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기
2. 몽유록 소설과 몽자류 소설 비교
3. 몽자류 소설 - 구운몽을 중심으로
4. 몽유록 소설 - 원생몽유록을 중심으로
※ 참고 문헌
2. 몽유록 소설과 몽자류 소설 비교
3. 몽자류 소설 - 구운몽을 중심으로
4. 몽유록 소설 - 원생몽유록을 중심으로
※ 참고 문헌
본문내용
내는 데 그친 것이다. 이것은 작가가 현실에서 다 할 수 없었던 말을 꿈이라는 공간을 빌려 마음껏 해대는 데는 성공했지만 꿈이 아니고서는 그려 낼 수 없는 초현실적이며 몽롱한 세상을 통해 주제 의식을 높이는 데까지는 가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이 점이 바로 몽유록과 <구운몽>과 같은 ‘몽자류 소설’을 구분 짓는 주요인이기도 하다. 즉, <구운몽>의 성진은 꿈에서 양소유가 되지만 <원생몽유록>의 원생은 꿈속에서나 현실에서나 똑같은 원호일 뿐이다. 또 성진은 꿈을 통해 새로운 깨달음을 얻지만 원생은 현실에서 알고 있던 내용을 꿈속에서 다시 한 번 확인하는 데 그치고 만다.
※ 참고 문헌
유종국, <몽유록 소설의 연구>, 전북대학교, 1987
성기옥, <한국문학개론>, 새문사, 1995
양언석, <몽유록 소설의 서술유형연구>, 국학자료원, 1996
※ 참고 사이트
http://songkw.com.ne.kr/go2/13-10-1.htm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so-seol/gu-un-mong-outline.htm
http://210.218.66.140/student/home2000/groove10/한국소설3.htm
※ 참고 문헌
유종국, <몽유록 소설의 연구>, 전북대학교, 1987
성기옥, <한국문학개론>, 새문사, 1995
양언석, <몽유록 소설의 서술유형연구>, 국학자료원, 1996
※ 참고 사이트
http://songkw.com.ne.kr/go2/13-10-1.htm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so-seol/gu-un-mong-outline.htm
http://210.218.66.140/student/home2000/groove10/한국소설3.ht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