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저급언어
(1)기계어
(2)어셈블리어
2 .기계어
(1)기계어의 역사
(2)기계어의 사용법
(3)기계어의 장․단점
3 .기계어 발전
(1)어셈블리어 언어의 등장
(2)어셈블리어
1)어셈블리어의 역사
2)어셈블리어의 장점
3)어셈블리어의 단점
4 .앞으로의 기계어
(1)새로운 언어의 등장
(2)앞으로의 언어
5. 참고자료
(1)기계어
(2)어셈블리어
2 .기계어
(1)기계어의 역사
(2)기계어의 사용법
(3)기계어의 장․단점
3 .기계어 발전
(1)어셈블리어 언어의 등장
(2)어셈블리어
1)어셈블리어의 역사
2)어셈블리어의 장점
3)어셈블리어의 단점
4 .앞으로의 기계어
(1)새로운 언어의 등장
(2)앞으로의 언어
5. 참고자료
본문내용
기계어에 관하여
목차
1 .저급언어
(1)기계어
(2)어셈블리어
2 .기계어
(1)기계어의 역사
(2)기계어의 사용법
(3)기계어의 장단점
3 .기계어 발전
(1)어셈블리어 언어의 등장
(2)어셈블리어
1)어셈블리어의 역사
2)어셈블리어의 장점
3)어셈블리어의 단점
4 .앞으로의 기계어
(1)새로운 언어의 등장
(2)앞으로의 언어
5. 참고자료
1 .저급언어
- 정의
위의 그림에서 보는 거와 같이 모든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모든신호는 0과 1로 구성된 2진수이다. 사용자가 이해하고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다 하지만 컴퓨터가 처리하기에는 용이한 컴퓨터 중심의 언어이다. 이런 컴퓨터 중심의 언어를 저급언어라 하고 이 저급언어에는 기계어와 어셈블리 언어가 있다.
(1)기계어
- 정의
기계어는 컴퓨터의 전기적 회로에 의해 직접적으로 해석되어 실행되는 언어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언어로 2진수 \'0\'과 \'1\'을 사용하여 명령어와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면에서는 매우 유리하다 하지만 언어 자체가 매우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시간이 많이 걸리고 에러가 많았다.
또한 기계어는 컴퓨터의 종류에 따라 모두 다르며, 전적으로 컴퓨터 의존적이라서 표준이 없다. 따라서 회사에서 새로운 컴퓨터를 구입할 경우에 기종이 바뀌었다면, 종전에 기계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실행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기계어가 컴퓨터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르고 복잡하기 때문에, 오늘날에는 실제 기계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래머는 거의 없다.
(2)어셈블리어
- 정의
기계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한다는 것은 앞서 지적한 것처럼 어렵고 비능률적이다. 그래서 기계어를 인간이 기억하기 쉬운 형태로 동작을 연상할 수 있는 영문자로 나타내고, 주기억 장치상의 기억장소도 상징적인 기호들을 사용하여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어셈블리언어가 개발되었다.
2. 기계어
(1)기계어의 역사
컴퓨터는 아주 단순한 지시사항(명령)을 엄청나게 빠르게 수행하는 기계다. 이러한 instruction은 0과 1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형태의 instruction을 기계어 (machine code)라고 한다. 왜냐면 그런 코드는 기계만이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1과 0은 컴퓨터 내부의 전기 신호 중 하나로, 켜지면 1 꺼지면 0을 의미하게 된다. 이들 신호들은 0 또는 1 가운데 하나의 값을 갖는다고 해서 ‘이진(binary)‘ 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 값을 ’비트(bit)’ 라고 한다. bit는 ‘binary digit (이진수)’의 약자다.
1940-1950년대의 컴퓨터는 사실상 프로그래밍 한다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웠다.
