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모의 현황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미혼모가족의 개념
1) 미혼모 가족의 정의 -------------------------------------------3
2) 미혼모 가족의 역사 -------------------------------------------3
2. 미혼모가족의 발생원인
(1) 초기의 심리학적 관점 ----------------------------------------4
(2) 생태학적인 관점 ---------------------------------------------4
3.미혼모 발생의 부정적 영향 -------------------------------------6
4. 미혼모와 청소년의 성의식
Ⅰ, 미혼모의 성과 친권포기에 관한 의식 --------------------------7
Ⅱ. 청소년 성문제의 배경 ----------------------------------------9
Ⅲ. 청소년 성의식 조사-------------------------------------------12
5. 미혼모의 실태와 문제
1) 미혼모의 현황 및 실태 ----------------------------------------17
2) 미혼모의 일반적 특성 -----------------------------------------18
3) 미혼모의 문제와 영향 -----------------------------------------19
6. 미혼모에 대한 사회복지 현황과 문제점
1) 미혼모에 대한 사회복지 현황 ----------------------------------20
2) 미혼모에 대한 사회복지 문제점 --------------------------------23
7. 외국의 미혼모 복지제도의 현황 --------------------------------24
8. 미혼모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대책
1) 법적, 제도적 정비 --------------------------------------------26
2) 재정적 지원의 합리화 -----------------------------------------27
3) 서비스인력의 전문성 확보 -------------------------------------27
4) 서비스내용의 다양화, 전문화 ----------------------------------27
※ 미혼부모를 위한 사회대책--------------------------------------29

Ⅲ. 결 론-----------------------------------30
Ⅳ. 참고문헌
※ 미혼모 관련 기사자료 ----------------------------------------32

