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분쟁의 간략한 역사적 배경
Ⅱ) 직접적 원인
Ⅲ) 분쟁의 결과에 따른 피해
Ⅳ) 내부 갈등의 존재여부, 국제사회의 이해관계
Ⅴ) 문제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대한 평가
Ⅵ) 해결전망
Ⅱ) 직접적 원인
Ⅲ) 분쟁의 결과에 따른 피해
Ⅳ) 내부 갈등의 존재여부, 국제사회의 이해관계
Ⅴ) 문제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대한 평가
Ⅵ) 해결전망
본문내용
고분쟁은 단순히 내전 보다는 인접국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으므로 그 해결은 더욱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000년 회고 및 전망 : 유엔 평화유지군의 파병이 결정되었으나, 실질적인 파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1999년의 정전협정에도 불구하고,
) http://100.naver.com
RCD(콩고민주연합 Congolese Rally for Democracy. 비(非)아랍계 이슬람교 국가인 터키 이란 파키스탄 3국간의 지역협력개발기구)와
)
whatifi (2003-06-24 18:21 작성)
MLC(콩고해방운동 Liberation Movement of Congo)의 활동은 지속되고 있으며, 반군을 지원하는 르완다와 우간다가 개입하여, 상호 전투를 벌이는 등, 국제전으로 비화될 위험성도 안고 있다. 한편 콩고와 동맹관계를 맺고 있는 짐바브웨, 앙골라, 나미비아 등은 콩고내전이 장기화되자, 카빌라정권에 대한 지원을 중지할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12월초 정전협정 이행을 위해, 상호간의 완충지대 설정에 합의하고 있으나, 유엔감시단이 파견되더라도 상호간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해법은 아직 보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2001년 회고 및 전망 : 카빌라의 사망으로 콩고내전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었다. 카빌라의 아들 조셉 카빌라가 적극적으로 정전협상을 추진, 평화유지군의 배치가 진행되고 있음. 그러나 RCD반군과의 산발적인 교전이 보고되고 있음. 현재 콩고는 반군들에 의해 사실상 분할통치 되고 있어, 향후 이러한 군사적인 할거 현상이 어떻게 정치적으로 해결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참고
한국국방연구원
2000년 회고 및 전망 : 유엔 평화유지군의 파병이 결정되었으나, 실질적인 파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1999년의 정전협정에도 불구하고,
) http://100.naver.com
RCD(콩고민주연합 Congolese Rally for Democracy. 비(非)아랍계 이슬람교 국가인 터키 이란 파키스탄 3국간의 지역협력개발기구)와
)
whatifi (2003-06-24 18:21 작성)
MLC(콩고해방운동 Liberation Movement of Congo)의 활동은 지속되고 있으며, 반군을 지원하는 르완다와 우간다가 개입하여, 상호 전투를 벌이는 등, 국제전으로 비화될 위험성도 안고 있다. 한편 콩고와 동맹관계를 맺고 있는 짐바브웨, 앙골라, 나미비아 등은 콩고내전이 장기화되자, 카빌라정권에 대한 지원을 중지할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12월초 정전협정 이행을 위해, 상호간의 완충지대 설정에 합의하고 있으나, 유엔감시단이 파견되더라도 상호간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해법은 아직 보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2001년 회고 및 전망 : 카빌라의 사망으로 콩고내전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었다. 카빌라의 아들 조셉 카빌라가 적극적으로 정전협상을 추진, 평화유지군의 배치가 진행되고 있음. 그러나 RCD반군과의 산발적인 교전이 보고되고 있음. 현재 콩고는 반군들에 의해 사실상 분할통치 되고 있어, 향후 이러한 군사적인 할거 현상이 어떻게 정치적으로 해결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참고
한국국방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