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롤로그
2. 스탠리 큐브릭과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3.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감상 및 분석
4.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 관한 에피소드
5. 에필로그
2. 스탠리 큐브릭과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3.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감상 및 분석
4.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 관한 에피소드
5. 에필로그
본문내용
마지막 장면인 데이브의 재탄생에 이르기까지 탄생은 곧 생명의 존귀함과 과학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생명의 신비를 신에게 물을 수밖에 없는 인간존재의 미미함을 의미한다. 그래서 이 영화는 시종일관 자궁의 이미지와 태어나는 어린아이의 이미지로 가득 차 있다. 예를 들어 산소 튜브에 연결된 채 디스커버리호의 외부에 있는 송수신기를 고치는 프랭크나 데이브의 모습은 엄마와 탯줄로 연결된 아기의 모습과 놀랄 만큼 닮아있다.
그리고 기술의 진보에 따른 인간의 비안간화에 대한 문제는 인공지능 컴퓨터 HAL을 통해 잘 나타나고 있다. 과학문명의 발달은 곧 커뮤니케이션의 발달과도 그 맥을 같이 하는데 큐브릭은 이 커뮤니케이션의 기술이 발달할수록 그 성격이 간접적이 되고, 그에 대한 신뢰가 커질수록 진실은 왜곡되기가 쉽다고 보고 있다. 이 영화에서 21세기의 많은 사람들은 통신수단을 통한 간접적인 커뮤니케이션만을 행하며, 또한 HAL에 대해 절대로 실수를 저지르지 않는 완벽한 컴퓨터라는 절대적인 신뢰가 커져 커뮤니케이션의 왜곡을 낳고 결국 불행한 사고를 불러일으키게 된 것이다. 이처럼 이 영화는 점차 간접적으로 변해가는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인간적 유대관계는 점차 상실되어 가는 것을 비판하고 있다. 즉 인간의 진보는 도구·무기가 발견되고 만들어지는 과정과 일치하며 이러한 기술의 진보는 곧 인간의 비인간화를 낳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 영화는 메이저스튜디오가 만들어낸 사상 최고의 실험영화라고 할 수 있다. 6백만 달러로 시작된 대작 SF영화가 1천만달러짜리 언더그라운드영화로 탈바꿈 한 것도 기적이지만 SF영화가 이처럼 진지한 문명비판과 철학적, 종교적 주제를 심오하게 구현했다는 것도 영화사에 길이 남을 업적이다. 스탠리 큐브릭은 어떤 의미에서는 가장 완벽한 독립영화작가이다. 메이저의 돈을 끌어다 쓰면서도 그의 영화는 수시로 메이저영화의 관습을 벗어나고 있다. 이 작품에서도 그는 내러티브의 관습적 전개방식을 따르지 않고 있다. 경이로운 우주의 공간과 우주선의 기하학적 구도가 영화 전반부에 걸쳐 플롯보다 더 중요하게 제시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그의 방식을 통해 인류의 역사와 미래를 진지한 반성과 성찰, 그리고 희망과 기대 속에 효과적으로 조감할 수 있게 되었다.
※ 참고 자료
영화 속의 문화 / 김성곤 /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 아서 C. 클라크 / 황금가지
그 외 필름 2.0, 해피필름의 기사 인용
그리고 기술의 진보에 따른 인간의 비안간화에 대한 문제는 인공지능 컴퓨터 HAL을 통해 잘 나타나고 있다. 과학문명의 발달은 곧 커뮤니케이션의 발달과도 그 맥을 같이 하는데 큐브릭은 이 커뮤니케이션의 기술이 발달할수록 그 성격이 간접적이 되고, 그에 대한 신뢰가 커질수록 진실은 왜곡되기가 쉽다고 보고 있다. 이 영화에서 21세기의 많은 사람들은 통신수단을 통한 간접적인 커뮤니케이션만을 행하며, 또한 HAL에 대해 절대로 실수를 저지르지 않는 완벽한 컴퓨터라는 절대적인 신뢰가 커져 커뮤니케이션의 왜곡을 낳고 결국 불행한 사고를 불러일으키게 된 것이다. 이처럼 이 영화는 점차 간접적으로 변해가는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인간적 유대관계는 점차 상실되어 가는 것을 비판하고 있다. 즉 인간의 진보는 도구·무기가 발견되고 만들어지는 과정과 일치하며 이러한 기술의 진보는 곧 인간의 비인간화를 낳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 영화는 메이저스튜디오가 만들어낸 사상 최고의 실험영화라고 할 수 있다. 6백만 달러로 시작된 대작 SF영화가 1천만달러짜리 언더그라운드영화로 탈바꿈 한 것도 기적이지만 SF영화가 이처럼 진지한 문명비판과 철학적, 종교적 주제를 심오하게 구현했다는 것도 영화사에 길이 남을 업적이다. 스탠리 큐브릭은 어떤 의미에서는 가장 완벽한 독립영화작가이다. 메이저의 돈을 끌어다 쓰면서도 그의 영화는 수시로 메이저영화의 관습을 벗어나고 있다. 이 작품에서도 그는 내러티브의 관습적 전개방식을 따르지 않고 있다. 경이로운 우주의 공간과 우주선의 기하학적 구도가 영화 전반부에 걸쳐 플롯보다 더 중요하게 제시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그의 방식을 통해 인류의 역사와 미래를 진지한 반성과 성찰, 그리고 희망과 기대 속에 효과적으로 조감할 수 있게 되었다.
※ 참고 자료
영화 속의 문화 / 김성곤 /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 아서 C. 클라크 / 황금가지
그 외 필름 2.0, 해피필름의 기사 인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