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중국과 홍콩간의 교역증대 배경
-경제대국으로 급성장
-외국인 직접투자확대와 중국산업의 경쟁력 강화-아시아경제에 대한 영향력 증가
II. 양국간의 교역...
1. 중국 남부지역(광동성과 복건성)과의 교역을 통한 경제통합
2. 홍콩과 중국의 투자를 통한 경제통합
- 홍콩의 대중국 투자
- 홍콩의 중국남부지역에 대한 투자
- 중국의 대 홍콩투자
Ⅲ. 결론
-경제대국으로 급성장
-외국인 직접투자확대와 중국산업의 경쟁력 강화-아시아경제에 대한 영향력 증가
II. 양국간의 교역...
1. 중국 남부지역(광동성과 복건성)과의 교역을 통한 경제통합
2. 홍콩과 중국의 투자를 통한 경제통합
- 홍콩의 대중국 투자
- 홍콩의 중국남부지역에 대한 투자
- 중국의 대 홍콩투자
Ⅲ. 결론
본문내용
의하면 홍콩의 중자기업은 1995년 말 현재 1,757개사, 총자산액 425억 달러에 이르고 있으며, 이들은 홍콩 대외무역의 22%, 은행저축의 23%, 보험료 수입의 21%, 화물수송량의 25%, 대중국 관광수입의 50%, 총주식가액의 5%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 기업의 투자분야는 무역, 금융, 공업, 통신, 관광, 건설, 부동산, 노무, 출판, 소매업 등 다양한 범위에 걸쳐서 분포되어 있다. 이 중에서도 중자기업의 주요 활동영역은 무역과 금융업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는 1997년 말 현재 중국 수출입의 15.6%를 中資企業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도 잘 알 수 있다. 또한 금융부문에 있어서 중자기업의 활동영역 확대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이미 中銀集團은 홍콩화폐의 발행권을 확보, 英資銀行의 독점적 지위를 대체하면서, 중자기업의 역할제고를 대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들 중심으로 홍콩에 진출한 中資係 金融機關은 모두 90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중국의 홍콩투자 중 중자기업의 홍콩 증권시장을 통한 주식투자도 중요한 홍콩투자의 통로가 되고 있다. 홍콩 증권시장에 상장된 中資企業의 주식을 레드칩이라고 부르는데, 中資企業들은 레드칩의 상장을 통하여 중국 내 사업을 위한 자금을 조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자기업은 1996년 말 현재 모두 56개에 달하고 있는데, 이들 중 中國海外發展, 越秀投資 등 직접 상장한 일부기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홍콩 증시에 상장된 회사가운데 매매가 이루어지지 않던 회사를 매입하는 방식으로 상장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레드칩과는 별도로 중국 국유기업들의 홍콩 증권시장 상장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중국의 청도맥주가 1993년 홍콩 주식시장에 최초 상장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997년 4월까지 26개 중국 국유기업이 홍콩 주식시장에 상장하여, 총 44억 2천만 달러의 자금을 조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中資企業을 통한 중국의 대홍콩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홍콩과 중국의 경제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왔지만, 中資企業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극복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첫째, 홍콩내 자산의 증가문제이다. 中資企業의 자산은 총 425억 달러 수준으로 영국계 기업 자산의 1,100억 달러 수준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따라서 아직은 홍콩 내에서의 경제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데 한계가 있다. 둘째, 관리체제 상의 비효율성을 극복해야 한다. 이는 中資企業이 사회주의 비효율성을 내포하고 있는 중국의 기업이라는 측면에서 본질적으로 파생되는 문제이다. 홍콩과 같은 자본주의 경쟁체제에 대한 인식부족과 경영체제의 비효율성 등은 中資企業의 경쟁력 제고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다. 셋째, 중자기업 내의 임금제도의 비합리성은 中資企業의 홍콩 활동에 있어서 부패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즉 중자기업내 근무하는 홍콩인과 중국인의 임금격차는 중국인 노동자들의 부패발생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중자기업이 홍콩 내에서의 지위를 확보해 감으로써 홍콩과 중국의 경제통합에 더욱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Ⅲ. 결론
홍콩과 중국의 경제통합은 두 지역의 경제적 상호보완성을 점진적으로 극대화시킴으로써 성공적으로 실현되어 왔다. 홍콩과 중국의 경제통합 과정이 지닌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지역간의 경제통합 과정의 성격은 일반적인 경제통합과 다른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유럽경제통합, 북미경제통합 등은 회원국 상호간의 생산요소와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공통의 거대시장을 마련하는 데 두어져 있다. 그러나 홍콩과 중국의 경제통합 과정은 제조업생산의 국제화의 목적으로 추진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경제통합의 해당지역 시장에 대한 판매를 목적으로 합작생산이나 노동분업 등을 시도하기보다는 이를 통하여 제 3 국가 시장에 판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는 점이다. 