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개발의 창조성
2. 창조성의 관점에서 본 연구개발평가
3. 사례 분석
4. 실패에 대한 인정의 문제
5. 창조성 고양을 위한 연구개발평가의 과제
<참고문헌>
2. 창조성의 관점에서 본 연구개발평가
3. 사례 분석
4. 실패에 대한 인정의 문제
5. 창조성 고양을 위한 연구개발평가의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검토 분석 및 단계평가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평가원.
손병호.현재호 (1999), "창조적 혁신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추진체제의 설계: 창의적연구진흥사업 사례",「기술혁신연구」, 제7권, 제1호.
재정경제부 외 (2001), 「과학기술기본계획: 2002∼2006」.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2), 창의적연구진흥사업 평가제도 현황, 우주원천전문위원실 내부자료.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2),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 평가제도 현황, 연구기획실 내부자료.
홍동희.류영수 (2002),「연구개발 실패지식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황 용수 (1999), 연구개발과제 평가제도의 개선, 과학기술정책포럼, 제31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野村總合硏究所 (1990),「創造の 戰略: 創造化時代の マネジメント·ノウハウ」.
(주)녹십자 (1998), 「창의적연구진흥사업의 체계적 추진을 위한 기획연구」, 과학기술부.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45, pp. 357-376.
Besemer, S. P. and D. J. Treffinger (1981), "Analysis of Creative Products: Review and Synthesis",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 15, No. 3, pp. 158-178.
Eysenck, H. J. (1996), "The Measurement of Creativity", in Dimension of Creativity edited by M. A. Boden, Chapter 4, Boston: MIT Press.
Lee, M., Son, B. & K. Om. (1996), "Evaluation of National R&D Projects in Korea", Research Policy, Vol. 25, pp. 805-818.
Lovelace, R. F. (1986), "Stimulating Creativity Through Managerial Intervention", R&D Management, Vol. 16, pp. 161-174.
Sternberg, R. J., L. A. O'Hara and T. I. Lubart (1997), "Creativity as Investment",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 40, No. 1.
<표 1> 創意的 硏究振興事業 1段階 課題選定 評價項目 및 着眼点
구분
평가항목 (가중치)
착안점
연구
내용
평가
(50점)
연구과제의 창의성 (3)
.문제제기의 타당성, 기존연구와의 차별성,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의 독창성 및 구체성 수준이 높은가?
연구결과의 과학
기술적, 경제사회적 기대효과 (2)
.과제종료 후 예상되는 연구결과의 과학기술적 및 경제사회적 기대효과가 큰가?
연구자 평가
(50점)
대표연구실적 (3)
.대표연구실적의 질(해당분야에의 기여도 등)이 높은가?
.연구자의 역할이 얼마나 주도적이었는가?
.대표 논문 게재 학술지의 수준이 높은가?
연구수행능력 (2)
.대표적인 프로젝트 수행실적의 질이 높은가?
.연구자의 경력이나 전문성을 고려해 볼 때, 연구리더로서 새로운 연구팀을 구성(외부 post-doc 채용 등)하여 연구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
(주) 각 평가항목별 10점 만점.
<표 2> 創意的 硏究振興事業 2段階 課題選定 評價項目 및 着眼点
구 분
평가항목 (가중치)
착안점
전문평가소위원회 패널평가
(100점)
연구
내용 평가
(50점)
연구과제의 창의성 (3)
연구아이디어 또는 가설의 독창성
연구아이디어의 원천(국내인가?)
사회경제적 가치
과학기술적 가치(2)
연구과제의 사회경제적 가치
연구과제의 과학기술적 가치
연구추진
전략 및 체계 평가
(30점)
연구방법의 구체성 및 타당성 (2)
연구방법론(접근방법)의 구체성 및 타당성
연구방법과 관련된 경험이나 선행 연구결과 유무
연구추진체계의 적합성 (1)
연구목표 달성을 위한 단계별, 서브그룹별 연구내용의 적합성과 연계성
서브그룹간 역할분담, 전공분야 및 인원 구성의 적절성
연구단 운영 전략의 적절성
연구 책임자 평가
(20점)
대표연구실적 (1)
대표연구실적의 질(해당분야에의 기여도 등)
제안된 연구과제와의 관련성
연구책임자의 역할
대표 논문 게재 학술지의 수준
연구수행 능력 (1)
프로젝트 리더로서의 연구수행 능력
추진기획위원회 평가
(30점)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10점)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1)
지적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단순한 기초연구가 아닌 성공시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있는 연구과제인가?
