 이해를 키워나가고 그러므로 해서 자신을 스스로 돕게 된다.
(6) 안전한 방법
詩라는 장막을 이용하여 받아들이기 어려운 생각이나 감정을 안전한 분위기 속에서 표출하도록 해준다. 복수당하지는 않을까 하는 두려움 때문에 직접 표현할 수 없는 생각이나 감정이나 태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게 해준다. 상처를 운문으로 싸서 그려내는 시는 감정의 폭발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시는 안전한 표현 방법을 제공한다.
2) 詩 치료의 방법
① 詩는 자신을 표현하고 탐구하는 방편이 된다고 하였다.
② 치료 시작은 유명 시인이 쓴 시의 명구들을 소개해주는 것으로 한다.
③ 환자와 대화하는 가운데서 그 어떤 강한 감정이 반복적으로 나오면 치료자는 그것을 주제 삼아 써보도록 권한다.
④ 시론이나 시작법 같은 것은 학문적으로 강의하면 안된다.
⑤ 쓰자마자 곧바로 발표시키지 않는다. 그 시가 쓴 사람의 마음 깊이 자리 잡으려면 시간이 걸리는 법이어서 뜸을 들인다.
⑥ 발표는 크게 낭송하는 방법을 택하고, 또 반복해 몇 차례를 낭송케 한다.
⑦ 시작에 관한 집단토의를 한다.
⑧ 참석자 전원이 함께 볼 수 있도록 시를 복사해서 나눠 갖게 할 필요가 있다.
12. 산업요법 또는 공업요법
- 실제적인 경험을 쌓음으로써 환자로 하여금 개인적인 능력과 정도에 따라 지도와 감독을 받게 하는 것.
- 자존심고양, 대인관계, 긍정적 자아개념 증진을 가져와 궁극적으로 사회에 복귀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는 치료 방법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7.14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73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