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사례로 선택하게 된 동기
2전반적 질병과정
3문헌고찰
-성장발달 단계별 평균 달성 기준과 대상아동과의 비교
-백일해와 세기관지염
(원인 증상 치료 간호 예후)
-대상아동 관련 자료
(증상, 가정환경, 치료, 간호, 예방)
4투약
5간호과정(sopie틀)
-비효율적 호흡양상
-영양결핍
-비효율적 기도청결
-피부통합성 장애
-체액부족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사례로 선택하게 된 동기
2전반적 질병과정
3문헌고찰
-성장발달 단계별 평균 달성 기준과 대상아동과의 비교
-백일해와 세기관지염
(원인 증상 치료 간호 예후)
-대상아동 관련 자료
(증상, 가정환경, 치료, 간호, 예방)
4투약
5간호과정(sopie틀)
-비효율적 호흡양상
-영양결핍
-비효율적 기도청결
-피부통합성 장애
-체액부족
본문내용
적 폐음(천명음, 나음)
·진해거담제와 항생제 투여
(ambroxal, rhinaol,ucosinil, klaricid)
A
기침 후 구토, 기관지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P
1. 청진시 폐 음이 깨끗하다
1-1 호흡 시 그르렁 거리는 소리가 들리 지 않는다.
I
①호흡상태(리듬, 깊이, 호흡수, 비대칭적 폐 확장)와 호흡음을 사정한다.
②분비물의 기도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머리를 옆으로 한다.
③한꺼번에 많은 양의 수유를 하지 않아 기침과 구토를 예방한다.
④흉부타진과 체위배액을 보호자에게 교육하고 시행하게 해 기관지 벽에 붙은 분비물을 떨어뜨리고 기도 분비물의 배출을 돕는다.
⑤가습기를 제공한다.
⑥구강간호를 한다.
⑦필요시 거담제를 투여하고 그 효과를 사정한다.
E
현재 구토 증세는 없어졌고 비정상적인 폐 음은 줄어들었으나 아직 그르렁거리는 소리가 호흡 시 들린다.
일시
진단번호
간호수행(SOAPIE)
서명
2005. 3. 23
#4
S
"매일 설사를 해요"
"오늘은 9번이나 설사를 했어요"
"설사를 자주해서 그런지 엉덩이 항문주위가 뻘겋고 짓물렀어요"
0
·3월22일 설사 3회,23일 설사 9회
·항문주위 피부 발적
·galantase 투약
·설사 마지막에 선홍색 빛 관찰
A
잦은 설사와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P
1.항문주위 피부손상이 없다.
1-1 설사를 더 이상 하지 않는다.
1-2 항문주위 피부 발적이 관찰되지 않 는다.
I
①항문주위의 피부상태(발적, 배액유무)를 사정한다.
②배뇨, 배변 후 기저귀를 즉시 갈아주고 항문주위 피부를 연한 비누와 물로 부드럽게 닦고 건조시킨다.
③항문주위의 피부를 노출시켜 건조하게 유지한다.
④필요시 크림이나 연고를 발라 외부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그 효과를 사정한다.
E
환아는 더 이상 설사증세를 보이지 않고 어머니는 환아의 항문주위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시켜 피부의 발적 정도가 감소되었다.
일시
진단번호
간호수행(SOAPIE)
서명
2005. 3.25
#5
S
"채원이가 설사를 자주해요"
"기침을 심하게 하면 구토도 해요"
O
·기침 후에 구토를 동반함
·잦은 설사(22일 3회, 23일 9회)
·자주 보채고 불안정해 보임
·체중감소(8020g 7620g)
A
잦은 구토와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
P
1. 탈수징후가 없으며 혈중 전해질이 정상범위에 있다.
1-1. 기침 후 구토를 동반하지 않는다.
1-2. 설사를 하지 않는다.
I
①활력징후 및 의식의 변화를 2-4시간마다 사정한다.
②구토의 양, 횟수, 토물의 양상, 설사횟수를 사정한다.
③탈수의 징후(건조한 점막, 눈 및 천문 함몰, 소 변량 감소)를 사정한다.