본문내용

봐야 합니다. 개인적인 상처나, 그것이 불어나 사회적인 상처로 됐거나 간에 음지에만 있으면 곪게 마련입니다. 그들의 문제를 내놓고 털어놓을 수 있는 장을 제시하기 위해선, 일단 열린 마음이 필요하겠지요.
「입양」에 대해서도「고아 수출국」이란 말 들으면 안되니까 무조건 줄어야한다는 식으로가 아니라 미혼모나 그 아이들 입장에서 구체화해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어쩌면 이런 고민 자체가 신생아의 3분의 2가 미혼모 자녀라는, 아이슬란드 같은 나라에선 의미 없을런지 모릅니다. 하기사 영국이나 미국은 미혼모에 대한 복지 혜택이 너무 많아, 오히려 이를 역이용하는「싱글 마더」들이 있어 문제라고 하대요. 하지만 미혼부에겐 면죄부를 주고 미혼모만 거론하는 문화는 동서양 모두 같다고도 합니다.
수소문 끝에 만난 40대 미혼모 출신 여성과 나눈 대화는 이런 저런 생각을 많이 떠올리게 했습니다.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안정돼 한 남자의 아내가 된 그녀는 지금도「그 때」를 돌이키면 구역질이 나올 정도로 괴롭다고 했습니다.
심한 죄책감과 상실감에 대한 기억이 너무 싫어 생각을 자꾸 밀어놓고 싶다고도 하대요. 그녀는 살다보면 사람마다 각기 저마다의 상처가 있게 마련인데 이 상처는 꼭 소설 속「주홍글씨」처럼 가슴에 낙인 찍혀 평생을 지고 살아야 하는 것 같다고 했습니다. 무조건 회피하는 것만이 해결책이 아닐 것 같아 보호시설에 후원금을 보내지만 자기와 같은 길을 걸을 수많은 어린 미혼모들을 생각하면 또 가슴이 쓰라리다고도 했습니다.
미혼모 문제가 뾰족한 답안이 나오지 않은 채 음지로 들어가는 데엔 그 해결책이라는 것이「사고의 전환」이라는, 어쩌면 돈으로 해결하는 것보다 어려운 과제 때문인지 모릅니다. 그들을 보듬을 자세 까진 갖지 못하더라도 10만 명으로 추산되는 미혼모가 생겨나게 된 데 대해 고민해볼 일이라 생각합니다.「사고의 다양화」,「사고의 전환」은 포르노물을 접할 때 너그러워지기 위해서만 발휘할 일이 아니라 이런 문제 앞에서도 발휘돼야 하지 않을까요?
예방책으로「이런 상황에서 이런 책임을 질 수 있다고 생각한 뒤에 행동해라」식의 구체적인 성교육이 필요할 겁니다. 그래서 궁극적으론 부모의 손길 없이 세상 빛을 보는 아이들이 이 땅에서 더 생기지 않길 바랍니다. 덧붙여 피치 못해 미혼모가 된 후라도 진정한 사랑이 무엇이고 진정한 순결이 무엇인지를 알고 그래서 세상은 살만한 곳이라는 걸 상처로 범벅된 그들이 깨달을 수 있길 바랍니다. 취재하면서 배가 남산만한 초등학생, 중학생들을 만나본 사람으로서 적어도 저 만큼은 그렇게 말하고 싶습니다.
(황성혜주간부기자 : coby0729@chosun.com)
(서울=연합뉴스) <줄줄이 미혼모 된 英 10대 세 자매>
미혼모 천국으로 불리는 영국에서 10대 세 자매가 모두 학교 재학 중 아기를 낳아 미혼모 신세가 됐다.
영국 텔레그래프 인터넷판은 23일 아버지 없이 홀로 아기를 키우는 미혼모가 된 젬마, 제이드, 나타샤 세 자매의 이야기를 전하며 영국에서 심각한 사회문제가 된 미혼모 문제를 조명했다. 세 자매가 지난해 아기를 낳을 당시 나이는 12세, 14세, 16세. 자매 중 막내인 젬마가 처음 임신, 지난해 2월 아들 티-제이를 낳았다. 이어 이미 두 차례 유산과 한 차례 낙태를 한 경험이 있는 맏언니 나타샤가 11월에 아마니를 낳았다. 마지막으로 제이드가 12월에 딸 리타를 낳았다. 곧 중등교육 졸업 자격 시험인 GCSE를 치러야 하는 젬마와 제이드는 아기를 키우는 엄마이면서 아직 학교에 다니는 학생이다. 세 자매는 두 번 이혼한 전력이 있는 어머니 줄리 애트킨스(38)와 함께 집세를 내지 않아도 되는 침대 3개짜리 공영주택에 살고 있다. 세 자매는 미혼모에게 주는 매년 3만1천파운드(약 5천700만원)가 넘는 연금을 받고 있다. 어머니 애트킨스는 "점점 더 많은 자녀들이 점점 더 어린 나이에 임신을 하므로, 학교 성교육이 훨씬 더 일찍 시작될 필요가 있다"며 "학교에 책임이 있다"고 목청을 높였다. 애트킨스는 또 "시계를 거꾸로 돌릴 수만 있다면, 아이들에게 교육이 중요한 만큼 아기를 낳지 않는 쪽으로 선택했을 것"이라며 "딸들이 너무 어린 나이에 아기를 가져 인생이 완전히 망가졌다"고 한탄했다. 애트킨스는 막내딸 젬마가 임신 후 7개월 동안 그 사실을 숨기고 있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몰랐다. 나중에 젬마와 함께 새 브래지어를 사러 갔다가 엄청나게 불어난 딸의 몸매를 보고서야 임신 사실을 알게 됐고 "엄청난 충격"을 받았다고 고백했다. 젬마는 "너무 무서워서 당시 14세였던 남자친구만 빼고 아무에게도 임신 사실을 알리지 않았고 무엇을 할지 몰랐다"며 "하지만 낙태는 하고 싶지 않았다"고 당시 심경을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영국이 이렇게 미혼모의 세상이 된 것은 다양한 복지서비스와 세제 혜택이 역작용을 일으킨 탓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싱크탱크인 정책연구센터에 따르면, 기혼커플이 받는 주당 평균 임금은 직장이 없고, 아버지와 접촉이 없는 미혼모의 연금보다 겨우 1파운드 많을 뿐이다. 이에 대해 애트킨스는 하루 하루 생활이 투쟁이라며 미혼모 딸인 제이드와 젬마를 위해 연금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kjh@yna.co.kr
Ⅳ. 참고문헌
여성복지론/ 김태진 저 / 대구대학교 출판부 132~145
여성복지론/ 남미애 외 6명 공저/ 대학출판사 336~371
아동,청소년복지론/ 표갑수/청주대학교출판부 335~344
아동복지론/ 대학 출판사 3·3~320
미혼모의 실태 의식분석과 그 복지 대책에 관한 연구 / 박성희 / 부산대학교 행정 대학원. 2002
10대 미혼모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2001)-http://challenger.lg.co.kr
가족복지론/ 이경희, 이소희/1993/ 형설출판사
미혼모의 사회적 문제점과 복지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변명숙/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미혼모 예방을 위한 성교육에 관한 연구/ 이경옥/ 성산효도대학교 대학원 2002.2
http://blog.empas.com/kaoru72/2483510
http://eastern.or.kr/bbs/zboard.php?id=secret_mother
  • 가격1,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05.08.31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12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