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충사소장 고경명 고문서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언(緖言)

2. 문적(文籍)의 유래(由來)와 현황

3. 포충사소장 문적해제(文籍解題)

4. 포충사 소장 문적의 내용

5. 결론(結論)

본문내용

摠管者
④ 高因厚 贈職 敎旨
敎旨 / 贈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 / 府事世子貳師知經筵春秋館事高因 / 厚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 / 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 / 象監事世子師者 / 崇禎二年(1629) 十一月 二十二日
頃緣國運中否 島夷外 始效逆亮之諭監 終遑匈吳之 食 乘我不戒肆意長驅 謂天可欺 虛直上 秉將鉞者徘廻岐路 疊郡印者投 林幽 以賊虜遺君親是可忍也 使至 導憂社稷於汝安乎 是何百年休養之生民 曾無一介義氣之男子 孤軍深入女眞本不知兵 中行未笞大漢自是無策 長江遞失其天塹 虜騎已薄於神京 南朝無人之譏誠可痛矣 北軍飛渡之語不幸近之 ……
廟謨行且有定 王業支豈傭安 善敗不正福德方림臨於吳兮 因禍爲福謳吟益思於漢家 豪畯匡時不作新亭之對泣 文武 后佇見舊京之回 想宜生氣力以先登 是用敷心腹而誕告
5. 결론(結論)
이상 포충사 소장 고문서와 전적을 살펴보았다. 고문서중에 명문 2건이 있는데 모두가 영납명문(永納明文)인데 하나는 제위답(祭位畓)을 영납하는 명문과 또 하나는 수직노(守直奴)를 영납하는 명문이다. 이 문서로 보아 포충사를 사액받은후 사우관리를 위하여 후손으로서 노력을 알 수 있으며, 복호입안문(復戶立案文)은 충신 효자 등에 대한 예우를 위해 요역부담을 감면 또는 면제하여 주는 제도로 5결을 복호한 입안문이다. 이 문서로 포충사 창건후 사우관리을 위하여 후손들의 노력과 나라에서 충신 효자에 대한 예우 등을 파악하는 자료가 될 것이다
교지는 총 4장이 있는데 제봉선생이 문과에 급제하여 받은 홍패교지와 이 밖에 3점은 증직교지로 제봉의 증시교지(贈諡敎旨)와 그의 아들 고종후, 고인후에게 내린 증직교지(贈職敎旨) 등이다. 이로서 국가에 공로가 있는 자에게 추증하는 제도를 알 수 있다.
유묵은 제봉의 친필로 세독충정과 수초격문이 전하고 있는데 수초격문은 당시 각지에 의병을 모집하기 위하여 각고을에 보내진 내용으로 충정어린 내용과 국가의 위급성을 들어 의병을 모집하였던 일면을 볼 수 있다. 수초격문초에는 당시 제봉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하여 서발(序跋)을 쓴 유명인사의 친필서발등이 함께 첩장으로 보존되고 있어 그 가치를 더하고 있다.
포충사 문적은 임진왜란 이전의 문서와 임진왜란 전후의 문서, 그리고 후대에 나라의 조치사항 등을 알아 볼 수 있는 자료로 포충사의 역사적 일면을 보여주는 자료로 광주직할시(光州直轄市) 문화재로 지정신청을 하면서 조사된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여 이 분야를 연구하는 분을 위해 원문을 그대로 기록하여 참고가 되도록 하였다.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7.15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74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