④수분의 섭취량/배설량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⑤동일조건(시간, 체중계, 옷, 수유상태, 배뇨상태)에서 매일 체중을 잰다.
⑥필요시 전해질 용액을 구강으로 섭취하고 주입속도를 지켜 정맥 수액요법을 한다.
⑦혈중 전해질 및 요 비중을 사정한다.
⑧필요시 거담제와 강장제를 투여하여 기침과 설사를 줄인다.
E
환아는 간간히 기침을 하고 구토는 더 이상 동반하지 않는다. 그리고 설사도 하지않으며 더 이상의 체중감소는 없고 안정되어 보인다.
Ⅵ. 결론
첫 임상 실습으로 소아 병동에서 실습하면서 느낀점이 많다. 예전보다 지식수준이 높아지고, 환자와 보호자의 권리를 많이 내세운다고 수업시간에 배웠고 장기 환자들은 오히려 보호자들이 학생들보다 더 많이 안다고 들어와서, 정말 그런가.. 하는 생각을 가지고 실습에 임했었는데, 의외로 평소 생각했던 것보다 환아 엄마들의 지식이 많이 부족한 것 같아 교육이 많이 필요함을 새삼 깨달았다. 그리고 환아들에게 ,또 부모들에게 정서적 지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았다. 대수롭지 않은 말이지만, '오늘 어떠세요? 어제보다 괜찮아요?' 라는 말 한마디에 보호자들이 마음을 열고 나에게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털어놓는 것을 보니, 앞으로 더욱 신경써서 대상자와 보호자들에게 관심을보여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첫 실습이라 환아와 보호자와 친해질수 있을까.. 라는 걱정이 앞었었는데, 이제부터는 그런 걱정은 접어버리고 더욱더 적극적인 자세로, 그리고 항상 밝은 미소를 띈 모습으로 실습에 임하도록 하여야 겠다.
일시
진단번호
간호수행(SOAPIE)
서명
2004. 3.19
#5
S
"지민이가 설사를 자주해요"
"기침을 심하게 하면 구토도 해요"
O
·기침 후에 구토를 동반함
·잦은 설사(16일 3회, 17일 9회)
·자주 보채고 불안정해 보임
·체중감소(8020g 7620g)
A
잦은 구토와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
P
1. 탈수징후가 없으며 혈중 전해질이 정상범위에 있다.
1-1. 기침 후 구토를 동반하지 않는다.
1-2. 설사를 하지 않는다.
I
①활력징후 및 의식의 변화를 2-4시간마다 사정한다.
②구토의 양, 횟수, 토물의 양상, 설사횟수를 사정한다.
③탈수의 징후(건조한 점막, 눈 및 천문 함몰, 소 변량 감소)를 사정한다.
④수분의 섭취량/배설량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⑤동일조건(시간, 체중계, 옷, 수유상태, 배뇨상태)에서 매일 체중을 잰다.
⑥필요시 전해질 용액을 구강으로 섭취하고 주입속도를 지켜 정맥 수액요법을 한다.
⑦혈중 전해질 및 요 비중을 사정한다.
⑧필요시 거담제와 강장제를 투여하여 기침과 설사를 줄인다.
E
환아는 간간히 기침을 하고 구토는 더 이상 동반하지 않는다. 그리고 설사도 하지않으며 더 이상의 체중감소는 없고 안정되어 보인다.
참고자료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1995), 서울대학교출판부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2002), 현문사
http://medcity.com/jilbyung/bakilhae.html
http://heartclinic.pe.kr/text/1124.htm
(목차)
1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사례로 선택하게 된 동기
2전반적 질병과정
3문헌고찰
-성장발달 단계별 평균 달성 기준과 대상아동과의 비교
-백일해와 세기관지염
(원인 증상 치료 간호 예후)
-대상아동 관련 자료
(증상, 가정환경, 치료, 간호, 예방)
4투약
5간호과정(sopie틀)
-비효율적 호흡양상
-영양결핍
-비효율적 기도청결
-피부통합성 장애
-체액부족
·진해거담제와 항생제 투여
(ambroxal, rhinaol,ucosinil, klaricid)
A
기침 후 구토, 기관지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P
1. 청진시 폐 음이 깨끗하다
1-1 호흡 시 그르렁 거리는 소리가 들리 지 않는다.
