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과학기술자의 도덕적 사회적 책임
3. 결론
2. 과학기술자의 도덕적 사회적 책임
3. 결론
본문내용
사회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과학기술학을 대학에서 체계적으로 가르쳐 학생들로 하여금 자기가 하는 일이 이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게 하고 과학기술자로서 가져야 되는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도록 도와 주어야 한다. 과학기술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과학기술은 무엇이며 어떤 방향으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한지, 과학기술자는 이 사회에서 특수한 신분을 가진 구성원으로서 어떤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어떠한 책임과 의무를 지고 있는지, 비단 과학기술에 종사하는 과학자뿐 아니라 일반 시민들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과학기술학이 활성화 되어 과학기술자들이 사회의 책임 있는 구성원으로써 활동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만 할 것이다.y
참고 문헌 : 과학 종교 윤리의 대화, 최재천 저, 궁리 출간
참고 문헌 : 과학 종교 윤리의 대화, 최재천 저, 궁리 출간
추천자료
생명체의 복제
유전자복제기술
(독후감) 피터 드러커의 Next Society 를 읽고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과학기술 사회의 인권 문제와 연구 윤리
‘유전자 재조합 식품’은 무엇이 문제이며, 어떻게 해결해 나가야 하는가
유전자 재조합 식품은 무엇이 문제이며 어떻게 해결해 나가야 하는가?
Piaget의 인지발달이론과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의 이론 비교
영국 최고의 풍자 문학 걸리버 여행기 분석
GMO(유전자조작식품)이란~~
유아발달심리 - 생물학적 발달
[생명윤리]과학기술 발달로 인한 생명의 윤리적 문제들과 논쟁
[독서지도]독서지도(독서교육)의 개념, 중요성, 독서지도(독서교육)의 기본방침, 독서지도(독...
사회조사와 연구윤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