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건강에 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들어가기에 앞서

본론
1. 노인의 건강을 파악하는 개념들
1) 신체적 건강
① 건강상태
② 생활동작상태
2) 정신적 건강
3) 정서적 건강
2.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
3. 재가서비스이용과 욕구
4.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실태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25.2
32.6
30.9
22.6
7.1
0.0
30.5
23.4
24.2
13.2
비용지불 이용
0.1
0.7
0.0
0.0
0.0
0.0
0.0
0.0
0.0
0.0
전 체
100.0
(827)
100.0
(144)
100.0
(110)
100.0
(558)
100.0
(14)
100.0
(1)
100.0
(203)
100.0
(205)
100.0
(153)
100.0
(114)
방문간호사를 이용할 의사가 있는지에 대하여 ‘이용할 생각이 없다’ 74.7%, ‘무료라면 이용하겠다’ 25.2%,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이용하겠다’ 0.1%인 것으로 나타나 방문간호사는 가정봉사원보다 이용의사가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가구구성과 관련하여서는 기타가족과 자녀동거 가구일수록 방문간호사에 대한 이용의사가 없는 비중이 높았고 노인단독가구와 노인부부가구일수록 무료라면 이용하겠다는 의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과 관련하여서는 150만원 이상의 가구일수록 방문간호사의 이용의사가 낮았고 50만원 미만의 낮은 소득을 가진 가구의 응답자일수록 무료라면 이용하겠다는 의사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4.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실태
노인들의 경우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보건의료서비스의 이용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
<노인이 이용하고 있는 보건서비스내용(중복 응답)>
일반노인이 이용하고 있는 보건서비스 내용
사례수
%
병 의 원
보 건 소
방문간호 (무료)
가정간호 (유료)
가정봉사원
복지관 물리치료실 (기능회복실)
기 타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 없음
554
253
3
1
2
116
53
121
50.2
22.9
0.3
0.1
0.2
10.5
4.8
11.0
합 계
1103
100.0
현재 건강과 관련하여 받고 있는 서비스를 모두 응답하라는 질문에 대해 응답노인 중 과반수를 약간 상회하는 50.2%가 ‘병의원’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보건소’ 22.9%, ‘복지관 물리치료실(기능회복실)’ 10.5%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노인 중 과반수가 병의원을 이용하고 있고 보건소의 이용 빈도도 매우 높았다.
건강 및 보건서비스 이용실태에 있어서 건강상태는 나쁘다고 응답하여 상당수 노인들이 퇴행성질환 등 질병으로 건강이 좋지 않아 노인들의 건강유지가 매우 중요한 과제임을 보여주고 있고 과반수가 병의원을 다수 이용하고 있지만 보건소나 복지관을 이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가정봉사원이나 방문간호사의 이용의사는 높지 않았다.
건강과 관련하여 현재 건강상태는 74.2%가 나쁘다고 하여 전체 노인들의 3/4정도가 각종 퇴행성질환 등 질병으로 인해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개월 이상 앓고 있는 질병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퇴행성 질환인 관절염신경통류마티즘으로 전체 노인의 32.0%가 앓고 있었다.
가정봉사원 이용의사에서 81.5%는 이용의사가 없었으며 무료라면 이용하겠다는 비중이 18.5%로 나타났다. 방문간호사는 74.7%가 이용의사가 없었으며 무료라면 이용하겠다는 비중이 25.2%로 나타났고 유료사용이라도 하겠다는 비중은 0.1%에 불가하였다.
맺음말
노년기의 건강은 신체적 및 정신적 측면에서의 건강의 저하와 의존성의 증대로 요약될 수 있다. 노인의 건강 저하는 질병상태의 증가뿐만 아니라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의 약화를 포함하여, 객관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주관적인 차원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또한 노인들의 생활양식을 살펴보면, 건강검진율도 낮고, 영양섭취상태도 권장량에 훨씬 미달하고 있으며, 운동실천율 또한 낮다.
이 조사를 통해 노인들이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노인들 자신 또한 사회에서 약한 존재란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노인들이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 건강관리에 소홀함을 알 수 있었다.
소득 수준에 따라 보조기의 사용이나 그 외 건강관리나 검진, 치료 상태도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노년기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치료중심의 접근에서 적절한 생활양식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예방적 접근으로의 보건의료체계의 방향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노인복지 대상을 저소득노인 위주의 사업에서 탈피하여 전체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노인복지정책 개발하여야겠다.
잘 모를 수 있는 무료 건강검진 등도 홍보하여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하며 국한된 의료보험에서 벗어나 좀더 광범위하게, 의료보험 혜택을 늘리도록 해야한다. 노인들의 병을 살펴보면 의료보험이 안되는 병이나 약이 있어서 약값이 없거나 병원비가 없어 치료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아파도 돈이 없어 병원에 가지 못하는 그런 설움은 겪지 않도록 정부에서 저소득층 노인들에게 무료의료서비스 제공이나 기금을 마련하여 도울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 같다.
노인들의 건강을 보장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장노년층의 중증질환을 조기에 검진하여 적절하게 예방할 수 있도록 공공보건의료의 질병관리와 건강증진 기능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노인들이 갖는 질병 중에는 보험이 안되어 비싸서 약도 제대로 못쓰는 경우가 있는데 좀더 폭넓게 보험이 영향을 미칠 수 있었으면 한다.
◎ 참고 문헌 ◎
노인의 현실과 노인복지개혁의 관제 / 문선화 외 / 세종출판사 / 2002
변화하는 노인의 삶과 노인복지 / 김두섭 / 한양대학교 출판부 / 2001
건강길라잡이 / http://healthguide.kihasa.re.kr/
한국 노인복지의 실태와 개선방향 / http://blog.naver.com/hs72hs72/60006292060
노인건강문제(Old004)/ http://blog.naver.com/report04.do?Redirect=Log&logNo=100005938999
고령화 시대의 노인의 보건의료 문제와 대책(신문기사임)/
http://blog.naver.com/turn4/80003334830
기타등등...
들어가기에 앞서
본론
1. 노인의 건강을 파악하는 개념들
1) 신체적 건강
① 건강상태
② 생활동작상태
2) 정신적 건강
3) 정서적 건강
2.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
3. 재가서비스이용과 욕구
4.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실태
맺음말
참고문헌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8.09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0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