I
①호흡상태(리듬, 깊이, 호흡수, 비대칭적 폐 확장)와 호흡음을 사정한다.
②분비물의 기도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머리를 옆으로 한다.
③한꺼번에 많은 양의 수유를 하지 않아 기침과 구토를 예방한다.
④흉부타진과 체위배액을 보호자에게 교육하고 시행하게 해 기관지 벽에 붙은 분비물을 떨어뜨리고 기도 분비물의 배출을 돕는다.
⑤가습기를 제공한다.
⑥구강간호를 한다.
⑦필요시 거담제를 투여하고 그 효과를 사정한다.
E
현재 구토 증세는 없어졌고 비정상적인 폐 음은 줄어들었으나 아직 그르렁거리는 소리가 호흡 시 들린다.
일시
진단번호
간호수행(SOAPIE)
서명
2005. 3. 23
#4
S
"매일 설사를 해요"
"오늘은 9번이나 설사를 했어요"
"설사를 자주해서 그런지 엉덩이 항문주위가 뻘겋고 짓물렀어요"
0
·3월22일 설사 3회,23일 설사 9회
·항문주위 피부 발적
·galantase 투약
·설사 마지막에 선홍색 빛 관찰
A
잦은 설사와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P
1.항문주위 피부손상이 없다.
1-1 설사를 더 이상 하지 않는다.
1-2 항문주위 피부 발적이 관찰되지 않 는다.
I
①항문주위의 피부상태(발적, 배액유무)를 사정한다.
②배뇨, 배변 후 기저귀를 즉시 갈아주고 항문주위 피부를 연한 비누와 물로 부드럽게 닦고 건조시킨다.
③항문주위의 피부를 노출시켜 건조하게 유지한다.
④필요시 크림이나 연고를 발라 외부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그 효과를 사정한다.
E
환아는 더 이상 설사증세를 보이지 않고 어머니는 환아의 항문주위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시켜 피부의 발적 정도가 감소되었다.
일시
진단번호
간호수행(SOAPIE)
서명
2005. 3.25
#5
S
"채원이가 설사를 자주해요"
"기침을 심하게 하면 구토도 해요"
O
·기침 후에 구토를 동반함
·잦은 설사(22일 3회, 23일 9회)
·자주 보채고 불안정해 보임
·체중감소(8020g 7620g)
A
잦은 구토와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
P
1. 탈수징후가 없으며 혈중 전해질이 정상범위에 있다.
1-1. 기침 후 구토를 동반하지 않는다.
1-2. 설사를 하지 않는다.
I
①활력징후 및 의식의 변화를 2-4시간마다 사정한다.
②구토의 양, 횟수, 토물의 양상, 설사횟수를 사정한다.
③탈수의 징후(건조한 점막, 눈 및 천문 함몰, 소 변량 감소)를 사정한다.
④수분의 섭취량/배설량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⑤동일조건(시간, 체중계, 옷, 수유상태, 배뇨상태)에서 매일 체중을 잰다.
⑥필요시 전해질 용액을 구강으로 섭취하고 주입속도를 지켜 정맥 수액요법을 한다.
⑦혈중 전해질 및 요 비중을 사정한다.
⑧필요시 거담제와 강장제를 투여하여 기침과 설사를 줄인다.
E
환아는 간간히 기침을 하고 구토는 더 이상 동반하지 않는다. 그리고 설사도 하지않으며 더 이상의 체중감소는 없고 안정되어 보인다.
