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시즘의 이데올로기의 이해와 붉은 악마 응원단에서의 파시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1. 파시즘의 개념
1-2. 파시즘의 발생배경

2-1. 파시즘의 특성
2-2 파시즘의 이데올로기
2-3 파시즘의 성립과 형태

3. 붉은 악마에서의 파시즘

본문내용

부여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 시작은 아이러니하게도 '반 축구팬'에 대한 성찰에서 출발한다. 다시 말해, 붉은 악마 스스로에게 주어진 세력과 축적된 힘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진정으로 모든 사람들이(축구 반대자들이라 하더라도!) 고개를 끄덕일 수 있는 범국민적 활동으로 나아가기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물론 붉은 악마도 나름대로, 알아서 그런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가령 지방선거에서 붉은 악마의 투표 참여 운동은 물론 좋았지만, 강도가 조금 약했다. 이제 월드컵 끝난 뒤에 본격적으로 한국 축구의 근본적 발전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는 것은 어떨까? 이미 8강까지 진입하기는 했지만, 다른 출전국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축구 인프라가 부끄럽게 느껴지기도 한다. 프로축구 활성화나 아마 축구의 발전을 위해 붉은 악마가 진지하게 힘을 사용한다면 어떨까? 혹은, 축구 발전을 막는 어떤 부류의 언론이나 권력에 대해 축구팬들이 공동의 저항을 시도한다면 어떨까? 붉은 악마는 이미 '단순한 축구 서포터즈 모임'이라고 몸을 사리기에는 너무도 커져 버렸고, 많은 의미가 부여되어 버렸다. 이 에너지가, 이 거대한 통합의 에너지가 월드컵 뒤 없었던 일인 것처럼 사라지는 것은 아무도 바라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단순히 파시즘의 한 한국적 요소라는 식으로 마무리짓는 것 역시도 저희가 원하지 않는 바이다. 그렇다면, 이제부터는 무엇이 필요할까. 집단적 에너지의 건강한 승화를 위한 진중한 논의가 절실한 때이다. 그리고 그것은 '다른' 소수에 대한 고려로부터 출발한다는 점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7.15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75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