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의 변화와 가족복지(Changes of the Family and Family Welfare) - 노인가정, 모자가정, 청소년가정, 장애인 가정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의 변화와 가족복지(Changes of the Family and Family Welfare) - 노인가정, 모자가정, 청소년가정, 장애인 가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가족복지의 개념과 유형

3. 우리나라의 가족복지정책

4. 가족의 복지현황과 복지욕구
1) 노인 가정의 복지현황과 복지욕구
(1) 병든 노인과 가족
(2) 건강한 노인과 가족
(3) 노인과 가족 구성원간의 갈등
(4) 노인과 복지욕구
2) 장애인가정의 복지현황과 복지욕구
(1) 자녀 장애인 가정
(2) 부모 장애인 가정
(3) 장애인 가정의 심리적 고충
(4) 장애인 가정의 복지욕구
3) 모자가정의 복지현황과 복지욕구
(1) 경제적으로 홀로서기
(2) 자녀양육
(3) 모자가정의 복지욕구
4) 청소년가정의 복지현황과 복지욕구
(1) 청소년의 생활 현황
(2) 시간 활용
(3) 청소년가정의 복지 욕구

5. 결론

본문내용

에는 경제적 어려움이나 노인으로 인한 가족구성원간의 심리적 갈등은 크지 않은 편이다. 반면 노인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경제적 어려움이나 가족구성원간의 갈등이 증폭되는 편이다. 병든 노인 부양으로 인한 가족 구성원간의 갈등은 중산층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지만, 극빈, 빈곤 가족에서도 마찬가지로 관찰되고 있다. 현재 노인부양은 부계가족을 위주로 여성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며느리와 시어머니의 경우 나타나는 심리적 갈등을 며느리에 대한 비난으로 넘어갈 수는 없는 것이다. 며느리의 심리적 갈등과 고충을 이해하고 이들의 역할을 보완하는 가족복지 서비스의 확대가 요구된다.
장애인 가족의 경우 빈곤상태에 처해 있는 경우가 많다. 사회적 편견으로 많은 좌절을 겪었고 이러한 편견을 의식한 이들 가족의 어려움 또한 적지 않다. 현재 장애인들에게는 장애 정도에 따라 등급이 부여되고 이것에 따라서 수당이 지급되고 있는데, 이들은 이러한 방식보다는 장애인이 처해 있는 가족의 전체적 어려움을 고려해 주기를 바란다. 부양가족의 연령, 수 등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가족의 사정을 평가하여 지원해 주기를 바란다.
모자가정의 어려움은 이혼이나 사별, 미혼모가 되어 혼자서 가족의 생계를 스스로 책임지면서 자녀양육도 해야한다는 점이다. 조사대상 대부분의 여성들은 결혼기간 동안 전업주부인 경우가 많았고 혼자된 이후 생계에 필요한 직업 기술이나 취업에 대한 정보를 얻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직업경력이 없는 모자가정의 여성들이 먼저 택하는 취업은 공공근로이다. 공공근로에서 벗어나서 일을 하게되는 경우는 음식관련 업종에 종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들이 원하는 것은 자녀양육을 위한 안정된 여건과 전문적 일자리이며, 취업관련 전문적 기술교육을 받고 싶어한다.
조사대상 모든 계층의 청소년 대부분이 당면하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 학업성취와 진학을 꼽았다. 극빈, 빈곤 가족의 경우자녀의 학업성취를 돕기 위한 사교육지원능력이 없는 것이 큰 고민이었다. 복지관에서의 학습보조서비스를 이용한 한 학생은 서비스의 내용과 질이 높지 않았던 것이 불만이었다. 청소년들은 여가를 PC방이나 노래방에서 친구들과 보내거나 집에서 TV를 보며 보냈다. 청소년들의 건전한 여가사용에 대한 복지욕구는 적지 않은데, 복지관 같은 데서 교양강좌 개설이나 춤, 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기를 바랬다. 또 지방의 학생들은 문화시설이나 학업관련 정보가 서울보다 뒤떨어지는 것에 불만이 많았고 이것을 보완하는 공적 서비스 제공을 기대했다. 또 양서를 접할 수 있는 도서관 시설의 확장을 원했고 컴퓨터 설비를 공공장소에서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기를 바랬다.
가족에만 의존했던 가족복지에서 벗어나 이제는 사회적 차원의 가족복지 서비스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또 한계계층만을 대상으로 한 제한적 서비스 제공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복지에 대한 욕구가 계층별로 차이가 있음을 검토하였고 계층별로 다양한 욕구를 수용할 수 있는 보편적 가족복지 서비스의 확충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참고문헌
김성천(1985), "가족복지의 이론체계 구성을 위한 일 연구," <사회복지> 여름호.
변용찬(1995), "가족복지서비스 기능 강화(Ⅱ)," 한국보건사회연구원편, ≪한국적 복지모형의 정 립과 정책방향: 단기정책연구(Ⅱ)≫ pp. 168-18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특별시(1997), <서울시 사회복지 기초수요조사 및 정책연구>.
신도철(1996), "가족정책 관련 재정," ≪한국가족정책의 이해≫, pp. 203-224, 학지사.
이혜경(1996), "한국 가족정책 대안의 선택과 정부·민간의 연계," ≪한국가족정책의 이해≫, pp. 225-236, 학지사.
장경섭·조흥식·이미정·박경숙(2000) <가정단위 복지서비스 체계 구축>, 보건복지부.
정경희·서미경(1996),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조흥식·김인숙·김혜란·김혜련·신은주(1997), ≪가족복지학≫, 학지사.
최성재(1995), "복지국가와 가족," 한국가족학회편 복지국가와 가족, 하우.
Kamerman, S. B., and A. J. Kahn (1978), Family Policy: Government and Families in Fourteen Countrie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Pecora, P. J., Fraser, M., Melson, K, McCroskey, J. and Meezen, W. (1992), Evaluating Family-Base Services, New York: Aldine De Gruyter.
Zimmerman, S. L. (1995), Understanding Family Policy, Newbury Park, CA: Sage.
각 주
1 전공분야: 가족사회학(Family Socialogy), 여성사회학(Women's Studies), 노동사회학(Industrial Sociology)이다. 주요저서와 논문으로는 Women’s Educations, Work, and Marriage in Korea (1998); "Why do Some Women Participate in the Labor Market while Others Stay at Home?" (1997), "가족내 성차별적 교육투자" (1997) 등이 있다. Major Field: Family Sociology, Women's Studies, Industrial Sociology. Major Publications: Women’s Education, Work, and Marriage in Korea (1998); "Why do Some Women Participate in the Labor Market while Others Stay at Home?" (1997); Gender-Diffential Educational Investment Within Family(1997).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5.08.10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2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