Ⅵ. 결론
첫 임상 실습으로 소아 병동에서 실습하면서 느낀점이 많다. 예전보다 지식수준이 높아지고, 환자와 보호자의 권리를 많이 내세운다고 수업시간에 배웠고 장기 환자들은 오히려 보호자들이 학생들보다 더 많이 안다고 들어와서, 정말 그런가.. 하는 생각을 가지고 실습에 임했었는데, 의외로 평소 생각했던 것보다 환아 엄마들의 지식이 많이 부족한 것 같아 교육이 많이 필요함을 새삼 깨달았다. 그리고 환아들에게 ,또 부모들에게 정서적 지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았다. 대수롭지 않은 말이지만, '오늘 어떠세요? 어제보다 괜찮아요?' 라는 말 한마디에 보호자들이 마음을 열고 나에게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털어놓는 것을 보니, 앞으로 더욱 신경써서 대상자와 보호자들에게 관심을보여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첫 실습이라 환아와 보호자와 친해질수 있을까.. 라는 걱정이 앞었었는데, 이제부터는 그런 걱정은 접어버리고 더욱더 적극적인 자세로, 그리고 항상 밝은 미소를 띈 모습으로 실습에 임하도록 하여야 겠다.
일시
진단번호
간호수행(SOAPIE)
서명
2004. 3.19
#5
S
"지민이가 설사를 자주해요"
"기침을 심하게 하면 구토도 해요"
O
·기침 후에 구토를 동반함
·잦은 설사(16일 3회, 17일 9회)
·자주 보채고 불안정해 보임
·체중감소(8020g 7620g)
A
잦은 구토와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
P
1. 탈수징후가 없으며 혈중 전해질이 정상범위에 있다.
1-1. 기침 후 구토를 동반하지 않는다.
1-2. 설사를 하지 않는다.
I
①활력징후 및 의식의 변화를 2-4시간마다 사정한다.
②구토의 양, 횟수, 토물의 양상, 설사횟수를 사정한다.
③탈수의 징후(건조한 점막, 눈 및 천문 함몰, 소 변량 감소)를 사정한다.
④수분의 섭취량/배설량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⑤동일조건(시간, 체중계, 옷, 수유상태, 배뇨상태)에서 매일 체중을 잰다.
⑥필요시 전해질 용액을 구강으로 섭취하고 주입속도를 지켜 정맥 수액요법을 한다.
⑦혈중 전해질 및 요 비중을 사정한다.
⑧필요시 거담제와 강장제를 투여하여 기침과 설사를 줄인다.
E
환아는 간간히 기침을 하고 구토는 더 이상 동반하지 않는다. 그리고 설사도 하지않으며 더 이상의 체중감소는 없고 안정되어 보인다.
참고자료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1995), 서울대학교출판부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2002), 현문사
http://medcity.com/jilbyung/bakilhae.html
http://heartclinic.pe.kr/text/1124.htm
(목차)
1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사례로 선택하게 된 동기
2전반적 질병과정
3문헌고찰
-성장발달 단계별 평균 달성 기준과 대상아동과의 비교
-백일해와 세기관지염
(원인 증상 치료 간호 예후)
-대상아동 관련 자료
(증상, 가정환경, 치료, 간호, 예방)
4투약
5간호과정(sopie틀)
-비효율적 호흡양상
-영양결핍
-비효율적 기도청결
-피부통합성 장애
-체액부족
키워드
추천자료
천식 간호사례 연구
호흡장애(폐렴) 대상자 간호실습-환자간호사례 연구
중환자실 간호사례 연구
사례연구(CRF)를 통한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만성신부전증 환자 임상 사례)
[간호사례 연구] 간호학 - 간암 case
지역사회간호학 사례연구, 만성질환자 파킨슨병
방문간호 사례연구, 가족사정, 가족간호과정
수근관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케이스 스터디 ( 수근관터널증후군 케이스, 수근관 ...
DKA, Diabetic ketoacidosis (당뇨병성 케톤산증 케이스, 당뇨병성 케톤산증 CASE, DKA CASE ...
백내장(Cataract) 케이스 스터디 A+ - (백내장 케이스 스터디, 백내장 간호과정, 백내장 간호...
A+ ) 자궁근종 (Uterine myoma) -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 자궁근종 CASE STUDY, 자궁근종 ...
A+) Stomach cancer, 위암 케이스 스터디, 위암 case, 위암 사례연구, 위암 간호과정, 위암 c...
성인간호 사례연구(case study)
성인간호 사례연구(case study) : 만성기관지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