창의사업 목적 및 철학 부합성
(20점)
과제내용.성격의 창의사업 철학과의 부합성 (1)
타 국가연구개발사업이 아닌 창의사업으로 추진해야 할 당위성
연구단 구성의 창의사업 철학과의 부합성 (1)
서브그룹간 역할분담, 구성분포(국내/국외, 동일기관/타 기관, 전공분야 등)의 적절성
연구단 운영전략의 적절성
차세대 연구리더 육성에 대한 공헌도
(주) 각 평가항목별 10점 만점
<표 3> 創意的 硏究振興事業 段階評價에서의 委員會 패널評價 項目 및 指標
평가항목 및 지표
가중치
평가내용
1. 연구목표 달성도
20
- 연구목표 및 평가착안점 대비 연구성과
- 연구수행 과정의 연속성
2. 원천기술 확보 정도
·발표논문의 질적 우수성
·논문투고시 심사위원 Review 의견
·출원.등록 특허의 우수성
40
- 논문 실적 및 인용횟수
- 대표논문의 impact score
- 대표논문 내용 및 Review 의견
- 특허 출원·등록 실적
3. 차세대 연구리더로서의 성장가능성
·국내외 학술활동
·국내외 학술적 인지도
20
- 국제초청강연, 세미나 실적
- 연구연합체 결성 등 정보
교류 활동
- 과학기술 관련 수상 실적 등
4. 향후 연구계획의 적절성
20
- 2단계 연구계획 내용
손병호.현재호 (1999), "창조적 혁신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추진체제의 설계: 창의적연구진흥사업 사례",「기술혁신연구」, 제7권, 제1호.
재정경제부 외 (2001), 「과학기술기본계획: 2002∼2006」.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2), 창의적연구진흥사업 평가제도 현황, 우주원천전문위원실 내부자료.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2),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 평가제도 현황, 연구기획실 내부자료.
홍동희.류영수 (2002),「연구개발 실패지식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황 용수 (1999), 연구개발과제 평가제도의 개선, 과학기술정책포럼, 제31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野村總合硏究所 (1990),「創造の 戰略: 創造化時代の マネジメント·ノウハウ」.
(주)녹십자 (1998), 「창의적연구진흥사업의 체계적 추진을 위한 기획연구」, 과학기술부.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45, pp. 357-376.
Besemer, S. P. and D. J. Treffinger (1981), "Analysis of Creative Products: Review and Synthesis",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 15, No. 3, pp. 158-178.
Eysenck, H. J. (1996), "The Measurement of Creativity", in Dimension of Creativity edited by M. A. Boden, Chapter 4, Boston: MIT Press.
Lee, M., Son, B. & K. Om. (1996), "Evaluation of National R&D Projects in Korea", Research Policy, Vol. 25, pp. 805-818.
Lovelace, R. F. (1986), "Stimulating Creativity Through Managerial Intervention", R&D Management, Vol. 16, pp. 161-174.
Sternberg, R. J., L. A. O'Hara and T. I. Lubart (1997), "Creativity as Investment",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 40, No. 1.
<표 1> 創意的 硏究振興事業 1段階 課題選定 評價項目 및 着眼点
구분
평가항목 (가중치)
착안점
연구
내용
평가
(50점)
연구과제의 창의성 (3)
.문제제기의 타당성, 기존연구와의 차별성,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의 독창성 및 구체성 수준이 높은가?
연구결과의 과학
기술적, 경제사회적 기대효과 (2)
.과제종료 후 예상되는 연구결과의 과학기술적 및 경제사회적 기대효과가 큰가?
연구자 평가
(50점)
대표연구실적 (3)
.대표연구실적의 질(해당분야에의 기여도 등)이 높은가?
.연구자의 역할이 얼마나 주도적이었는가?
.대표 논문 게재 학술지의 수준이 높은가?
연구수행능력 (2)
.대표적인 프로젝트 수행실적의 질이 높은가?
.연구자의 경력이나 전문성을 고려해 볼 때, 연구리더로서 새로운 연구팀을 구성(외부 post-doc 채용 등)하여 연구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
(주) 각 평가항목별 10점 만점.
