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B의 모든것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MB의 모든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DMB 란 무엇인가
(1) 지상파DMB
(2) 위성DMB

2. 국내외의 DMB 기술 개발현황과 사례
(1) 국내의 DMB 기술 개발 동향
(2) 국내의 DMB 사업 사례
(3) 해외의 DMB 기술 개발 동향
(4) 일본의 DMB 사업 사례

3. DMB 도입 및 기술표준화 추진 현황
(1) 지상파DMB의 기술표준안
(2) 위성DMB의 기술표준안
(3) DMB 기술의 표준화에 대한 앞으로의 논의 사항들
1) 지상파 DMB의 기본 오디오와 비디오용 오디오호환성 확보 논의
2) 지상파와 위성 DMB 비디오 규격 호환성 확보 논의
3) 위성 DMB 기술표준 보완 요구 관련
4) 데이터 서비스 규격 관련
5) 지상파 DMB 규격의 국제표준화 추진

4. 향후 전망
(1)지상파 DMB의 전망
(2) 위성 DMB의 전망

본문내용

본 규격은 국제표준화기구 교통전문위원회(ISO TC 204 WG10)에서 국제 표준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국내는 2002년부터 산업자원부에서 KS 국가기술표준으로 제정을 추진 중에 있다.
5) 지상파 DMB 규격의 국제표준화 추진
현재 제정이 추진되는 지상파 DMB 서비스 규격은 Ereka-147을 근간으로 한 것이나 동영상 서비스를 위한 규격은 관련 요소기술들을 바탕으로 개발한 새로운 서비스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지난해 말 TTA에서 World-DAB Forum 의장단과 실시한 세미나 시연 때 DMB 시연을 참관한, Forum 의장단도 지대한 관심을 표명한 바 있다. 동영상 서비스규격과 함께 향후 개발될 데이터 서비스 규격 역시 우리의 발전된 IT 기술을 바탕으로 진일보된 규격으로 개발되어 국제표준으로 추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고, DMB 기술의 국제표준화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DMB PG 내에 이를 전담할 전담반의 구성도 완료하였으며, 좋은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4. 향후 전망
(1)지상파 DMB의 전망
지상파 매체를 통한 디지털 라디오방송이 2003년 10월에 수도권부터 실시되고 있다. 초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은 오디오와 데이터 위주의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으나, 2005년 초에는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까지 포함한 멀티미디어 방송(DMB)으로 확대 추진될 예정이다. 2005년 초경 DMB관련 주요 기술 개발완료 예정(DMB Baseband칩셋, 저전력 Dualband RF 칩셋, 고효율 안테나, 디지털 amp 및 speaker 등)에 있다. DMB는 CD 수준의 오디오는 물론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동수신을 통한 방송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특화 하여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MB는 소비자의 방송서비스 선택의 폭을 넓히고, 이동 중 수신을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이용이 가능하여 관련 산업에의 파급효과가 클 것이다. 2004년부터 2009년까지의 지상파 DMB의 서비스 시장규모는 2000억 원 이상이고, 단말기 시장규모는 1조9000억 원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국내에서 주도적으로 시도하는 멀티미디어 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해 세계시장을 주도하겠다는 정책적 의지도 가세해 정부차원의 기술개발 및 산업화 지원도 이루어 질 것이다. 그러나 2003년 말 오디오서비스, 2004년 동영상 멀티미디어 서비스 실시 등 정보통신부에서 제시한 주요 서비스 추진 일정에 맞춘 방송사의 방송장비 확보 및 서비스 실시와 그에 상응하는 수신기능을 갖는 단말기의 개발 및 원활한 시장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질 지는 미지수이다.
(2) 위성 DMB의 전망
위성 DMB의 주파수는 유일하게 국제전기통신연합 (ITU)의 출력제한 규정 제약을 받지 않아 소형 휴대단말기로 이동수신이 가능하다.
무궁화 위성 대비 16배의 출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위성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 (L, S, C, Ku, Ka Band 등) 중 이동수신에 가장 적합하며, 강우감쇠에 따른 품질저하도 없다. 국내에서는 최근 KT가 위성DMB용 주파수를 획득함으로써, 모두 50MHz 주파수 대역(SK Telecom 2,630~2655MHz, KT 2.605~2630MHz)을 확보하였다.
SK Telecom의 경우, 사용 주파수 대역은 송출센터에서 위성 (동경 144°)간은 Ku-band (13,824~13,883MHz)를, 위성 (또는 갭 필러)에서 단말기간은 S-band (2,630~ 2,655MHz), 위성에서 중계기 (갭 필러)간은 Ku-band (12,214~12,239MHz)를 사용한다.
위성 DMB는 언제,어디서나,원하는 Contents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개인시청' 의 방송으로 기존 방송의 서비스 영역을 침범하는 서비스가 아니라 오히려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 이유는 지상파 방송3사의 프로그램이 위성 DMB를 통해 전송된다면, 이는 지상파 방송의 시청시간과 공간을 출,퇴근 시간대 지하철 안으로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위성 DMB는 이미 이동형, 개인형 방송으로 자리잡은 기존 라디오 방송에는 매우 위협적일 것이다. 위성 DMB는 FM방송보다 음질이 좋고 CD수준의 음질이 가능하며, 채널 수도 훨씬 다양하기 때문이다. 기존의 위성방송인 스카이라이프는 위성 DMB의 파급효과를 다각도로 검토하면서 위성 DMB와의 '윈윈방안' 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위성 DMB와 스카이라이프가 손을 잡는다면, 위성방송의 진영의 ‘연대’로써 전체 방송시장의 판도 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위성 DMB는 이동전화와 동일한 CDM (Code Division Multiplexing)기술을 체택하여 일반 이동전화기능을 구현하면서 방송서비스가 가능한 통신과 방송의 대표적 융,복합 상품이다. 이는 기존의 이동통신시장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SK Telecom과 협력해 현 800MHz 셀룰러 대역의 이동전화 단말기와 위성 방송수신이 가능한 결합단말기의 상용제품을 오는 내년 1월경 출시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후발 사업자인 KTF와 LG Telecom의 1.8GHz PCS대역과 연동하는 위성 DMB 단말기 개발계획은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다.
참 고 문 헌
1. 지상파 DMB를 위한 다중화 연구
김승용 / 서울시립대 대학원 [2004]
2. 위성 DMB 표준화를 위한 기술적 분석에 관한 연구
박강욱 / 서울시립대 산업대학원 [2004]
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구성 요소 분석 및 응용 서비스 방안 연구
황진하 / 충남대 산업대학원 [2004]
4. DMB 도입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DMB의 특성과 제반 쟁점을 중심으로
박창신 / 서강대 언론대학원 [2003]
5. 지상파 DMB가 위성 DMB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김종윤 / 서울산업대 산업대학원 [2003]
6.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전송 방식에 대한 성능 개선방안
권병훈 / 한국항공대 대학원 [2003]

키워드

유비쿼터스,   디엠비,   cdma,   dmb,   DMB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8.27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10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