그 물건들은 배선을 통해 조절되었다. 즉 기판 상에 있는 작은 전선들을 조작해서, 연결이 이루어진 곳은 1을 나타내게 되고 연결이 없는 곳은 0을 나타내게 해놓은 것이다. 이러한 전선 연결의 조합이 당시의 프로그래밍이었다. 이런 형태의 배선은 만드는데 아주 시간이 오래 걸리고, 하기도 힘들 뿐 아니라, 뭔가 문제가 생겼을 때 에러를 찾아낸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 했다. 만약 어떤 문제가 생기면, 문자 그대로 전선 하나 하나를 따라가며 어떤 선에서 문제가 생겼는지를 찾아내야 했다. 문제는 전선이 수천, 수 만개가 얽혀 있다는 점이다. 새로운 프로그램을 추가하는 것도 일일이 새로운 배선을 해주어야 하는 지루하기 짝이 없는 작업이었다.
버그(bug)라는 단어가 이때 유래되었다는 말도 있다. 당시의 거대한 컴퓨터 안에서 어슬렁거리다가 장렬하게 전사한 진짜 벌레의 시체가 전선과 전선 사이에 또 다른 연결을 만들어서 에러를 내곤했다는 얘기다. 이런 벌레 때문에 문제가 일어난 것 자체는 사실이었다. 하지만 버그라는 단어가 이로부터 유래되었다는 주장은 도시민들의 소박한 상상력의 소산이다. 버그라는 용어는 1940년대 훨씬 이전부터 있어왔고, 컴퓨터가 태어나기 100년 전부터 기계류에서 어떤 문제가 생긴 경우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단어였다. 컴퓨터 버그는 이런 오랜 용어 사용의 관행이 이어진 것일 뿐이다.
좀 시간이 지나자 기계어는 직접 배선을 해주어야 하는 수준은 벗어나게 되었다. 대신 \"메모리\"내의 값 (value)을 이용해서 프로그래밍이 이루어지게 된다. (1950-60년대) 이러한 새로운 방식은 예전의 무식한 방식보다는 분명 향상된 것이었고, 빠른 프로그램 수정을 가능케 해주었지만 수많은 0과 1로 이루어진 패턴과 씨름하다보면 많은 에러가 나는 것은 마찬가지였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보다 쉽게 기억하기 위해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 패턴 대신 어느 정도 이해가 되는 일종의 약어 (mnemonics)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것이 기계어의 시작이었다.
(2)기계어의 사용법
기계어는 0과 1로 구성되어 있다 기계어의 형태는 B38280....F4라는 알 수 없는 알파벳과 수치의 연속적으로 되어있는 형태이다. 그러므로 이형태를 알아보려면 그 형태를 바꾸어서 살펴보아야 한다.
컴퓨터내부에서는 2진수로 표현이 되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16진수를 사용하기로 한다.
컴퓨터를 이용하려면 명령을 통하여 컴퓨터에게 동작의 종류와 자료의 특성 과 위치에 관한 정보들을 제공하여야 하는데 이런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을 명령 코드 또는 OP-CODE라고 하면 명령어의 첫 바이트에 위치한다. 실제적 자료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을 가리켜 오퍼랜드라 하고 명령어의 나머지 부분을 차지한다.
1. 동작의 종류 : 가산, 감산, 승산, 제산, 자료의 이동 등
2. 자료의 특성 : 가변길이 또는 고정길이 자료인지 여부
3. 자료의 위치 : 주기억장소 또는 레지스터 내에 있는지 여부
간단한 예로서 기계어 명령 “1B67”를 살펴보자
1B는 명령코드이다.