<표 2> 創意的 硏究振興事業 2段階 課題選定 評價項目 및 着眼点
구 분
평가항목 (가중치)
착안점
전문평가소위원회 패널평가
(100점)
연구
내용 평가
(50점)
연구과제의 창의성 (3)
연구아이디어 또는 가설의 독창성
연구아이디어의 원천(국내인가?)
사회경제적 가치
과학기술적 가치(2)
연구과제의 사회경제적 가치
연구과제의 과학기술적 가치
연구추진
전략 및 체계 평가
(30점)
연구방법의 구체성 및 타당성 (2)
연구방법론(접근방법)의 구체성 및 타당성
연구방법과 관련된 경험이나 선행 연구결과 유무
연구추진체계의 적합성 (1)
연구목표 달성을 위한 단계별, 서브그룹별 연구내용의 적합성과 연계성
서브그룹간 역할분담, 전공분야 및 인원 구성의 적절성
연구단 운영 전략의 적절성
연구 책임자 평가
(20점)
대표연구실적 (1)
대표연구실적의 질(해당분야에의 기여도 등)
제안된 연구과제와의 관련성
연구책임자의 역할
대표 논문 게재 학술지의 수준
연구수행 능력 (1)
프로젝트 리더로서의 연구수행 능력
추진기획위원회 평가
(30점)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10점)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1)
지적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단순한 기초연구가 아닌 성공시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있는 연구과제인가?
창의사업 목적 및 철학 부합성
(20점)
과제내용.성격의 창의사업 철학과의 부합성 (1)
타 국가연구개발사업이 아닌 창의사업으로 추진해야 할 당위성
연구단 구성의 창의사업 철학과의 부합성 (1)
서브그룹간 역할분담, 구성분포(국내/국외, 동일기관/타 기관, 전공분야 등)의 적절성
연구단 운영전략의 적절성
차세대 연구리더 육성에 대한 공헌도
(주) 각 평가항목별 10점 만점
<표 3> 創意的 硏究振興事業 段階評價에서의 委員會 패널評價 項目 및 指標
평가항목 및 지표
가중치
평가내용
1. 연구목표 달성도
20
- 연구목표 및 평가착안점 대비 연구성과
- 연구수행 과정의 연속성
2. 원천기술 확보 정도
·발표논문의 질적 우수성
·논문투고시 심사위원 Review 의견
·출원.등록 특허의 우수성
40
- 논문 실적 및 인용횟수
- 대표논문의 impact score
- 대표논문 내용 및 Review 의견
- 특허 출원·등록 실적
3. 차세대 연구리더로서의 성장가능성
·국내외 학술활동
·국내외 학술적 인지도
20
- 국제초청강연, 세미나 실적
- 연구연합체 결성 등 정보
교류 활동
- 과학기술 관련 수상 실적 등
4. 향후 연구계획의 적절성
20
- 2단계 연구계획 내용
추천자료
아마존 개발 연구
(교육문제연구론B형)인적 자원개발을 주제로 한 문헌을 하나 선택하여 교육중심적 교육관에 ...
고향의 관광자원실태와 관광자원 개발방안 연구
진로소주의 해외진출 성공 사례 연구 (R&D의 국제화/신제품개발)
3M (쓰리엠) R&D의 국제화와 신제품 개발 전략 사례 연구
락앤락의 헤외진출 성공사례연구 -R&D의국제화와 신제품 개발 전략
중국 서부대개발 연구
교원능력개발평가정책 연구논문에 대한 요약 및 비판
관광지 개발의 자연적 조건 사례 연구 (스키장의 입지 조건)
[계획과정, 도시계획, 지역관광개발계획, 현장교육연구, 교육프로그램, 환경교육]계획과정과 ...
[산업기술][산업기술정책]산업기술과 산업기술정책, 산업기술연구, 산업기술과 산업기술개발,...
기독교 세계관적 실과 교재 개발 연구 - 초등 6학년 ‘일과 직업의 세계’ 단원을 중심으로 - (...
[관광개발][관광][개발][관광개발 동해북부권][관광개발 제주도]관광개발의 분류, 관광개발의...
[관광개발][관광][개발][외국자본유치]관광개발의 종류, 관광개발의 중요성, 관광개발의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