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방드르디 혹은 태평양의 끝』의 대략적인 내용
2. 『로빈슨 크루소』와 『방드르디 혹은 태평양의 끝』의 차이점 분석
3. 이러한 차이점이 왜 생겨났는가?
2. 『로빈슨 크루소』와 『방드르디 혹은 태평양의 끝』의 차이점 분석
3. 이러한 차이점이 왜 생겨났는가?
본문내용
비하여 미셸 투르니에의 『방드르디 혹은 태평양의 끝』에서 보여지는 방드르디의 모습은 어떠한가. (여기서 우리는 미셸 투르니에가 슬픈 열대의 저자인 레비스트로스의 지도를 받았음을 상기하여야 할 것이다. 슬픈 열대와 방드르디는 기본적인 시각이 일치한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방드르디는 노예의 한계를 극복하고 로빈슨에게 새로운 삶을 가르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혀 본질이 다른 방드르디의 존재방식은 로빈슨이 설치해 놓은 서구문명의 문화적 질서의 붕괴와 보편적 인간의 승리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로빈슨은 방드르디가 형제가 되어 평화롭게 삶을 영위해 나가며, 인간의 자연적 본성을 서서히 되찾아 간다. 이것은 다니엘 디포우의 작품에서 드러난 식민주의적 세계관을 비판함과 동시에 방드르디라는 피식민주의의 세계의 인물로서 식민주의적 세계관을 파괴하고 서구 우월주의라는 거짓이념을 해체시켰다. 지배-피지배 관계를 무너트림은 제 3세계에 복종과 침묵만을 강요해운 서구문화의 자기반성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서 미셸 투르니에는 야만과 문명 사이의 갈등이 존재하지 않는 낭만적 놀이의 삶 속에서 그가 지양하고자 하는 바에 대한 해답을 찾고 있는 것이다.
추천자료
미국 원주민 선교
영화 ‘쇼생크 탈출’ 속에 철학적 의미 찾기
샌프란시스코 - 다리 여행- 베이교
세계해변정보
생선(일식)의 특징
[해양오염][바다오염][환경오염][기름유출]해양오염(바다오염)의 오염원, 기타해양오염(기타...
해외 배낭여행 지원 보고서 (유럽의 화장품 탐방 : 선발되어 실제 지원받음)
[독후감,독서감상문,레포트]어머니 저는 해냈어요
한미FTA
영화평론 - 바스터즈
[여가론] 유형별 뉴 스포츠에 관해서
[미일, 미국, 일본]미일안보역할(미국과 일본의 안보역할), 미일관계(미국과 일본의 관계), ...
일본의 자연
역사의연구_소개 및 내용요약, 감상문.hw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