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리학 의 정의 및 목적
2. 심리학의 접근 방법(5가지)
3. 교육 심리학의 개념
4. 발달의 원리
5. 프로이드의 심리학적 발달
6. 에릭슨의 심리사회적발달
7. 학습동기를 유발 시키기 위한 구체적 방법
8. 학생의 심리적 개인차
9. 행동주의 의 학습 이론
10. 행동주의 학습 이론의 교육 설계 시사점
2. 심리학의 접근 방법(5가지)
3. 교육 심리학의 개념
4. 발달의 원리
5. 프로이드의 심리학적 발달
6. 에릭슨의 심리사회적발달
7. 학습동기를 유발 시키기 위한 구체적 방법
8. 학생의 심리적 개인차
9. 행동주의 의 학습 이론
10. 행동주의 학습 이론의 교육 설계 시사점
본문내용
1) 심리학 의 정의 및 목적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정신 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 하는 학문이다”
목적: 인간의 심리와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 하하고 통제 하려는 학문적 목적과 이러한 결과를 이용해 인간과 사회의 복지를 증진시키고, 궁극적으로 인간과 사회의 진리와 선을 달성하고자하는 이상적 목적.
2) 심리학의 접근 방법(5가지)
1==신경 생물학적 접근:인간은 고등 동물이라는 전제하에 인간의 신경계,염색체,호로몬,해부학적구조,뇌,유전을 연구 하는 심리학적 접근방법
2==행동적 접근: 환경 결정론적 접근 방법
3==인지적 접근 방법: 외부환경의 수동적 반응체가 아닌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정보를 받아들여 새로운 형태와 범주에 전환 시키는 능동 적인 존재로 보는 접근 방법.
4==정신 분석적 접근: 인간의 행동을 무의식적인 과정으로 설명하며 인간의 정신을 분석 하는 접근방법.
5==인본주위적 접근 방법: 개인이 자신과 세상에 대해 가지고 있는사회적 관점이나 생각, 즉 주관적으로 경험 하는 개인의 현상 세계를가장 중요하게 생각 하는 것.
3) 교육 심리학의 개념
1==광의 의 교육심리: 심리학상의 여러 개념, 원리, 법칙, 혹은 이론과 방법을 적용하여 교육문제를 연구 하는 학문.심리학적으로 교육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려는 학문.
2==협의 의 교육심리: 교육이 일어 나는 대표적 상황인 학교에서 교사는 가르치고 학생은 배우는 교육적 과정인 교수(teaching)과 학습(learning)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를 일컫는다.
4) 발달의 원리
인간의 발달은 어느정도 규칙성을지닌다.
--발달은 성숙(유전)학습(환경)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발달은 일정한 발생학적 순서를 따른다.
--발달은 계속적 과정이나 발달 속도는 일정 하지 않다.
--발달의 각 측면은 상호 관련적이다.
--발달에는 개인차가 있다.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정신 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 하는 학문이다”
목적: 인간의 심리와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 하하고 통제 하려는 학문적 목적과 이러한 결과를 이용해 인간과 사회의 복지를 증진시키고, 궁극적으로 인간과 사회의 진리와 선을 달성하고자하는 이상적 목적.
2) 심리학의 접근 방법(5가지)
1==신경 생물학적 접근:인간은 고등 동물이라는 전제하에 인간의 신경계,염색체,호로몬,해부학적구조,뇌,유전을 연구 하는 심리학적 접근방법
2==행동적 접근: 환경 결정론적 접근 방법
3==인지적 접근 방법: 외부환경의 수동적 반응체가 아닌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정보를 받아들여 새로운 형태와 범주에 전환 시키는 능동 적인 존재로 보는 접근 방법.
4==정신 분석적 접근: 인간의 행동을 무의식적인 과정으로 설명하며 인간의 정신을 분석 하는 접근방법.
5==인본주위적 접근 방법: 개인이 자신과 세상에 대해 가지고 있는사회적 관점이나 생각, 즉 주관적으로 경험 하는 개인의 현상 세계를가장 중요하게 생각 하는 것.
3) 교육 심리학의 개념
1==광의 의 교육심리: 심리학상의 여러 개념, 원리, 법칙, 혹은 이론과 방법을 적용하여 교육문제를 연구 하는 학문.심리학적으로 교육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려는 학문.
2==협의 의 교육심리: 교육이 일어 나는 대표적 상황인 학교에서 교사는 가르치고 학생은 배우는 교육적 과정인 교수(teaching)과 학습(learning)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를 일컫는다.
4) 발달의 원리
인간의 발달은 어느정도 규칙성을지닌다.
--발달은 성숙(유전)학습(환경)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발달은 일정한 발생학적 순서를 따른다.
--발달은 계속적 과정이나 발달 속도는 일정 하지 않다.
--발달의 각 측면은 상호 관련적이다.
--발달에는 개인차가 있다.
추천자료
[심리이론적용]심리학-하지말라면 더 하고싶은 심리
정신분석학, 인본주의 심리학, 행동주의 심리학
[설득의 심리학] 사람을 움직이는 6가지 원칙 설득의 심리학에 대한 상세 분석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 심리사회적 발달, 자아심리학
현대사회 패션 심리학 갸루에 대한 조사 & 복식심리학 갸루정리
칼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과 지그문트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의 차이점을 간단히 설명하고 ...
“행동주의 심리학의 초석을 놓았던 심리학자들”- 왓슨(John Broadus Watson)과 손다이크(Edwa...
[인간과심리 공통] 1. 심리학의 주요 이론 중 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본주의...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개인심리학 혹은 아들러 심리치료의 창시자인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미디어에 보도된 수많은 심리학 관련 연구는 그 해석 방식에 따라 연구결과의 의미가 다르게 ...
미디어에 보도된 수많은 심리학 관련 연구는 그 해석 방식에 따라 연구 결과의 의미가 다르게...
지금까지 공부한 심리학 분야들이 적용된 광고들을 찾아보고 그 안에 등장하는 심리학적 이론...
[심리적 노화] 노화의 심리학적 이론 심리적 노화의 개념과 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