홍콩이나 중국에서 생산된 상품들은 이 지역보다는 미국과 같은 제 3 국가로의 수출을 겨냥한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홍콩과 중국의 경제통합은 지역적으로 매우 한정된 범위에 국한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홍콩의 중국투자는 중국 남부지역의 광동성과 복건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양 지역에서의 경제통합을 통한 자원배분의 효과가 매우 제한적인 범위에서 달성될 수밖에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 지역에서의 산업적 전후방 연관효과는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셋째, 홍콩과 중국의 경제통합이 홍콩과 중국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추진되었기 때문에 중국과 서방선진국과의 무역마찰은 이 지역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으로 집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중국과 무역마찰을 보이고 있는 미국이 중국에 무역보복 정책을 취하거나 중국 정부가 자국의 무역정책상 무역통제정책을 추진할 경우 광동성과 홍콩이 가장 큰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된다는 점이다. 향후에도 홍콩과 중국의 경제통합은 지속적으로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두 지역에서의 경제적 격차와 부존자원의 상이성, 그리고 산업화정도의 차이 등이 여전히 크게 존재하여 상호보완성의 이익을 나누어 가질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홍콩과 중국의 경제통합도 향후에는 유럽경제통합과 같은 일반적인 경제통합의 경로를 밟아 갈 것으로 분석된다. 왜냐하면 이미 홍콩의 중국투자가 중국의 남부지역을 탈피하여 중국의 중북부와 내륙지역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였고, 양지역의 합작생산이나 투자목적이 중국내 생산과 제 3 국가 시장으로의 판매라는 이전의 고정된 틀에서 탈피하여, 통합지역내 생산과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방향으로 크게 변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경제적 통합의 속도도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이 세계무역기구의 가입을 앞두고 국내시장으로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있고, 국제적인 관례와 관습에 부합되는 법규와 제도를 빠르게 정비해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양 지역에서의 생산요소간 이동은 더욱 촉진될 것으로 보이며, 그만큼 양지역에서의 경제적 통합과정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Ⅲ. 결론
홍콩과 중국의 경제통합은 두 지역의 경제적 상호보완성을 점진적으로 극대화시킴으로써 성공적으로 실현되어 왔다. 홍콩과 중국의 경제통합 과정이 지닌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지역간의 경제통합 과정의 성격은 일반적인 경제통합과 다른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유럽경제통합, 북미경제통합 등은 회원국 상호간의 생산요소와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공통의 거대시장을 마련하는 데 두어져 있다. 그러나 홍콩과 중국의 경제통합 과정은 제조업생산의 국제화의 목적으로 추진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경제통합의 해당지역 시장에 대한 판매를 목적으로 합작생산이나 노동분업 등을 시도하기보다는 이를 통하여 제 3 국가 시장에 판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는 점이다. 홍콩이나 중국에서 생산된 상품들은 이 지역보다는 미국과 같은 제 3 국가로의 수출을 겨냥한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홍콩과 중국의 경제통합은 지역적으로 매우 한정된 범위에 국한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홍콩의 중국투자는 중국 남부지역의 광동성과 복건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양 지역에서의 경제통합을 통한 자원배분의 효과가 매우 제한적인 범위에서 달성될 수밖에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 지역에서의 산업적 전후방 연관효과는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셋째, 홍콩과 중국의 경제통합이 홍콩과 중국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추진되었기 때문에 중국과 서방선진국과의 무역마찰은 이 지역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으로 집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중국과 무역마찰을 보이고 있는 미국이 중국에 무역보복 정책을 취하거나 중국 정부가 자국의 무역정책상 무역통제정책을 추진할 경우 광동성과 홍콩이 가장 큰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된다는 점이다. 향후에도 홍콩과 중국의 경제통합은 지속적으로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두 지역에서의 경제적 격차와 부존자원의 상이성, 그리고 산업화정도의 차이 등이 여전히 크게 존재하여 상호보완성의 이익을 나누어 가질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홍콩과 중국의 경제통합도 향후에는 유럽경제통합과 같은 일반적인 경제통합의 경로를 밟아 갈 것으로 분석된다. 왜냐하면 이미 홍콩의 중국투자가 중국의 남부지역을 탈피하여 중국의 중북부와 내륙지역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였고, 양지역의 합작생산이나 투자목적이 중국내 생산과 제 3 국가 시장으로의 판매라는 이전의 고정된 틀에서 탈피하여, 통합지역내 생산과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방향으로 크게 변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경제적 통합의 속도도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이 세계무역기구의 가입을 앞두고 국내시장으로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있고, 국제적인 관례와 관습에 부합되는 법규와 제도를 빠르게 정비해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양 지역에서의 생산요소간 이동은 더욱 촉진될 것으로 보이며, 그만큼 양지역에서의 경제적 통합과정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