- 동작의 종류 :
목차
1 .저급언어
(1)기계어
(2)어셈블리어
2 .기계어
(1)기계어의 역사
(2)기계어의 사용법
(3)기계어의 장단점
3 .기계어 발전
(1)어셈블리어 언어의 등장
(2)어셈블리어
1)어셈블리어의 역사
2)어셈블리어의 장점
3)어셈블리어의 단점
4 .앞으로의 기계어
(1)새로운 언어의 등장
(2)앞으로의 언어
5. 참고자료
1 .저급언어
- 정의
위의 그림에서 보는 거와 같이 모든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모든신호는 0과 1로 구성된 2진수이다. 사용자가 이해하고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다 하지만 컴퓨터가 처리하기에는 용이한 컴퓨터 중심의 언어이다. 이런 컴퓨터 중심의 언어를 저급언어라 하고 이 저급언어에는 기계어와 어셈블리 언어가 있다.
(1)기계어
- 정의
기계어는 컴퓨터의 전기적 회로에 의해 직접적으로 해석되어 실행되는 언어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언어로 2진수 \'0\'과 \'1\'을 사용하여 명령어와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면에서는 매우 유리하다 하지만 언어 자체가 매우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시간이 많이 걸리고 에러가 많았다.
또한 기계어는 컴퓨터의 종류에 따라 모두 다르며, 전적으로 컴퓨터 의존적이라서 표준이 없다. 따라서 회사에서 새로운 컴퓨터를 구입할 경우에 기종이 바뀌었다면, 종전에 기계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실행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기계어가 컴퓨터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르고 복잡하기 때문에, 오늘날에는 실제 기계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래머는 거의 없다.
(2)어셈블리어
- 정의
기계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한다는 것은 앞서 지적한 것처럼 어렵고 비능률적이다. 그래서 기계어를 인간이 기억하기 쉬운 형태로 동작을 연상할 수 있는 영문자로 나타내고, 주기억 장치상의 기억장소도 상징적인 기호들을 사용하여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어셈블리언어가 개발되었다.
2. 기계어
(1)기계어의 역사
컴퓨터는 아주 단순한 지시사항(명령)을 엄청나게 빠르게 수행하는 기계다. 이러한 instruction은 0과 1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형태의 instruction을 기계어 (machine code)라고 한다. 왜냐면 그런 코드는 기계만이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1과 0은 컴퓨터 내부의 전기 신호 중 하나로, 켜지면 1 꺼지면 0을 의미하게 된다. 이들 신호들은 0 또는 1 가운데 하나의 값을 갖는다고 해서 ‘이진(binary)‘ 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 값을 ’비트(bit)’ 라고 한다. bit는 ‘binary digit (이진수)’의 약자다.
1940-1950년대의 컴퓨터는 사실상 프로그래밍 한다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웠다.
그 물건들은 배선을 통해 조절되었다. 즉 기판 상에 있는 작은 전선들을 조작해서, 연결이 이루어진 곳은 1을 나타내게 되고 연결이 없는 곳은 0을 나타내게 해놓은 것이다. 이러한 전선 연결의 조합이 당시의 프로그래밍이었다. 이런 형태의 배선은 만드는데 아주 시간이 오래 걸리고, 하기도 힘들 뿐 아니라, 뭔가 문제가 생겼을 때 에러를 찾아낸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 했다. 만약 어떤 문제가 생기면, 문자 그대로 전선 하나 하나를 따라가며 어떤 선에서 문제가 생겼는지를 찾아내야 했다. 문제는 전선이 수천, 수 만개가 얽혀 있다는 점이다. 새로운 프로그램을 추가하는 것도 일일이 새로운 배선을 해주어야 하는 지루하기 짝이 없는 작업이었다.
버그(bug)라는 단어가 이때 유래되었다는 말도 있다. 당시의 거대한 컴퓨터 안에서 어슬렁거리다가 장렬하게 전사한 진짜 벌레의 시체가 전선과 전선 사이에 또 다른 연결을 만들어서 에러를 내곤했다는 얘기다. 이런 벌레 때문에 문제가 일어난 것 자체는 사실이었다. 하지만 버그라는 단어가 이로부터 유래되었다는 주장은 도시민들의 소박한 상상력의 소산이다. 버그라는 용어는 1940년대 훨씬 이전부터 있어왔고, 컴퓨터가 태어나기 100년 전부터 기계류에서 어떤 문제가 생긴 경우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단어였다. 컴퓨터 버그는 이런 오랜 용어 사용의 관행이 이어진 것일 뿐이다.
