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 아동의 비장애 형제, 자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제 제기

2) 비 장애 형제, 자매의 현황과 특징

3) 비 장애 형제, 자매들의 시기별 경험

4) 비 장애 형제, 자매를 위한 전략이나 대책

5) 장애 아동과 비 장애 형제, 자매와의 좋은 관계 형성을 위한 노력

6) 결론

본문내용

하며, 상호 작용하는 방법과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해준다.
■ 아이가 장애형제 때문에 소외당한다는 느낌이 들지 않도록 함께 보내는 시간의 질적 균형을 맞춘다. 또 아이에겐 자신만의 활동을 할 수 있는 시간을 보장해준다. 그와 동시에 장애형제와 함께 하는 시간도 가지도록 하고 때로는 다른 장애인과 어울릴 수 있느 자원봉사 활동에도 참여하게 한다.
■ 가족들끼리 장애형제에 대한 솔직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토론의 시간을 가진다.
■ 장애형제를 둔 아이들의 모임에 참여하게 하거나 장애아를 둔 가족끼리 모임을 가질 경우에도 같은 처지에 있는 아이들끼리 서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게 해준다.
■ 부모와 한 팀이 되어 장애형제를 돕는 역할에 대해 자부심을 갖게 한다.
6) 결론
장애 아동이 있는 가정의 경우 정상적인 가정과는 다른 형태의 생활 패턴을 보여주게 된다. 가족의 중심은 장애 아동이 되어버리며 그에 따라 모든 가족 구성원의 가치관과 형태, 상호작용 등이 달라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모의 관심이 오로지 장애아동에게 쏠려 있는 경우 소외감과 애정결핍으로 인해 비 장애 형제, 자매는 정신적, 감성적 상처를 받게 된다. 이는 장애아동이 있는 가족 전체에 악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부모의 적절한 양육방식과 태도는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균열이 생기지 않고 사랑으로 장애를 감싸 안을 형제, 자매와 가족의 화합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장애 아동이 겪는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인 고통은 장애를 겪지 않고는 모두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장애인 세상을 견디며 살아갈 수 있는 것은 그들의 곁에는 항상 그들을 사랑으로 보살펴 주고 세상에서 누구보다도 든든한 부모님과 형제, 자매가 있을 때 가능한 것이다.
대부분의 장애인 복지 프로그램의 현황을 보면 주로 장애아동의 어머니에 국한되어 있다. 이것은 아동의 주 양육자가 주로 어머니라는 점에서 보면 일면 이해할 수 있지만 장애 아동에게 영향을 주는 것은 어머니뿐이 아니다. 가족 중심의 측면에서 이해하여 아버지나 형제 등으로 확장시켜 나갈 필요가 있고 그에 적절한 프로그램과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 참고 자료 및 문헌 >
양숙미. 장애인 가족의 역량 강화와 가족지원 모델
안범현. 형제관계- 그 영원한 관계
김용득, 유동천. 1999. 한국 장애인 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http://blog.naver.com/olivia0501/80006485774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8.30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12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