좀 시간이 지나자 기계어는 직접 배선을 해주어야 하는 수준은 벗어나게 되었다. 대신 \"메모리\"내의 값 (value)을 이용해서 프로그래밍이 이루어지게 된다. (1950-60년대) 이러한 새로운 방식은 예전의 무식한 방식보다는 분명 향상된 것이었고, 빠른 프로그램 수정을 가능케 해주었지만 수많은 0과 1로 이루어진 패턴과 씨름하다보면 많은 에러가 나는 것은 마찬가지였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보다 쉽게 기억하기 위해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 패턴 대신 어느 정도 이해가 되는 일종의 약어 (mnemonics)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것이 기계어의 시작이었다.
(2)기계어의 사용법
기계어는 0과 1로 구성되어 있다 기계어의 형태는 B38280....F4라는 알 수 없는 알파벳과 수치의 연속적으로 되어있는 형태이다. 그러므로 이형태를 알아보려면 그 형태를 바꾸어서 살펴보아야 한다.
컴퓨터내부에서는 2진수로 표현이 되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16진수를 사용하기로 한다.
컴퓨터를 이용하려면 명령을 통하여 컴퓨터에게 동작의 종류와 자료의 특성 과 위치에 관한 정보들을 제공하여야 하는데 이런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을 명령 코드 또는 OP-CODE라고 하면 명령어의 첫 바이트에 위치한다. 실제적 자료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을 가리켜 오퍼랜드라 하고 명령어의 나머지 부분을 차지한다.
1. 동작의 종류 : 가산, 감산, 승산, 제산, 자료의 이동 등
2. 자료의 특성 : 가변길이 또는 고정길이 자료인지 여부
3. 자료의 위치 : 주기억장소 또는 레지스터 내에 있는지 여부
간단한 예로서 기계어 명령 “1B67”를 살펴보자
1B는 명령코드이다.
- 동작의 종류 :
추천자료
[유아언어교육][포트폴리오평가]유아언어교육(유아언어지도)과 포트폴리오평가 고찰 및 포트...
[언어기호학][언어기호학 영역][신화][의미론][철학자]언어기호학의 개념, 언어기호학의 영역...
[언어기원설]언어의 기원과 언어기원설(언어기원론)의 종류 및 루소의 언어기원설(언어기원론...
유아언어교육(유아언어지도)의 의의, 유아언어교육(유아언어지도)의 환경구성, 유아언어교육(...
총체적언어교수법(언어접근법,교육) 정의와 특징, 총체적언어교수법(언어접근법,교육) 요소와...
유아언어지도(유아언어교육)의 요소, 유아언어지도(유아언어교육)의 환경구성원리, 유아언어...
지역언어(방언, 사투리) 정의, 지역언어(방언, 사투리) 가치, 지역언어(방언, 사투리)교육 필...
총체적언어학습(언어접근법, 언어교육)의 필요성, 총체적언어학습(언어접근법, 언어교육)의 ...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개념,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기능, 제스처(제스쳐, 몸짓언어)의 중요성, ...
언어장애에 대한 이해 - 언어장애의 개념과 언어장애의 분류 및 언어장애 영유아의 치료와 교육
[언어지도] <언어> 언어의 개념 과 언어의 특성 및 언어의 유형, 말
언어의이해A형 - 인간언어의 본질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방송통신대학교 2017학년도 2학기 언...
언어의이해D형 - 언어기호의 특성을 설명.- 방송통신대학교 2017학년도 2학기 언어의이해D형 ...
언어지도)반응적 언어와 제한적 언어에 대해 설명하고, 교사로서 실천해야 할 바람직한 언어...
소개글